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대애도의 멸도
  • 대애도의 멸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애도의 멸도 2


[대애도의 멸도 2]
五百除饉이 주001)
잇:
이+ㅅ. 이것의. 이러한.
야로 주002)
야로:
+로. 모양으로. 식으로.
말  부톄 올타 시고 爲샤 모 受苦고 주003)
수고(受苦)고:
중세어에서는 자음어미 앞과 모음어미 앞에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이른바 쌍형어간이 꽤 많이 보인다. ‘受苦-’은 자음어미 앞에 나타나고, ‘受苦외-’는 모음어미 앞에 나타나는 어간형이다. ‘--’은 현대국어 ‘-롭-’의 직접적인 소급형이다. 현대국어의 형용사파생접미사 ‘-답-, -롭-’의 소급형으로는 ‘--, --’이 있었다. ‘--, --’은 어간 말음이 무엇이냐에 따라 즉 모음 다음에서는 ‘--’이 선택되고, 자음 다음에서는 ‘--’이 선택된다. 이들은 다시 뒤에 오는 어미에 따라서 모습을 달리하게 되어,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는 ‘--, --’이 오지만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는 ‘--, --’가 온다. 이들은 ‘ㅸ’의 소실로 인해 각각 ‘-외-’, ‘-외-’로 바뀌게 된다.
滅度ㅣ 便

월인석보 23:56ㄴ

安혼 주를 닐어시 除饉女히 다 깃 세 번 도고 머리 조고 精舍 주004)
정사(精舍):
본래 우기(雨期) 동안 수행자들이 안거했던 주거지를 가리키는 말. 점차 발전하여 수행자들의 상주처이자 의지처가 되는 절을 가리킴.
애 도라가【이 精舍 王園 精舍ㅣ라】五百座 버리고 주005)
버리고:
① 벌리다, ② 베풀다, ③ 물건이나 일 따위를 비집거나 헤치다.
各各 座에 안늘 大愛道ㅣ 神足德 내야 座애셔 업서 東方로셔 와 空中에 이셔 주006)
공중(空中)에 이셔:
현대국어에서는 ‘잇다’의 ‘이셔’가 문법화되어 ‘空中에서’와 같이 되었다.

월인석보 23:57ㄱ

十八變고 八方上下 주007)
팔방상하(八方上下):
동방·남방·서방·북방·동남방·서남방·서북방·동북방·상방·하방의 10방.
애  이티 고 큰 光明 펴 어드 해 비취며 우흐로 諸天에 와더니 五百除饉이 다 잇 로 變化고  泥洹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대애도의 멸도 2]
오백 제근이 이러한 모양으로 말을 아뢰거늘, 부처가 옳다고 하시고 위하시어 모든 수고롭고 멸도야 편안한 줄을 이르시거늘 제근녀들이 모두다 기뻐하여 세 번 감돌고 머리를 조아리고 정사에 돌아가【이 정사는 왕원정사이다.】 오백좌를 벌리고 각각 자리에 앉거늘 대애도가 신족덕을 내어 자리에서 없어 동방으로부터 와 공중에서 십팔변하고, 팔방상하에 또 이같이 하고 큰 광명을 펴 어두운 땅들에 비치며 위로 제천에 눈부시더니 오백제근이 다 이러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함께 열반한다.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잇:이+ㅅ. 이것의. 이러한.
주002)
야로:+로. 모양으로. 식으로.
주003)
수고(受苦)고:중세어에서는 자음어미 앞과 모음어미 앞에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이른바 쌍형어간이 꽤 많이 보인다. ‘受苦-’은 자음어미 앞에 나타나고, ‘受苦외-’는 모음어미 앞에 나타나는 어간형이다. ‘--’은 현대국어 ‘-롭-’의 직접적인 소급형이다. 현대국어의 형용사파생접미사 ‘-답-, -롭-’의 소급형으로는 ‘--, --’이 있었다. ‘--, --’은 어간 말음이 무엇이냐에 따라 즉 모음 다음에서는 ‘--’이 선택되고, 자음 다음에서는 ‘--’이 선택된다. 이들은 다시 뒤에 오는 어미에 따라서 모습을 달리하게 되어,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는 ‘--, --’이 오지만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는 ‘--, --’가 온다. 이들은 ‘ㅸ’의 소실로 인해 각각 ‘-외-’, ‘-외-’로 바뀌게 된다.
주004)
정사(精舍):본래 우기(雨期) 동안 수행자들이 안거했던 주거지를 가리키는 말. 점차 발전하여 수행자들의 상주처이자 의지처가 되는 절을 가리킴.
주005)
버리고:① 벌리다, ② 베풀다, ③ 물건이나 일 따위를 비집거나 헤치다.
주006)
공중(空中)에 이셔:현대국어에서는 ‘잇다’의 ‘이셔’가 문법화되어 ‘空中에서’와 같이 되었다.
주007)
팔방상하(八方上下):동방·남방·서방·북방·동남방·서남방·서북방·동북방·상방·하방의 10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