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상2의2
  • 3.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①
  • 4. 수행의 방법을 자세하게 일러주심
  • 4-2) 관행을 하라 나) 관법과 지혜를 활용하라 56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관행을 하라 나) 관법과 지혜를 활용하라 56


【경】

원각경언해 상2의2:67ㄴ

見塵이 淸淨며

원각경언해 상2의2:67ㄴ

見견塵띤이 淸淨며

견진[見塵=보는 티끌]이 청정하며,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2:67ㄴ

下聞覺等을 例此야 皆云塵也ㅣ니 謂由我心計執故로 見一切色相고 由執相故로 卽見等이 是塵이니

원각경언해 상2의2:68ㄱ

不單說外色等야 名塵며 亦不獨說根識야 名塵이니 根塵識三이 自有文故ㅣ라 尋此見塵等體컨댄 還是我執之心이니 但以就取相生過之處야 而別立名니라 又亦不離根境識三야 而別有體

원각경언해 상2의2:68ㄴ

니 如五蘊之法과 與蘊中之我왜 非別며 非同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2:68ㄴ

아래 聞문과 覺각과  이 例롕야 다 니샤 塵띤이니 닐오 내 미 혜여 자보 브틀 一切촁ㅅ 色相 보고 相 자보 브틀 곧 見견等이 이 塵띤이니 밧긧 色等을 오 닐어 일후미 塵띤이 아니며  根과 識식과 오 닐어 일후미 塵띤이 아니니 根과 塵띤과 識식과 세히 제 그리 잇 젼라 이 見견塵띤等의 體톙 건댄 주001)
건댄:
찾건댄. 찾아보자면. ‘尋(심)’의 대역. ‘-건댄’은 뒤에 오는 절의 내용이 화자가 생각하는 내용임을 미리 밝히는 연결어미. 어간 ‘-’ 뒤에 자음 어미 ‘거’가 온 경우로 8종성가족용법의 제약을 받아 제1음절 말음 ‘ㅈ’을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ㅅ’으로 교체하여 ‘건댄⇒건댄’으로 적은 것임.
도로 이 我執집 주002)
아집(我執):
‘나’라는 실재(實在)가 있다고 생각하여 집착하는 견해.
미니 오직 相 取츙야 허믈 난 고대 나가 各각別히 일후믈 셰니라  根과 境과 識식과 세흘 여희여 各각別 體톙 잇디 아니니 五蘊 주003)
오온(五蘊):
인간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 ① 색온(色蘊): 신체 및 물질, ② 수온(受蘊): 감수작용(感受作用), ③ 상온(想蘊): 마음에 떠오르는 표상작용(表象作用), ④ 행온(行蘊): 수(受)·상(想) 이외의 일반적인 마음 작용, ⑤ 식온(識薀): 인식작용(認識作用).
ㅅ 法법과 蘊

원각경언해 상2의2:69ㄱ

中엣 我왜 다디 아니며 디 아니호미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아래 문[聞=들음]과 각[覺=느낌] 같은 것들을 이것을 예하여 모두 진(塵)이라 이르시니, 내 마음이 헤아려 집착함에 의거하므로 일체의 색상(色相)을 보고 모습[相]에 집착함에 의지하여 곧 견[見=봄] 등 이 진(塵)이라 이르신 것이니, 밖에 있는 색(色) 등을 혼자 일러 이름한 것이 진(塵)이 아니며, 또 근(根)과 식(識)을 혼자 일러 진(塵)이라 이름한 것이 아니니, 근(根)과 진(塵)과 식(識) 셋은 스스로 글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견진[見塵=보는 티끌] 등의 실체를 찾아보자면 다시 이것이 아집(我執)의 마음이니, 오직 상(相)을 취하여 허물이 생겨난 곳에 나아가 특별히 이름을 세운 것이다. 또 근(根)과 경(境)과 식(識) 셋을 여의어 특별한 실체가 있지 아니하니, 오온(五蘊)의 법(法)과 온(蘊) 중에 있는 아(我)가 다르지 아니하며, 같지도 아니함과 같으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6년 5월 1일

주석
주001)
건댄:찾건댄. 찾아보자면. ‘尋(심)’의 대역. ‘-건댄’은 뒤에 오는 절의 내용이 화자가 생각하는 내용임을 미리 밝히는 연결어미. 어간 ‘-’ 뒤에 자음 어미 ‘거’가 온 경우로 8종성가족용법의 제약을 받아 제1음절 말음 ‘ㅈ’을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ㅅ’으로 교체하여 ‘건댄⇒건댄’으로 적은 것임.
주002)
아집(我執):‘나’라는 실재(實在)가 있다고 생각하여 집착하는 견해.
주003)
오온(五蘊):인간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 ① 색온(色蘊): 신체 및 물질, ② 수온(受蘊): 감수작용(感受作用), ③ 상온(想蘊): 마음에 떠오르는 표상작용(表象作用), ④ 행온(行蘊): 수(受)·상(想) 이외의 일반적인 마음 작용, ⑤ 식온(識薀): 인식작용(認識作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