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78 소리가 서러운 두견이는 지는 달에서 울고⋯
메뉴닫기 메뉴열기

078 소리가 서러운 두견이는 지는 달에서 울고⋯


가78

백련초해(동경대본) 14ㄱ

聲 소리 셩 痛 알 통 杜 진외 두주001)
진외 두:
진달래 두(杜). ‘진외’는 ‘진달래’. 제30의 시 ‘척촉’ 참조.
鵑 접동새 견 啼 울 뎨 落 딜 락 月  월
態 양  娟 고 연 籬 울 리 菊 구홧 국주002)
구홧 국:
국화 국(菊). ‘구홧’은 ‘국화+ㅅ’이어서 이 당시에 이미 ‘菊花’의 초정 ‘국’의 ‘ㄱ’이 탈락된 형태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깃길 위주003)
깃길 위:
위로할 위(慰). ‘깃길’은 ‘깃기다’ 즉 ‘기쁘게 하다’의 뜻. ‘깃다’는 ‘기뻐하다’의 뜻인 ‘-’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된 사동사이다.
쇠잔 잔주004)
쇠잔 잔:
쇠잔할 잔(殘). 『천자문』에는 없고 『신증유합』에는 ‘殘 잔샹 잔’이라 되어 있다.
秋  츄

소 셜온 졉동새 디 래셔 울오
양 고온 울헷 구화 쇠잔  깃기놋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15

백련초해(박은용본) 4ㄴ

聲 셩 痛 통 杜 두 鵑 견 啼 뎨 落 낙 月 월
態  娟 언(연) 籬 니 菊 국 慰 위 殘 잔 秋 휴

소 셜온 졉동새 디 래셔 울고
양 고온 울헤 구화 쇠잔 ᄋᆞᆯ흘 깃기놋다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26
聲 셩 痛∘ 통 杜∘ 두 鵑 견 啼 뎨 落 락 月∘ 월
態  娟 연 籬 니 菊∘ 국 慰∘ 위 殘 잔 秋 츄

백련초해(필암서원본) 7ㄴ

소 셜은 졉동새 디 래셔 울오
양 고온 울헤 구화 쇠잔 ᄒᆞᆯ 위놋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聲痛杜鵑啼落月 態娟籬菊慰殘秋
새김 : 聲 소리 성 痛 아플 통 杜 팥배나무 두 鵑 두견이 견 啼 울 제 落 떨어질 락 月 달 월 態 모양 태 娟 고울 연 籬 울타리 리 菊 국화 국 慰 위로할 위 殘 쇠잔할 잔 秋 가을 추
직역 : 소리가 서러운 두견이는 지는 달에서 울고, 모습 고운 울밑의 국화는 쇠잔하는 가을을 기쁘게 하는구나.
의역 : 소리 서러운 두견이는 지는 달을 향해 울고, 모습 고운 울밑 국화는 쇠잔한 가을에게 위로하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진외 두:진달래 두(杜). ‘진외’는 ‘진달래’. 제30의 시 ‘척촉’ 참조.
주002)
구홧 국:국화 국(菊). ‘구홧’은 ‘국화+ㅅ’이어서 이 당시에 이미 ‘菊花’의 초정 ‘국’의 ‘ㄱ’이 탈락된 형태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003)
깃길 위:위로할 위(慰). ‘깃길’은 ‘깃기다’ 즉 ‘기쁘게 하다’의 뜻. ‘깃다’는 ‘기뻐하다’의 뜻인 ‘-’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된 사동사이다.
주004)
쇠잔 잔:쇠잔할 잔(殘). 『천자문』에는 없고 『신증유합』에는 ‘殘 잔샹 잔’이라 되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