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42 버들꽃이 길에 부딪치니 흰 모전을 깔았고⋯
메뉴닫기 메뉴열기

042 버들꽃이 길에 부딪치니 흰 모전을 깔았고⋯


가42

백련초해(동경대본) 8ㄱ

브드틸 침주001)
브드틸 침:
부딪칠 삼(糝). ‘브드틸’은 ‘부딪치다’의 뜻. 참조. ‘브드티다, 티다’. 『천자문』과 『신증유합』에는 없음. 『훈몽자회』 ‘糝 쥭심 참’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에 의하면 ‘糝’은 ねやす(쇠 따위를 쳐서 납작하게 만들다), ねばる(물건이 잘 달라붙다) 즉 ‘부딪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逕 길 경 楊 버들  花 곳 화 鋪  포 白   氈 시욱 젼주002)
시욱 젼:
모전(담요) 전(氈). ‘시욱’은 ‘담요, 모전’의 뜻. ¶호 머리로 벼개 삼고 細草로 시욱 삼노니〈영가 하:106ㄴ〉.
點 뎜틸 뎜 溪 시내 계 荷 넌 하 葉 닙 엽 疊 텹 텹 靑 프를 쳥 錢 돈 젼

버들지 길헤 브드티니주003)
브드티니:
부딪치니. 참조. ‘티다’. ¶무명오시 하 브드티니 민망여 뇌〈순천 11:84〉.
주004)
버들지 길헤 브드티니:
버들꽃이 길에 부딪치니. 동경대본과 박은용본은 번역이 비슷하나 필암서원본은 ‘길헤 브드텬 버들고지’로 번역되어 있다.
흰 시우글 랏고
년니피 내해 뎜 텨시니 프른 도 텸혓다주005)
텸혓다:
첩하였도다. ‘텸’은 ‘첩(疊)’의 오각으로 보인다. 해제의 ‘희귀어 및 난해어’ 중 ‘텸햇다’ 항목 참조.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43

백련초해(박은용본) 11ㄴ

糝 참 逕 경 楊 양 花 화 鋪 포 白  氈 젼
點 뎜 溪 계 荷 하 葉 엽 疊 텹 靑 쳥 錢 젼

버들고지 길헤 브도티니 흰 시우글 랏고
년니피 계해 뎜 텨시니 프른 도 뎝헛도다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74
糝∘ 참 逕∘ 경 楊 양 花 화 鋪 포 白∘  氈∘ 젼
點 뎜 溪 계 荷 하 葉∘ 엽 疊 텹 靑 쳥 錢 뎐

백련초해(필암서원본) 19ㄴ

길헤 브드텬 버들고지  시우글 랏고
시내헤 뎜 텬 년니피 프른 돈 텹얏드(도)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糝逕楊花鋪白氈 點溪荷葉疊靑錢주006)
이 연구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당(唐) 두보(杜甫)의 시, 절구만흥 구수(絶句漫興九首) 중 기칠(其七)의 기구(起句)와 승구(承句), 『두시상주(杜詩詳註)』 권9.
새김 :糝 부딪칠 삼 逕 길 경 楊 버들 양 花 꽃 화 鋪 깔 포 白 흰 백 氈 모전 전 點 점 칠 점 溪 시내 계 荷 연꽃 하 葉 잎 엽 疊 첩할 첩 靑 푸를 청 錢 돈 전
직역 : 버들꽃이 길에 부딪치니 흰 모전을 깔았고, 연잎이 내에 점 쳤으니 푸른 돈을 첩하였도다.
의역 : 버들꽃이 길에 부딪치니 흰 모전을 깔았고, 연잎이 내에 점 쳐 있으니 푸른 돈을 첩하였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브드틸 침:부딪칠 삼(糝). ‘브드틸’은 ‘부딪치다’의 뜻. 참조. ‘브드티다, 티다’. 『천자문』과 『신증유합』에는 없음. 『훈몽자회』 ‘糝 쥭심 참’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에 의하면 ‘糝’은 ねやす(쇠 따위를 쳐서 납작하게 만들다), ねばる(물건이 잘 달라붙다) 즉 ‘부딪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002)
시욱 젼:모전(담요) 전(氈). ‘시욱’은 ‘담요, 모전’의 뜻. ¶호 머리로 벼개 삼고 細草로 시욱 삼노니〈영가 하:106ㄴ〉.
주003)
브드티니:부딪치니. 참조. ‘티다’. ¶무명오시 하 브드티니 민망여 뇌〈순천 11:84〉.
주004)
버들지 길헤 브드티니:버들꽃이 길에 부딪치니. 동경대본과 박은용본은 번역이 비슷하나 필암서원본은 ‘길헤 브드텬 버들고지’로 번역되어 있다.
주005)
텸혓다:첩하였도다. ‘텸’은 ‘첩(疊)’의 오각으로 보인다. 해제의 ‘희귀어 및 난해어’ 중 ‘텸햇다’ 항목 참조.
주006)
이 연구의 작자, 시의 제목, 발췌 대상 연, 출전 및 권차 등은 다음과 같다 : 당(唐) 두보(杜甫)의 시, 절구만흥 구수(絶句漫興九首) 중 기칠(其七)의 기구(起句)와 승구(承句), 『두시상주(杜詩詳註)』 권9.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