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협주〉 목련이 아비지옥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 목련이 아비지옥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련이 아비지옥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10


[목련이 아비지옥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10]
羅卜이 새히  므러오거늘 보고 깃븐 들 내야 匠人 請야  부텨를 라 두고 三年을 供養다가 居喪 마  저긔 무더메 하딕고 耆闍崛

월인석보 23:76ㄴ

애 가 世尊 보  世尊하 父母ㅣ 마 다 업스시고 居喪 마 릴 부텨 조 주001)
조:
기본형은 ‘좇다’. 좇++아. 따라.
出家코져 노니 엇던 功德이 이시리고 世尊이 니샤 잘 오도다 羅卜南閻浮提 주002)
남염부제(南閻浮提):
사주(四洲)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남섬부주·섬부주(贍部洲)·남염부주·섬부(贍部)·염부(閻浮)·염부제·염부주·첨부(瞻部).
中에  아리어나  리어나  남진 이어나  겨집 이어나 려 주003)
려:
기본형은 ‘리다’. 버리다. 버려.
부텻긔 出家하야도 八萬四千 浮圖 주004)
부도(浮圖/浮屠):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를 안치한 탑. 승탑(僧塔). ③ 중.
寶塔 주005)
보탑(寶塔):
① 절의 탑을 높여 이르는 말. ② 묘법연화경에서, 다보여래를 안치한 탑을 이르는 말.
셰요라와 주006)
셰요라와:
셰욤+라와. 세움보다.
더어 주007)
더어:
기본형은 ‘더다’나 ‘더으다’로 상정할 수 있다. 더하다. 중세국어 자료에는 ‘더다’의 예도 찾아볼 수 있다.
≪浮圖 塔이라≫

월인석보 23:77ㄱ

現世父母도 百年을 福樂며 七代先亡 주008)
선망(先亡):
먼저 돌아가신 선조.
淨土 주009)
정토(淨土):
부처나 보살이 사는, 번뇌의 굴레를 벗어난 아주 깨끗한 세상. 각원(覺苑)·불계(佛界)·정계(淨界)·정방(淨邦)·정찰(淨刹)·청정세계.
애 나리니 며 주010)
며:
하물며.
菩提心 주011)
보리심(菩提心):
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려는 마음. 이 마음의 내용은 “중생은 모두 다 제도하리라, 번뇌는 모두 다 끊으리라, 법문은 모두 다 배우리라, 불도는 모두 다 증득하리라”는 4홍서원. 보살은 광대한 자리(自利), 이타(利他)의 서원을 세우고, 3아승기 100대겁 동안 6도 등의 행을 닦아야만 불과를 얻는다 함.
發니녀 주012)
발(發)니녀:
‘-이, -이녀, -이니가’ 등은 일종의 수사의문을 형성하는 어미이다.
시고 즉재 阿難이 시기샤 머리 갓기시고 世尊이 머리 녀 주013)
녀:
기본형은 ‘니다’. 만지다. 만져.
受記 주014)
수기(受記):
부처로부터 내생에 부처가 되리라고 하는 예언을 받음.
시고 일후믈 라 지샤 주015)
지샤:
기본형은 ‘짛다’. 짓다. 짓되.
大目揵連이라 시고 내 十大弟子ㅅ 中에 神通이  第一이라 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목련이 아비지옥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10]
나복이 새들이 흙을 물어오거늘, 보고 기쁜 뜻을 내어 장인을 청하여 흙부처를 만들어 두고 삼년을 공양하다가 거상을 머지 않아 마칠 적에 무덤에 하직하고 기사굴산에 가서 세존을 보아 아뢰되 세존이시여. 부모가 이미 다 없으시고 거상을 머지않아 마치게 될 것이기에 부처를 따라 출가하고자 하니 어떤 공덕이 있겠습니까? 세존이 이르시되 잘 왔도다. 나복아. 남염부제 중에 한 아들이거나 한 딸이거나 한 남자 종이거나 한 여자 종이거나 버려 부처께 출가하여도 팔만사천 부도보탑을 세움보다 더하여 ≪부도는 탑이다.≫ 현세부모도 백년을 복락하며 칠대선망도 정토에 날 것이니 하물며 자기가 보리심을 발하는 것이랴 하시고 즉시 아난이를 시키시어 머리를 깎이시고 세존이 머리를 만져 수기하시고 이름을 갈아 지으시되 대목건련이라고 하시고 나의 십대제자 중에 신통이 가장 제일이라고 하시니라.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기본형은 ‘좇다’. 좇++아. 따라.
주002)
남염부제(南閻浮提):사주(四洲)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남섬부주·섬부주(贍部洲)·남염부주·섬부(贍部)·염부(閻浮)·염부제·염부주·첨부(瞻部).
주003)
려:기본형은 ‘리다’. 버리다. 버려.
주004)
부도(浮圖/浮屠):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를 안치한 탑. 승탑(僧塔). ③ 중.
주005)
보탑(寶塔):① 절의 탑을 높여 이르는 말. ② 묘법연화경에서, 다보여래를 안치한 탑을 이르는 말.
주006)
셰요라와:셰욤+라와. 세움보다.
주007)
더어:기본형은 ‘더다’나 ‘더으다’로 상정할 수 있다. 더하다. 중세국어 자료에는 ‘더다’의 예도 찾아볼 수 있다.
주008)
선망(先亡):먼저 돌아가신 선조.
주009)
정토(淨土):부처나 보살이 사는, 번뇌의 굴레를 벗어난 아주 깨끗한 세상. 각원(覺苑)·불계(佛界)·정계(淨界)·정방(淨邦)·정찰(淨刹)·청정세계.
주010)
며:하물며.
주011)
보리심(菩提心):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려는 마음. 이 마음의 내용은 “중생은 모두 다 제도하리라, 번뇌는 모두 다 끊으리라, 법문은 모두 다 배우리라, 불도는 모두 다 증득하리라”는 4홍서원. 보살은 광대한 자리(自利), 이타(利他)의 서원을 세우고, 3아승기 100대겁 동안 6도 등의 행을 닦아야만 불과를 얻는다 함.
주012)
발(發)니녀:‘-이, -이녀, -이니가’ 등은 일종의 수사의문을 형성하는 어미이다.
주013)
녀:기본형은 ‘니다’. 만지다. 만져.
주014)
수기(受記):부처로부터 내생에 부처가 되리라고 하는 예언을 받음.
주015)
지샤:기본형은 ‘짛다’. 짓다. 짓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