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백련초해

  • 역주 백련초해
  • 백련초해(百聯抄解)
  • 006 꽃이 말을 아니하되 나비 유인하기를 잘하고⋯
메뉴닫기 메뉴열기

006 꽃이 말을 아니하되 나비 유인하기를 잘하고⋯


가06

백련초해(동경대본) 2ㄱ

花 곳 화 不 안득 블주001)
안득 블:
‘不’의 훈은 대부분의 자석류에서는 ‘아닐’이이지만 『백련초해』는 광주판 『천자문』과 함께 ‘안득’이다. 그런데 고려시대 석독구결에서 ‘不’에 현토된 구결 중에는 ‘안득’ 또는 ‘안’으로 추정되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백련초해』에 사용된 ‘안득’은 ‘更’의 훈 ‘가’과 함께 『백련초해』에 제시된 한자 훈이 고형을 보이는 예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아래에서 고려 석독구결의 예를 제시한다. ¶喜足 知 不 過失〈유가 13:15~19〉. 諸 煩惱行 動 令 能 不故〈금광 07:11~12〉.
語 말솜 어 言 말솜 언 能   引 혈 신(ᅀᅵᆫ)주002)
혈 신:
광주판, 칠장사판, 송광사판, 영장사판 등 모든 『천자문』과 『신증유합』, 『훈몽자회』에 ‘혈 인’으로 되어 있다. 『백련초해』의 한자음 ‘신’은 15세기 한자음 ‘’이 방언의 영향으로 바뀐 것이다. ¶引 혈 씨니 經 들  낼 씨라〈능엄 1:5ㄱ〉.
蝶 나 뎝
雨 비 우 無 업슬 므 門 오래 문주003)
오래 문:
‘門’의 훈 ‘오래’는 『천자문』 광주판, 칠장사판, 송광사판, 영장사판 ‘門 오래 문’, 『신증유합』 ‘門 문 문’, 『훈몽자회』 ‘門 문 문’ 등으로 되어 있다. ‘오래’는 한자어 ‘문’에 해당하는 고유어이다.
입 호주004)
입 호:
『천자문』 광주판, ‘戶 입 호’ 칠장사판, 영장사판 ‘지게 호 戶’, 송광사판 ‘戶 지거 호’, 『신증유합』 ‘戶 문 호’, 『훈몽자회』 ‘戶 입 호 宮宅’ 등으로 나타난다. ‘잎’의 ‘ㅍ’이 ‘ㅂ’으로 표기된 것이다. ‘잎’은 ‘門’에 대한 고유어인데 용례를 보이면 아래와 같다. ¶甁읫 믈이 며 다돈 이피 열어늘〈월석 7:6ㄱ〉. 이피 여렛거든  열오 이피 다댓거든  다도〈내훈 1:5ㄴ〉.
解 알  關 다 관 人 사 인

고지 마 아니호 나 혀오기주005)
나 혀오기:
나비 유인하기를. ‘혀오다’는 ‘혀다’와 같은 의미로 쓰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의 ‘오’는 사동접미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잘고
비 문회 업소 사 닫기 아놋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나07

백련초해(박은용본) 2ㄴ

花 화 不 블 語 어 言 언 能 능 引 인 蝶 뎝
雨 우 無 무 門 문 戶 호 解 희 關 관 人 인

고지 마 아니호 나 혀오기 잘고
비 문회 업소 사 닫기 아놋디(다)
Ⓒ 편찬 | 미상 / 1723년 월 일

다10
花 하 不∘ 블 語∘ 어 言 언 能 능 引∘ 인 蝶∘ 뎝
雨∘ 우 無 무 門 문 戶∘ 호 解∘  關 관 人 인

백련초해(필암서원본) 3ㄴ

고지 마 아니호 나 혀오기 잘고
비 문희 업소 샤 닫기 아놋다
Ⓒ 편찬 | 김인후(전) / 년 월 일

한시 : 花不語言能引蝶 雨無門戶解關人
새김 : 花 꽃 화 不 아니 불 語 말씀 어 言 말씀 언 能 능할 능 引 끌 인 蝶 나비 접 雨 비 우 無 없을 무 門 문 문 戶 지게 호 解 알 해 關 닫을 관 人 사람 인
직역 : 꽃이 말을 아니하되 나비 유인하기를 잘하고, 비가 문이 없되 사람 닫기를 아는구나.
의역 : 꽃은 말을 하지 않아도 나비를 잘 유혹하고, 비는 문이 없어도 사람 닫기를 아는구나.
Ⓒ 역자 | 김무봉, 김성주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안득 블:‘不’의 훈은 대부분의 자석류에서는 ‘아닐’이이지만 『백련초해』는 광주판 『천자문』과 함께 ‘안득’이다. 그런데 고려시대 석독구결에서 ‘不’에 현토된 구결 중에는 ‘안득’ 또는 ‘안’으로 추정되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백련초해』에 사용된 ‘안득’은 ‘更’의 훈 ‘가’과 함께 『백련초해』에 제시된 한자 훈이 고형을 보이는 예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아래에서 고려 석독구결의 예를 제시한다. ¶喜足 知 不 過失〈유가 13:15~19〉. 諸 煩惱行 動 令 能 不故〈금광 07:11~12〉.
주002)
혈 신:광주판, 칠장사판, 송광사판, 영장사판 등 모든 『천자문』과 『신증유합』, 『훈몽자회』에 ‘혈 인’으로 되어 있다. 『백련초해』의 한자음 ‘신’은 15세기 한자음 ‘’이 방언의 영향으로 바뀐 것이다. ¶引 혈 씨니 經 들  낼 씨라〈능엄 1:5ㄱ〉.
주003)
오래 문:‘門’의 훈 ‘오래’는 『천자문』 광주판, 칠장사판, 송광사판, 영장사판 ‘門 오래 문’, 『신증유합』 ‘門 문 문’, 『훈몽자회』 ‘門 문 문’ 등으로 되어 있다. ‘오래’는 한자어 ‘문’에 해당하는 고유어이다.
주004)
입 호:『천자문』 광주판, ‘戶 입 호’ 칠장사판, 영장사판 ‘지게 호 戶’, 송광사판 ‘戶 지거 호’, 『신증유합』 ‘戶 문 호’, 『훈몽자회』 ‘戶 입 호 宮宅’ 등으로 나타난다. ‘잎’의 ‘ㅍ’이 ‘ㅂ’으로 표기된 것이다. ‘잎’은 ‘門’에 대한 고유어인데 용례를 보이면 아래와 같다. ¶甁읫 믈이 며 다돈 이피 열어늘〈월석 7:6ㄱ〉. 이피 여렛거든  열오 이피 다댓거든  다도〈내훈 1:5ㄴ〉.
주005)
나 혀오기:나비 유인하기를. ‘혀오다’는 ‘혀다’와 같은 의미로 쓰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의 ‘오’는 사동접미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