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04 꽃은 쇠잔하여도 반드시 다시 필 날이 있거니와⋯
메뉴닫기 메뉴열기

004 꽃은 쇠잔하여도 반드시 다시 필 날이 있거니와⋯


가04
花 곳 화 衰 쇠잔ㅎㄹ(ᄒᆞᆯ) 쇠주001)
쇠잔ㅎㄹ 쇠:
‘ㅎㄹ’은 ‘’의 오각. 『천자문』과 『훈몽자회』에는 없고 『신증유합』에 ‘衰 쇠 쇠’로 되어 있다.
必 반 필 有 이실 유 重 다시 듕 開 열  日 나 일
人 사 인 老 늘글 로 曾 일즉 승 無 업슬 무 更 가 주002)
가 :
『훈몽자회』에는 없고, 『천자문』 광주판에는 ‘更 가 ’, 칠장사판, 영장사판에는 ‘다시  更’, 송광사판에는 ‘更 고틸 ’, 『신증유합』에는 ‘更 고틸  다시  去聲’으로 되어 있다. ‘가’은 다른 훈에 비해서 고형일 것으로 추정되며 광주판 『천자문』에는 ‘更’ 이외에 ‘改’도 ‘가’이란 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백련초해』의 훈은 상당히 고형을 반영한 것이 된다. 여기서는 ‘更’의 훈은 ‘가’로 제시했으나 번역에서는 ‘다시’로 언해되었다. ‘가다’는 ‘바뀌다, 고치다’ 등의 의미로 자·타동 양용동사로 쓰였다. 아래에 자동사와 타동사 용법의 예를 각각 제시한다. ¶ 낱  좌샤 히 여위신 金色잇 가시리여〈월천 기63〉. 어미 밥 보고 貪  가디 몯야 왼 소로 바 쥐여 머그며〈월석 23:89ㄴ〉.
少 저믈 쇼 年  년

고 쇠잔야도 반시 다시 픨 나리 잇거니와
사 늘그면 일즉 다시 져믈  업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05

백련초해(박은용본) 2ㄱ

花 화 衰 쇠 必 필 有 유 重 듕 開  日 
人  老 로 曾 증 無 무 更  少 소 年 년

고 쇠잔야도 반시 다시 픨 나리 잇기니와
사 늘그면 일즉 다시 져믈  업도다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08
花 화 衰 쇠 必∘ 필 有∘ 유 重 듕 開  日∘ 
人  老∘ 로 曾 증 無 무 更  少∘ 쇼 年 련

백련초해(필암서원본) 3ㄱ

고 쇠잔야도 반시 다시 픨 나리 거니와
사 늘그면 일즉 다시 져믈  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花衰必有重開日 人老曾無更少年주003)
이 연구(聯句)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송(宋)나라 진저(陳著)의 시, 「속질부상도미권주(續姪溥賞酴醾勸酒)」의 수련(首聯)에 해당, 『본당집(本堂集)』 권1. 더 자세한 것은 해제의 각주 35)를 참조.
새김 : 花 꽃 화 衰 쇠잔할 쇠 必 반드시 필 有 있을 유 重 다시 중 開 열 개 日 날 일 人 사람 인 老 늙을 로 曾 일찍 증 無 없을 무 更 다시 갱 少 젊을 소 年 해 년
직역 : 꽃은 쇠잔하여도 반드시 다시 필 날이 있거니와, 사람은 늙으면 일찍 다시 저물 해가 없도다.
의역 : 꽃은 쇠잔하여도 반드시 다시 필 날이 있지만, 사람은 늙으면 일찍이 다시 젊어질 날이 없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쇠잔ㅎㄹ 쇠:‘ㅎㄹ’은 ‘’의 오각. 『천자문』과 『훈몽자회』에는 없고 『신증유합』에 ‘衰 쇠 쇠’로 되어 있다.
주002)
가 :『훈몽자회』에는 없고, 『천자문』 광주판에는 ‘更 가 ’, 칠장사판, 영장사판에는 ‘다시  更’, 송광사판에는 ‘更 고틸 ’, 『신증유합』에는 ‘更 고틸  다시  去聲’으로 되어 있다. ‘가’은 다른 훈에 비해서 고형일 것으로 추정되며 광주판 『천자문』에는 ‘更’ 이외에 ‘改’도 ‘가’이란 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백련초해』의 훈은 상당히 고형을 반영한 것이 된다. 여기서는 ‘更’의 훈은 ‘가’로 제시했으나 번역에서는 ‘다시’로 언해되었다. ‘가다’는 ‘바뀌다, 고치다’ 등의 의미로 자·타동 양용동사로 쓰였다. 아래에 자동사와 타동사 용법의 예를 각각 제시한다. ¶ 낱  좌샤 히 여위신 金色잇 가시리여〈월천 기63〉. 어미 밥 보고 貪  가디 몯야 왼 소로 바 쥐여 머그며〈월석 23:89ㄴ〉.
주003)
이 연구(聯句)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송(宋)나라 진저(陳著)의 시, 「속질부상도미권주(續姪溥賞酴醾勸酒)」의 수련(首聯)에 해당, 『본당집(本堂集)』 권1. 더 자세한 것은 해제의 각주 35)를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