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02 꽃은 봄 뜻을 머금고 있음에 떼어져 다름이 없되⋯
메뉴닫기 메뉴열기

002 꽃은 봄 뜻을 머금고 있음에 떼어져 다름이 없되⋯


가02
花 곳 화 含 머구믈 함 春 봄 츈 意  의 無 업슬 무 分 홀 분 別 다 별
物 갓 믈 感 늗길 감 人 시 인 情  졍 有 이실 유 淺 여 쳔 深 기플 심

고츤 봄 들 머구머 이쇼매 텨 달로미 업소
므른 사믜주001)
중철 표기에 대해서는 해제 4.1. 표기 및 음운의 특징 중 ‘중철표기의 예’ 참조.
들 늗기게 호매 여트며 기프미 잇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03

백련초해(박은용본) 1ㄴ

花 화 含 함 春 □ 意 의 無 무 分 분 別 별
物 믈 感 감 人 인 情 졍 有 유 淺 쳔 深 심

고즌 봄 들 머구머 이쇼매 텨 달로미 업소
므른 사믜 들 늗기게 호매 여트며 기ㅍ미주002)
원본은 세로 쓰기가 되어 있으나 가로 쓰기로 표현하였다. 이하 모두 동일하다.
잇도다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02
花 화 含 함 春 츈 意∘ 의 無 무 分 분 別∘ 별
物∘ 믈 感∘ 감 人 인 情 졍 有 유 淺∘ 쳔 深 심

백련초해(필암서원본) 1ㄴ

고즌 봄 들 머구머 이쇼매주003)
머구머 이쇼매:
머금고 있음에. 15·6세기의 ‘-어 V’은 현대국어에서 ‘-고 V’로 해석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텨주004)
텨:
떼어. +티+어. ¶말 올히 너기샤 터리  주시고 손토  주시니〈월석 4:51ㄴ〉.  덥거든 혀 더디면 알포미 그츠리라〈구간 2:45ㄱ〉. 蓮줄기 텨  실 내여〈몽육 11ㄱ〉.
달로미 업소
므른 사 들 늗기게 호매 여트며 기프미 잇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花含春意無分別 物感人情有淺深주005)
이 연구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당(唐) 백낙천(白樂天)의 시, 「서성대화 억충주동파 신화수인기제동루(西省對花 憶忠州東坡 新花樹因寄題東樓)」의 경연(頸聯),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 권19.
새김 : 花 꽃 화 含 머금을 함 春 봄 춘 意 뜻 의 無 없을 무 分 나눌 분 別 다를 별 物 것 물 感 느낄 감 人 사람 인 情 뜻 정 有 있을 유 淺 옅을 천 深 깊을 심
직역 : 꽃은 봄 뜻을 머금고 있음에 떼어져 다름이 없되, 만물은 사람의 뜻을 느낌에 옅으며 깊음이 있도다.
의역 : 꽃은 봄 뜻을 머금음에 분별이 없으나, 만물은 사람에게 느끼게 함에 옅고 깊음이 있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중철 표기에 대해서는 해제 4.1. 표기 및 음운의 특징 중 ‘중철표기의 예’ 참조.
주002)
원본은 세로 쓰기가 되어 있으나 가로 쓰기로 표현하였다. 이하 모두 동일하다.
주003)
머구머 이쇼매:머금고 있음에. 15·6세기의 ‘-어 V’은 현대국어에서 ‘-고 V’로 해석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주004)
텨:떼어. +티+어. ¶말 올히 너기샤 터리  주시고 손토  주시니〈월석 4:51ㄴ〉.  덥거든 혀 더디면 알포미 그츠리라〈구간 2:45ㄱ〉. 蓮줄기 텨  실 내여〈몽육 11ㄱ〉.
주005)
이 연구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당(唐) 백낙천(白樂天)의 시, 「서성대화 억충주동파 신화수인기제동루(西省對花 憶忠州東坡 新花樹因寄題東樓)」의 경연(頸聯),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 권19.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