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협주〉 미륵의 하생
  • 미륵의 하생 19
메뉴닫기 메뉴열기

미륵의 하생 19


[미륵의 하생 19]
그 彌勒佛弟子히 다 端正고 威儀 고 주001)
고:
기본형은 ‘다’. ‘8종성가족용’의 규정에 의한 표기이다. 갖추다, 구비하다.
生老病

월인석보 23:43ㄱ

死 슬히 주002)
슬히:
용언 ‘슬다’에서 파생된 부사. ‘슬다’는 동사로서 ‘싫어하다’의 이외에 ‘슬퍼하다’의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는 ‘싫게’의 의미로 쓰였다.
너겨 多聞고 너비 화 法藏 주003)
법장(法藏):
온갖 법의 진리를 갈무리하고 있다는 뜻으로, ‘불경(佛經)’을 달리 이르는 말.
 守護야 禪定을 行야 諸欲 여희여 새 대가리예 나 리라 그 彌勒佛이 娑婆世界옛 前身이 剛强 주004)
강강(剛强):
마음이나 기력이 아주 단단하다.
 衆生과 녀나 주005)
녀나:
다른 남은. 그 밖의.
大弟子 리고 耆闍崛山 주006)
기사굴산(耆闍崛山):
기사다·길률타라구타·계리타라구지. 번역하여 추봉·추두·추대. 영취산이라 번역. 줄여서 영산. 중인도 마갈타국 왕사성의 동북쪽에 솟아 있고, 석존이 설법하던 곳으로 이름난 산이다. 지금의 차타산.
애 가 山 아래 주007)
아래:
상성과 거성으로 나타나는 ‘아래’는 ‘전에, 꾀 오래된 지난날에’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아래[下]’의 성조형은 여기에서와 같이 평성과 거성이다.
다라 기 주008)
기:
현대국어에서는 자음이 교체되어 ‘나즉나즉히’의 형태로 남아 있다. ‘조용히’.
거러 狼跡山애 올아 山頂에 다라 엄지밧가라로 山根을 면 그제 大地 十八相이 動리니 마 山頂에 가 彌勒이 소로 山 베면 轉輪王이 큰 城門 여 리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미륵의 하생 19]
그때 미륵불 제자들이 모두 단정하고 위엄을 갖추고 생로병사를 싫게 여겨 법문을 많이 알고 널리 배워 불경을 지켜서 선정을 행하고 여러 욕심을 떨쳐 새 껍데기에 나듯 할 것이다. 그때 미륵불이 사바세계의 전신이 단단한 중생과 그 밖의 대제자를 데리고 기사굴산에 가 산 아래 다다라 조용히 걸어 낭적산에 올라 산꼭대기에 다다라 엄지발가락으로 산근을 밟으면 그때 대지십팔상이 움직이리니 이미 산꼭대기에 가 미륵이 손으로 산을 베면 전륜왕이 큰 성문을 여는 듯하리니,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기본형은 ‘다’. ‘8종성가족용’의 규정에 의한 표기이다. 갖추다, 구비하다.
주002)
슬히:용언 ‘슬다’에서 파생된 부사. ‘슬다’는 동사로서 ‘싫어하다’의 이외에 ‘슬퍼하다’의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는 ‘싫게’의 의미로 쓰였다.
주003)
법장(法藏):온갖 법의 진리를 갈무리하고 있다는 뜻으로, ‘불경(佛經)’을 달리 이르는 말.
주004)
강강(剛强):마음이나 기력이 아주 단단하다.
주005)
녀나:다른 남은. 그 밖의.
주006)
기사굴산(耆闍崛山):기사다·길률타라구타·계리타라구지. 번역하여 추봉·추두·추대. 영취산이라 번역. 줄여서 영산. 중인도 마갈타국 왕사성의 동북쪽에 솟아 있고, 석존이 설법하던 곳으로 이름난 산이다. 지금의 차타산.
주007)
아래:상성과 거성으로 나타나는 ‘아래’는 ‘전에, 꾀 오래된 지난날에’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아래[下]’의 성조형은 여기에서와 같이 평성과 거성이다.
주008)
기:현대국어에서는 자음이 교체되어 ‘나즉나즉히’의 형태로 남아 있다. ‘조용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