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협주〉 미륵의 하생
  • 미륵의 하생 7
메뉴닫기 메뉴열기

미륵의 하생 7


[미륵의 하생 7]
그 나라해 그 轉輪王 주001)
전륜왕(轉輪王):
인도 신화 속의 임금. 정법(正法)으로 온 세계를 통솔한다고 한다. 여래의 32상(相)을 갖추고 칠보(七寶)를 가지고 있으며 하늘로부터 금, 은, 동, 철의 네 윤보(輪寶)를 얻어 이를 굴리면서 사방을 위엄으로 굴복시킨다. 윤왕(輪王)·전륜(轉輪)·전륜대왕·전륜성왕·전륜성제.
이 이쇼 일후미 蠰佉ㅣ리니 四種兵을 두어 威武 주002)
위무(威武):
위세와 무력을 아울러 이르는 말.
아니  四天下 주003)
사천하(四天下):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사방의 세계. 남쪽의 섬부주(贍部洲), 동쪽의 승신주(勝神洲), 서쪽의 우화주(牛貨洲),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이다. 사대주·사주(四洲).
 다리리니 그 王ㅅ 千子ㅣ 勇

월인석보 23:32ㄴ

猛고 히미 주004)
하:
많이, 크게. 중세국어에 있어서는 ‘하’[多] 이외에도 ‘외’[更], ‘밋’[及], ‘일’[早], ‘바’[直], ‘그르’[誤], ‘브르’[飽] 등 부사와 용언 어간이 일치하는 예들이 있다. 용언의 어간만으로 부사파생이 되었다고 볼 수도 있고, 하나의 단어가 용법을 달리하여 쓰이는 것이라고도 이해할 수도 있다.
能히 怨敵 주005)
원적(怨賊):
사람의 목숨을 해치고 재물을 빼앗는 도적.
야리리라 주006)
야리리라:
‘야리다’. 헐어 버리다. 손상되게 하다.
王이 七寶 주007)
칠보(七寶):
① 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은·유리·파리·마노·거거·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은·마노·유리·거거·진주·매괴를 이른다. ② 전륜성왕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보배. 윤보, 상보(象寶), 마보(馬寶), 여의주보, 여보(女寶), 장보(將寶), 주장신보를 이른다.
ㅣ 이쇼 金輪寶 주008)
금륜보(金輪寶):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지니고 있는 일곱 가지 보배 중 하나. 바퀴살이 1천 개에 이르는 바퀴 모양의 무기로서 그것을 굴리는 방향에 따라서 모두가 굴복하게 되는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다. 금륜(金輪), 금보(金寶).
象寶 주009)
상보(象寶):
전륜왕이 지니고 있다는 칠보(七寶)의 하나. 코끼리로, 왕이 타고 사해(四海)를 두루 다닐 수 있다고 한다.
馬寶 주010)
마보(馬寶):
전륜왕이 지니고 있다는 칠보(七寶)의 하나. 말로, 왕이 타고 천하를 두루 다닌다고 한다.
珠寶 女寶 주011)
여보(女寶):
전륜왕이 지니고 있다는 칠보(七寶)의 하나. 여인으로, 왕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항상 민첩하게 행동하고 몸과 마음을 충실히 한다고 한다.
主藏寶 主兵寶ㅣ리라  國土애 七寶臺 이쇼 노 千丈이오 千頭千輪이오 너븨 六十丈이리라  四大藏이 이쇼 大藏마다 各各 四億小藏이 圍繞리니 伊勒鉢大藏乾陀羅國에 잇고 般軸迦大藏彌緹羅國에 잇고 賓迦羅大藏須羅吒

월인석보 23:33ㄱ

에 잇고 蠰佉大藏波羅㮈國에 이시리니 이 四大藏이 縱廣이 千由旬이오 그 中에 珎寶ㅣ 리니 各各 四億小藏이 브터 잇거든 四大龍王이 各各 주012)
제:
상성으로 나타나는 여기서의 ‘제’는 ‘저+ㅣ’인 ‘자기가’로 보아야 한다. ‘스스로’라는 부사는 거성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단독형 ‘저’와 ‘저의’의 의미를 가지는 ‘제’는 평성이다.
守護리니 이 四大藏과 小藏히 自然히 소사나  蓮花거든 無央數 주013)
무앙수(無央數):
아승기(阿僧祇)와 같은 뜻.
人이 다 모다 가 보리라 ≪阿僧祇 주014)
아승기(阿僧祇):
〔Ⅰ〕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 승기(僧祇)·아증기·아승기야. 〔Ⅱ〕 ① 항하사(恒河沙)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56을 이른다. ② 예전에, 항하사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04을 이른다.
 無央數ㅣ라 혼 마리니 央 다 씨니 다옴 업슨 數ㅣ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미륵의 하생 7]
그 나라에 그때 전륜왕이 있되 이름이 상구이니 사종병을 두어 위무를 쓰지 아니하여 사천하를 다스릴 것이니 그 왕의 천자가 용맹하고 왕이 칠보가 있되 금륜보, 상보, 마보, 중보, 여보, 주장보, 주병보일 것이다. 또 국토에 칠보대가 있되 높이가 천장이고, 천두천륜이고, 너비가 육십장일 것이다. 또 사대장이 있되 대장마다 각각 사억 소장이 둘러싸리니 이륵발대장건타라국에 있고, 반축가대장미제라국에 있고, 빈가라대장수라타국에 있고 상구대장파라래국에 있을 것이니, 이 사대장이 종광이 천유순이고, 그 중에 진보가 가득할 것이니 각각 사억 소장이 붙어 있거든 사대용왕이 각각 자기가 수호하리니 이 사대장과 소장들이 자연히 솟아나 모습이 연화 같거든 무수한 사람이 다 모여 가서 볼 것이다.≪아승기는 무앙수라고 하는 말이니 앙은 다한다는 것이니 다함이 없는 수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전륜왕(轉輪王):인도 신화 속의 임금. 정법(正法)으로 온 세계를 통솔한다고 한다. 여래의 32상(相)을 갖추고 칠보(七寶)를 가지고 있으며 하늘로부터 금, 은, 동, 철의 네 윤보(輪寶)를 얻어 이를 굴리면서 사방을 위엄으로 굴복시킨다. 윤왕(輪王)·전륜(轉輪)·전륜대왕·전륜성왕·전륜성제.
주002)
위무(威武):위세와 무력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주003)
사천하(四天下):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사방의 세계. 남쪽의 섬부주(贍部洲), 동쪽의 승신주(勝神洲), 서쪽의 우화주(牛貨洲),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이다. 사대주·사주(四洲).
주004)
하:많이, 크게. 중세국어에 있어서는 ‘하’[多] 이외에도 ‘외’[更], ‘밋’[及], ‘일’[早], ‘바’[直], ‘그르’[誤], ‘브르’[飽] 등 부사와 용언 어간이 일치하는 예들이 있다. 용언의 어간만으로 부사파생이 되었다고 볼 수도 있고, 하나의 단어가 용법을 달리하여 쓰이는 것이라고도 이해할 수도 있다.
주005)
원적(怨賊):사람의 목숨을 해치고 재물을 빼앗는 도적.
주006)
야리리라:‘야리다’. 헐어 버리다. 손상되게 하다.
주007)
칠보(七寶):① 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은·유리·파리·마노·거거·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은·마노·유리·거거·진주·매괴를 이른다. ② 전륜성왕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보배. 윤보, 상보(象寶), 마보(馬寶), 여의주보, 여보(女寶), 장보(將寶), 주장신보를 이른다.
주008)
금륜보(金輪寶):전륜성왕(轉輪聖王)이 지니고 있는 일곱 가지 보배 중 하나. 바퀴살이 1천 개에 이르는 바퀴 모양의 무기로서 그것을 굴리는 방향에 따라서 모두가 굴복하게 되는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다. 금륜(金輪), 금보(金寶).
주009)
상보(象寶):전륜왕이 지니고 있다는 칠보(七寶)의 하나. 코끼리로, 왕이 타고 사해(四海)를 두루 다닐 수 있다고 한다.
주010)
마보(馬寶):전륜왕이 지니고 있다는 칠보(七寶)의 하나. 말로, 왕이 타고 천하를 두루 다닌다고 한다.
주011)
여보(女寶):전륜왕이 지니고 있다는 칠보(七寶)의 하나. 여인으로, 왕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항상 민첩하게 행동하고 몸과 마음을 충실히 한다고 한다.
주012)
제:상성으로 나타나는 여기서의 ‘제’는 ‘저+ㅣ’인 ‘자기가’로 보아야 한다. ‘스스로’라는 부사는 거성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단독형 ‘저’와 ‘저의’의 의미를 가지는 ‘제’는 평성이다.
주013)
무앙수(無央數):아승기(阿僧祇)와 같은 뜻.
주014)
아승기(阿僧祇):〔Ⅰ〕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 승기(僧祇)·아증기·아승기야. 〔Ⅱ〕 ① 항하사(恒河沙)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56을 이른다. ② 예전에, 항하사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04을 이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