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상2의2
  • 3.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①
  • 4. 수행의 방법을 자세하게 일러주심
  • 4-2) 관행을 하라 나) 관법과 지혜를 활용하라 72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관행을 하라 나) 관법과 지혜를 활용하라 72


【경】

원각경언해 상2의2:86ㄴ

彼淸淨故로

원각경언해 상2의2:86ㄴ

주001)
뎨:
저것이. ‘뎌’[彼]에 주격조사 ‘ㅣ’ 통합형. ‘뎌〉져’로의 구개음화는 권념요록(1637)의 “져 부쳐을”(7ㄴ) 같은 예로 보아 17세기 전반기에는 일반화한 듯함. ‘뎌’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로부터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 ‘뎌’는 앞서 말한 ‘4대·12처·18계·25유’를 가리킨다.
淸쳥淨 주002)
청정(淸淨):
청정하므로. 깨끗하므로. 다른 것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아 맑고 깨끗하므로.

저것이 청정하므로… [출세간의 모든 법이 깨끗하다.](제6권 상권 2의2에 이어짐)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2:86ㄴ

摠牒前엣 世間諸法也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2:86ㄴ

알 世솅間간 諸졍法법을 뫼화 牒뗩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말한 출세간의 모든 법을 모아 이어받아서 말씀하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5월 1일

주석
주001)
뎨:저것이. ‘뎌’[彼]에 주격조사 ‘ㅣ’ 통합형. ‘뎌〉져’로의 구개음화는 권념요록(1637)의 “져 부쳐을”(7ㄴ) 같은 예로 보아 17세기 전반기에는 일반화한 듯함. ‘뎌’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로부터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 ‘뎌’는 앞서 말한 ‘4대·12처·18계·25유’를 가리킨다.
주002)
청정(淸淨):청정하므로. 깨끗하므로. 다른 것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아 맑고 깨끗하므로.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