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81 꾀꼬리는 나비를 쫓아 가로지른 대를 지나가고⋯
메뉴닫기 메뉴열기

081 꾀꼬리는 나비를 쫓아 가로지른 대를 지나가고⋯


가81

백련초해(동경대본) 14ㄴ

鶯 곳고리  兒 아  趂 을 딘주001)
을 딘:
따를 진(趂). ‘을’은 ‘따르다’의 뜻.
蝶 나 뎝 斜 빗글 샤주002)
빗글 샤:
비낄 사(斜). ‘빗글’은 ‘가로지른’의 뜻. 사동사와 피동사는 ‘빗기다〉비끼다’임.
穿  쳔 竹 대 듁
가야미 의주003)
가야미 의:
개미 의(蟻). ‘가야미’는 ‘개미’의 뜻. ¶이 南閻浮提예셔 가야미며 벌에 그지 업시 주기던 사미니〈월석 23:79ㄴ〉. 우흐로 諸佛에 니를며 아래로 가야미예 니르리 凡과 聖괏 因果 等 法이 다 緣을 조차 이셔(위로는 제불에 이르며 아래로는 개미에 이르기까지 범부와 성인의 인과 등의 법이 다 연(緣)을 좇아 있어서)〈금삼 5:36ㄱ〉.
子 아  拖 을 타 蟲 벌에  倒 갓글 도주004)
倒 갓글 도:
거꾸로 도(倒). 넘어질 도(倒). ‘갓글’은 ‘거꾸로 할’의 뜻. ‘갓ᄀᆞ로/갓고로/갓글/갓골〉갓고로디다〉거꾸러지다’. 『천자문』과 『훈몽자회』에는 없고, 『신증유합』에는 ‘倒 갓골 도’으로 되어 있다.
上 마  階 섬 계

곳고리 나 와 빗긴 대를주005)
빗긴 대를:
비껴 있는 대를. 가로질러 있는 대나무를. ‘빗긴’은 피동사 ‘비끼다’의 관형형.

가야미 벌애 어 것로 섬에 오놋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66
鶯  兒  趂 긘 蝶 뎝 斜 샤 穿 쳔 竹 듁
蟻 의 子  拖 타 虫 튱 倒 도 上 샹 階 계

곳고리 나 와 빗긴 대를 고
가야미 벌에를 어 것구르 셔메 오놋타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93 주006)
한문 원문에 방점이 없으며, 언해도 후대에 고친 흔적이 역력하다.
鶯  兒  趂 딘 蝶 뎝 斜 샤 穿 천 竹 듁
蟻 의 子  拖 타 虫 튱 倒 도 上 샹 階 계

곳고리 나 와 빗기 대을(를) 고
가야미 벌애를 어 깃(것)구로 서메 오놋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鶯兒趂蝶斜穿竹 蟻子拖蟲倒上階
새김 : 鶯 꾀꼬리 앵 兒 아이 아 趂 좇을 진 蝶 나비 접 斜 비낄 사 穿 꿰뚫을 천 竹 대 죽 蟻 개미 의 子 아들 자 拖 끌 타 蟲 벌레 충 倒 넘어질 도 上 위 상 階 섬돌 계
직역 : 꾀꼬리는 나비를 쫓아 가로지른 대를 지나가고, 개미는 벌레를 끌어 섬돌에 오르는구나.
의역 : 꾀꼬리 나비 쫓아 가로지른 대 지나가고, 개미 벌레 끌어 섬돌 위로 오르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을 딘:따를 진(趂). ‘을’은 ‘따르다’의 뜻.
주002)
빗글 샤:비낄 사(斜). ‘빗글’은 ‘가로지른’의 뜻. 사동사와 피동사는 ‘빗기다〉비끼다’임.
주003)
가야미 의:개미 의(蟻). ‘가야미’는 ‘개미’의 뜻. ¶이 南閻浮提예셔 가야미며 벌에 그지 업시 주기던 사미니〈월석 23:79ㄴ〉. 우흐로 諸佛에 니를며 아래로 가야미예 니르리 凡과 聖괏 因果 等 法이 다 緣을 조차 이셔(위로는 제불에 이르며 아래로는 개미에 이르기까지 범부와 성인의 인과 등의 법이 다 연(緣)을 좇아 있어서)〈금삼 5:36ㄱ〉.
주004)
倒 갓글 도:거꾸로 도(倒). 넘어질 도(倒). ‘갓글’은 ‘거꾸로 할’의 뜻. ‘갓ᄀᆞ로/갓고로/갓글/갓골〉갓고로디다〉거꾸러지다’. 『천자문』과 『훈몽자회』에는 없고, 『신증유합』에는 ‘倒 갓골 도’으로 되어 있다.
주005)
빗긴 대를:비껴 있는 대를. 가로질러 있는 대나무를. ‘빗긴’은 피동사 ‘비끼다’의 관형형.
주006)
한문 원문에 방점이 없으며, 언해도 후대에 고친 흔적이 역력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