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76 대 뿌리 땅에서 솟으니 용의 허리 굽은 듯하고⋯
메뉴닫기 메뉴열기

076 대 뿌리 땅에서 솟으니 용의 허리 굽은 듯하고⋯


가76
竹 대 듁 根 불휘 근 迸 소 병주001)
소 병:
솟을 병(迸). ‘迸’은 『천자문』과 『훈몽자회』에는 없고 『신증유합』에는 ‘迸 내틸 병 흐틀 병’으로 되어 있다.
地  디 龍 미르 주002)
미르 :
미르 용(龍). ‘미르’는 ‘용’의 고유어이다.
腰 허리 요 曲 고 곡
蕉 반쵸 쵸 葉 닙 엽 當 반  窓   鳳 새  尾 리 미 長 긴 

댓 불휘 해 소니 의 허리 고 고
반촛 닙피  발아 이시니주003)
발아 이시니:
닿아 있으니. 바[當]+아#이[在]+시+니. ‘바-’는 ‘바르다, 곧다’의 의미이다. 해제의 ‘희귀어 및 난해어’ 중 ‘발아 이시니’ 항목 참조.
의 리 긴 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13

백련초해(박은용본) 4ㄱ

竹 듁 根 근 迸 병 地 디 龍 뇽 腰 요 曲 곡
蕉 쵸 葉 엽 當 당 窓 창 鳳 봉 尾 미 長 댱

댓  해 소니 뇽의 허리 고븐 고
반춋 닙피 창의 발아시니 봉위 리 긴 ᄃᆞᆺ도다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24
竹 듁 根 근 迸∘ 병 地∘ 디 龍 룡 腰 요 曲∘ 곡
蕉 쵸 葉∘ 엽 當 당 窓 창 鳳∘ 봉 尾∘ 미 長 댱

백련초해(필암서원본) 7ㄱ

댓 불휘 해 소니 룡의 허리 고 고
반춋 니피 창의 발아시니 봉의 리 긴 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竹根迸地龍腰曲 蕉葉當窓鳳尾長주004)
이 연구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고려(高麗) 이규보(李奎報)의 시, 「우거천룡사유작(寓居天龍寺有作)」의 경연(頸聯),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권9, 『동문선(東文選)』 권14.
새김 : 竹 대 죽 根 뿌리 근 迸 솟을 병 地 땅 지 龍 용  腰 허리 요 曲 굽을 곡 蕉 파초 초 葉 잎 엽 當 반드시 당 窓 창 창 鳳 새 봉 尾 꼬리 미 長 긴 장
직역 : 대 뿌리 땅에서 솟으니 용의 허리 굽은 듯하고, 파초 잎이 창에 맞아 있으니 봉황의 꼬리 긴 듯하도다.
의역 : 대 뿌리 땅에서 솟으니 용 허리가 굽어 있고, 파초 잎 창에 맞아 있으니 봉황 꼬리 길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 병:솟을 병(迸). ‘迸’은 『천자문』과 『훈몽자회』에는 없고 『신증유합』에는 ‘迸 내틸 병 흐틀 병’으로 되어 있다.
주002)
미르 :미르 용(龍). ‘미르’는 ‘용’의 고유어이다.
주003)
발아 이시니:닿아 있으니. 바[當]+아#이[在]+시+니. ‘바-’는 ‘바르다, 곧다’의 의미이다. 해제의 ‘희귀어 및 난해어’ 중 ‘발아 이시니’ 항목 참조.
주004)
이 연구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고려(高麗) 이규보(李奎報)의 시, 「우거천룡사유작(寓居天龍寺有作)」의 경연(頸聯),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권9, 『동문선(東文選)』 권14.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