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대애도의 멸도
  • 대애도의 멸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애도의 멸도 1


[대애도의 멸도 1]
大愛道ㅣ 滅度고져커늘 世尊이 그  아시고 阿難이려 니샤 大愛道

월인석보 23:55ㄱ

ㅣ 너교 世尊應眞 涅槃 어드리 주001)
어드리:
어찌.
마 주002)
마:
차마. 부끄럽거나 안타까워서 감히.
보료 주003)
보료:
보리오. 보겠는가. ‘보-+-리-+-오’. ‘-료’는 용언 어간 뒤에 붙어 ‘-리오’임.
몬져 滅度고져 다 阿難이 머리 조 주004)
조:
기본형은 ‘좃다’. 좃++아. 조아리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 이 마 듣니 미 어즐야 주005)
어즐야:
‘어즐-’는 “어지럽다”의 의미를 가지는 형용사로 사용될 뿐 아니라, “모르다, 미욱하다”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전자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四方 몯 리리로소다 주006)
리리로소다:
기본형은 ‘다’. 정신을 차리다. 깨닫다.
그저긔 大愛道除饉女 주007)
제근녀(除饉女):
비구니(比丘尼).
五百과로 【除는 덜씨오

월인석보 23:55ㄴ

饉은 주으릴씨라 凡夫는 六塵 주008)
육진(六塵):
6경(境)을 말함. 이 6경은 6근을 통하여 몸 속에 들어가서 우리들의 정심(淨心)을 더럽히고, 진성(眞性)을 덮어 흐리게 하므로 진(塵)이라 함.
 貪야 주으린 사 밥 머구미 야 슬믜요 모거든 聖人 貪 그츠샤 주009)
그츠샤:
기본형은 ‘긏다’. 중세국어에서의 ‘긏다’는 타동사인 ‘끊다’와 피동사인 ‘끊기다 또는 끊어지다’의 의미로 쓰였다.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였다.
六情 주010)
육정(六情):
사람의 여섯 가지 감정. 희(喜), 노(怒), 애(哀), 낙(樂), 애(愛), 오(惡)를 이른다.
주으류믈 더르실 出家 사 除饉이라 니 除饉女는 比丘尼라】
 부텻긔 가 머리 좃 禮數 주011)
예수(禮數):
서로 만나 인사함.
고  부텨와 應眞 滅度 마 몯 보 몬져 泥洹 주012)
니원(泥洹):
열반(涅槃).
코져 노다 부톄

월인석보 23:56ㄱ

야 올타 야시 주013)
야시:
‘-’에 ‘-야’과 ‘-시-’과 통합한 어형이다. ‘-’에 ‘-야’이 통합한 어형이 중세국어에서 그리 흔하게 볼 수 있는 어형은 아니다. 월인석보에서도 ‘부톄 손 大愛道 모 드로려 거시〈월석 23:61ㄱ〉’과 같이 ‘거시’의 형태로 나타난다. 선어말어미 ‘-거-’는 ‘-시-’와 그 순서를 바꾸어 나타나기도 한다.
大愛道부텻 바 지며  주014)
이:
대명사 ‘이’. 이것이. 중세국어의 주격 조사는 체언 어간의 말음이 자음일 때에는 ‘-ㅣ’, 모음일 때에는 그 모음과 하향 이중모음을 형성하였다. 단 모음 i일 때에는, 체언 말음절이 무점(평성)일 때 그것이 2점(상성)으로 나타나며 체언 말음절이 1점(거성)일 때에는 표기상 아무런 변동도 없었다. 중세국어 대명사 ‘이’의 성조는 거성이다.
막 주015)
막:
마지막.
보 如來 最正覺 주016)
최정각(最正覺):
우주의 구경(究竟)의 진리를 남김없이 깨닫고 모든 현상계의 차별을 두루 아는 부처의 지혜.
이시니 오브터 주017)
브터:
‘브터’는 원래 동사 ‘븥-[依, 緣]’의 활용형 ‘브터’가 문법화하여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그런데 15세기 국어 단계에서는 아직 그 동사성이 남아 있어 대격어를 앞에 오게 하기도 하고, 조격어를 앞에 오게 하기도 하여 지배하였다. 여기에서는 조격어가 앞에 왔다. ‘Np. 을 브터’는 문법화 단계의 과도적 성격을 보이는 것으로, ‘Np. 으로브터’는 문법화가 거의 수행되어 ‘-으로브터’가 복합조사인 것으로, ‘Np. 브터’는 ‘-브터’가 단독의 조사인 것으로 파악된다. 15세기 국어에는 ‘-을 브터’가 우세하고 16세기 국어 이후에는 ‘-으로브터’와 ‘-브터’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로부터’와 ‘-부터’의 용법에 차이가 있음도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친구로부터 온 편지 / *친구부터 온 편지’에서와 같이 이동성을 가지는 용법에서는 ‘-로부터’가 쓰여야 하기 때문이다.
외야 주018)
외야:
이 부사는 “다시”의 의미를 가지는 부사인 바, 같은 의미로 형용사어기 ‘외-[復]’에서 ∅-파생에 의해 형성된 ‘외’도 사용된다.
몯 보리로소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대애도의 멸도 1]
대애도가 멸도하고자 하거늘 세존이 그 마음을 아시고 아난더러 이르시되 대애도가 여기되 세존응진들의 열반을 어찌 차마 보겠는가? 먼저 멸도하고자 한다. 아난이 머리를 조아려 아뢰되 이 말을 들으니 마음이 어지러워 사방을 깨닫지 못하겠습니다. 그적에 대애도가 비구니 오백과,【제는 더는 것이고, 근은 주리는 것이다. 범부는 육진을 탐하여 주린 사람의 밥 먹는 것과 같아서 싫어하고 미워함을 모르거든, 성인은 탐냄을 끊으시어 육정이 주림을 더시는 것이기에 출가한 사람을 제근이라고 하니 제근녀는 비구니이다.】 함께 부처께 가서 머리를 조아리어 인사하고 아뢰되 부처와 응진들의 멸도를 차마 못 보아서 먼저 열반하고자 합니다. 부처가 잠잠하여 옳다고 하시거늘 대애도부처의 발을 만지며 아뢰되, 이것이 마지막 보는 여래의 최정각이시니 오늘부터 다시 못 뵐 것입니다.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드리:어찌.
주002)
마:차마. 부끄럽거나 안타까워서 감히.
주003)
보료:보리오. 보겠는가. ‘보-+-리-+-오’. ‘-료’는 용언 어간 뒤에 붙어 ‘-리오’임.
주004)
조:기본형은 ‘좃다’. 좃++아. 조아리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주005)
어즐야:‘어즐-’는 “어지럽다”의 의미를 가지는 형용사로 사용될 뿐 아니라, “모르다, 미욱하다”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전자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주006)
리리로소다:기본형은 ‘다’. 정신을 차리다. 깨닫다.
주007)
제근녀(除饉女):비구니(比丘尼).
주008)
육진(六塵):6경(境)을 말함. 이 6경은 6근을 통하여 몸 속에 들어가서 우리들의 정심(淨心)을 더럽히고, 진성(眞性)을 덮어 흐리게 하므로 진(塵)이라 함.
주009)
그츠샤:기본형은 ‘긏다’. 중세국어에서의 ‘긏다’는 타동사인 ‘끊다’와 피동사인 ‘끊기다 또는 끊어지다’의 의미로 쓰였다.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였다.
주010)
육정(六情):사람의 여섯 가지 감정. 희(喜), 노(怒), 애(哀), 낙(樂), 애(愛), 오(惡)를 이른다.
주011)
예수(禮數):서로 만나 인사함.
주012)
니원(泥洹):열반(涅槃).
주013)
야시:‘-’에 ‘-야’과 ‘-시-’과 통합한 어형이다. ‘-’에 ‘-야’이 통합한 어형이 중세국어에서 그리 흔하게 볼 수 있는 어형은 아니다. 월인석보에서도 ‘부톄 손 大愛道 모 드로려 거시〈월석 23:61ㄱ〉’과 같이 ‘거시’의 형태로 나타난다. 선어말어미 ‘-거-’는 ‘-시-’와 그 순서를 바꾸어 나타나기도 한다.
주014)
이:대명사 ‘이’. 이것이. 중세국어의 주격 조사는 체언 어간의 말음이 자음일 때에는 ‘-ㅣ’, 모음일 때에는 그 모음과 하향 이중모음을 형성하였다. 단 모음 i일 때에는, 체언 말음절이 무점(평성)일 때 그것이 2점(상성)으로 나타나며 체언 말음절이 1점(거성)일 때에는 표기상 아무런 변동도 없었다. 중세국어 대명사 ‘이’의 성조는 거성이다.
주015)
막:마지막.
주016)
최정각(最正覺):우주의 구경(究竟)의 진리를 남김없이 깨닫고 모든 현상계의 차별을 두루 아는 부처의 지혜.
주017)
브터:‘브터’는 원래 동사 ‘븥-[依, 緣]’의 활용형 ‘브터’가 문법화하여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그런데 15세기 국어 단계에서는 아직 그 동사성이 남아 있어 대격어를 앞에 오게 하기도 하고, 조격어를 앞에 오게 하기도 하여 지배하였다. 여기에서는 조격어가 앞에 왔다. ‘Np. 을 브터’는 문법화 단계의 과도적 성격을 보이는 것으로, ‘Np. 으로브터’는 문법화가 거의 수행되어 ‘-으로브터’가 복합조사인 것으로, ‘Np. 브터’는 ‘-브터’가 단독의 조사인 것으로 파악된다. 15세기 국어에는 ‘-을 브터’가 우세하고 16세기 국어 이후에는 ‘-으로브터’와 ‘-브터’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로부터’와 ‘-부터’의 용법에 차이가 있음도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친구로부터 온 편지 / *친구부터 온 편지’에서와 같이 이동성을 가지는 용법에서는 ‘-로부터’가 쓰여야 하기 때문이다.
주018)
외야:이 부사는 “다시”의 의미를 가지는 부사인 바, 같은 의미로 형용사어기 ‘외-[復]’에서 ∅-파생에 의해 형성된 ‘외’도 사용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