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01 꽃이 난간 앞에서 웃되 소리를 듣지 못하고⋯
메뉴닫기 메뉴열기

001 꽃이 난간 앞에서 웃되 소리를 듣지 못하고⋯


가01
花 곳 화 笑 우움 쇼 檻 란간 함 前 앏 젼 聲 소 셩 未 아 미주001)
아 미:
아닐 미. ‘아’은 이 문헌에서 보이는 유일한 새김[字釋]이다.
聽 드를 텽
鳥 새 됴 啼 울 뎨 林 숨플 림 下 아래 하 淚 눈믈 루 難 어러울 난 看 볼 간

고지 란간 앏픠셔주002)
앏픠셔:
앏ㅎ(ㅎ말음명사)+의(특이처격)+셔. ‘앏ㅍ’은 중철표기. 앞에서.
우오주003)
우오:
웃+오. 웃되. 웃는데. 웃지만.
소 듣디 옫(몯)고주004)
듣디 옫고:
듣+디(부정의 보조적연결어미)#몯. ‘옫’은 ‘몯’의 오각임. 듣지 못하고.
새 수플 아래셔 우루주005)
우루:
울+우. 울되. 우는데. 울지만.
눈믈 보미 어렵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01
花 화 笑 쇼 檻 함 前 젼 聲 셩 未 미 聽 텽
鳥 됴 啼 뎨 林 님 下 하 淚 누 難 난 看 간

고지 난간 셔 우소 소 듣지 못고
새 수플 아래셔 우루 눈믈을 보미 어렵도다주006)
보미 어렵도다:
보기 어렵도다. 15~6세기의 ‘어렵다’는 ‘-오/우미’ 또는 ‘-디’를 지배하였다. ‘-기 어렵다’의 용례도 보인다. ¶正 法 쵸미 어렵더니〈석상 6:21ㄴ〉. 요미 어렵도다〈번소 8:41ㄱ〉. 히 멀면 乞食디 어렵고〈석상 6:23ㄴ〉. 그 初 알기 어렵고〈주역 6:28ㄱ〉.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01
花 화 笑주007)
필암서원본(筆巖書院本)의 한자의 우상(右上)에 표시되어 있는 권점(圈點)은 평측법(平仄法)의 측성(仄聲)을 표시한 것이다.
쇼 檻 함 前 젼 聲  未∘ 미 聽∘ 
鳥∘ 됴 啼 뎨 林 임 下∘ 하 淚∘ 누 難 란 看 간

고지 난간 알셔 우으 소를 듣디 몯고
새 플 아래셔 우로 눈므를 봄이 어렵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花笑檻前聲未聽 鳥啼林下淚難看주008)
이 한시(漢詩) 연구(聯句)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聯),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작자 미상, 제목 미상, 『파한집(破閑集)』 권하, 『매월당집(梅月堂集)』 권21.
새김주009)
역주에서 사용한 한자의 음과 훈은 동경대본에서 제시된 음과 훈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음과 훈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 花 꽃 화 笑 웃음 소 檻 난간 함 前 앞 전 聲 소리 성 未 □□주010)
다른 곳에서는 ‘아 미’로 제시되어 있다.
미 聽 들을 청 鳥 새 조 啼 울 제 林 수풀 림 下 아래 하 淚 눈물 루 難 어려울 난 看 볼 간.
직역 : 꽃이 난간 앞에서 웃되 소리를 듣지 못하고, 새가 수풀 아래서 울되 눈물 봄이 어렵도다.
의역 : 꽃은 난간 앞에서 웃는데 소리를 듣지 못하겠고, 새는 수풀 아래서 우는데 눈물 보기가 어렵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 미:아닐 미. ‘아’은 이 문헌에서 보이는 유일한 새김[字釋]이다.
주002)
앏픠셔:앏ㅎ(ㅎ말음명사)+의(특이처격)+셔. ‘앏ㅍ’은 중철표기. 앞에서.
주003)
우오:웃+오. 웃되. 웃는데. 웃지만.
주004)
듣디 옫고:듣+디(부정의 보조적연결어미)#몯. ‘옫’은 ‘몯’의 오각임. 듣지 못하고.
주005)
우루:울+우. 울되. 우는데. 울지만.
주006)
보미 어렵도다:보기 어렵도다. 15~6세기의 ‘어렵다’는 ‘-오/우미’ 또는 ‘-디’를 지배하였다. ‘-기 어렵다’의 용례도 보인다. ¶正 法 쵸미 어렵더니〈석상 6:21ㄴ〉. 요미 어렵도다〈번소 8:41ㄱ〉. 히 멀면 乞食디 어렵고〈석상 6:23ㄴ〉. 그 初 알기 어렵고〈주역 6:28ㄱ〉.
주007)
필암서원본(筆巖書院本)의 한자의 우상(右上)에 표시되어 있는 권점(圈點)은 평측법(平仄法)의 측성(仄聲)을 표시한 것이다.
주008)
이 한시(漢詩) 연구(聯句)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聯),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작자 미상, 제목 미상, 『파한집(破閑集)』 권하, 『매월당집(梅月堂集)』 권21.
주009)
역주에서 사용한 한자의 음과 훈은 동경대본에서 제시된 음과 훈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음과 훈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주010)
다른 곳에서는 ‘아 미’로 제시되어 있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