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대애도의 멸도
  • 대애도의 멸도 7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애도의 멸도 7


[대애도의 멸도 7]
부톄 손 주001)
손:
손수. 명사 ‘손’[手]에 부사파생접사 ‘’가 결합한 것이다. 그러한 예로는 ‘몸’[身]에서 파생된 ‘몸’도 있다. 이 접미사는 매우 특이한 것으로 이 두 파생어에만 나타나는데, ‘*소’가 ‘ㅁ’, ‘ㄴ’ 뒤에서 ‘’로 변한 것이다. 16세기에는 이 변화를 입지 않은 방언형 ‘몸소’〈소언 3:13ㄱ〉와 ‘손소’〈순천 55:22〉가 보인다. 또 ‘ㄴ’, ‘ㅁ’ 뒤에서 ‘ㅿ〉ㅈ’ 변화를 입은 ‘손조’〈삼강 효:18ㄱ〉가 있었다. ‘몸조’는 17세기 초엽의 문헌에 나타난다.
大愛道 모 드로려 거시 帝釋毗沙門王 주002)
비사문왕(毗沙門王):
사천왕(四天王)의 하나. 다문천을 다스려 북쪽을 수호하며 야차와 나찰을 통솔한다. 분노의 상(相)으로 갑옷을 입고서 왼손에 보탑(寶塔)을 받쳐 들고 오른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다. 다문천왕·비사문천·비사문천왕.
이 말이더니 부톄 니샤 重 恩惠 가파 리라 시고 손 平床ㅅ  발 드르시고 羅雲 주003)
라운(羅雲):
라후라(羅睺羅).

월인석보 23:61ㄴ

이  발 들오 阿難이  발 들오 難陀 주004)
난타(難陀):
석가모니의 배다른 동생. 출가하였으나 처가 그리워서 승복을 벗으려 하자 부처의 방편(方便)으로 부처에 귀의하여 아라한과(阿羅漢果)의 자리를 얻었다. 처의 이름을 따서 손타라난타(孫陀羅難陀)라고도 부른다.
ㅣ  발 드러 虛空로 라  주005)
:
‘++’. 기본형은 ‘다’. 쌓다. 쌓을.
해 니거시 四部衆 五百 比丘尼의 모 드러 다 주006)
:
기본형은 ‘다’. 사르다.
해 가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대애도의 멸도 7]
부처가 손수 대애도의 몸을 들으려 하시거늘 제석비사문왕이 말리시더니 부처가 이르시되 중한 은혜를 갚아야 하리라고 하시고 손수 평상의 한 발을 드시고, 라후라가 한 발 들고, 아난이 한 발 들고, 난타가 한 발을 들어 허공으로 날아 쌓을 땅에 가시거늘 사부중들은 오백 비구니의 몸을 들어 모두 다 사를 땅에 가니라.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손:손수. 명사 ‘손’[手]에 부사파생접사 ‘’가 결합한 것이다. 그러한 예로는 ‘몸’[身]에서 파생된 ‘몸’도 있다. 이 접미사는 매우 특이한 것으로 이 두 파생어에만 나타나는데, ‘*소’가 ‘ㅁ’, ‘ㄴ’ 뒤에서 ‘’로 변한 것이다. 16세기에는 이 변화를 입지 않은 방언형 ‘몸소’〈소언 3:13ㄱ〉와 ‘손소’〈순천 55:22〉가 보인다. 또 ‘ㄴ’, ‘ㅁ’ 뒤에서 ‘ㅿ〉ㅈ’ 변화를 입은 ‘손조’〈삼강 효:18ㄱ〉가 있었다. ‘몸조’는 17세기 초엽의 문헌에 나타난다.
주002)
비사문왕(毗沙門王):사천왕(四天王)의 하나. 다문천을 다스려 북쪽을 수호하며 야차와 나찰을 통솔한다. 분노의 상(相)으로 갑옷을 입고서 왼손에 보탑(寶塔)을 받쳐 들고 오른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다. 다문천왕·비사문천·비사문천왕.
주003)
라운(羅雲):라후라(羅睺羅).
주004)
난타(難陀):석가모니의 배다른 동생. 출가하였으나 처가 그리워서 승복을 벗으려 하자 부처의 방편(方便)으로 부처에 귀의하여 아라한과(阿羅漢果)의 자리를 얻었다. 처의 이름을 따서 손타라난타(孫陀羅難陀)라고도 부른다.
주005)
:‘++’. 기본형은 ‘다’. 쌓다. 쌓을.
주006)
:기본형은 ‘다’. 사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