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상2의2
  • 3.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①
  •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서문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2:1ㄱ

自下大文第二廣明行相이 有九問答시니 類束爲三노니 初四問答은 通明觀行이니 上根脩證이오

원각경언해 상2의2:1ㄴ

次四問答은 別明觀行이니 中根脩證이오 後一問答은 道場加行이니 下根脩證이라 然此三門이 前前은 不假後後고 後後 必躡前前이라 初中이 四ㅣ니 一은 開示觀門同佛이오 二 徵釋迷悟始終이오 三은 深究輪廻之根이오 四 略分脩證之位라 就初門中文四야 文三은 皆

원각경언해 상2의2:2ㄱ

同前也니라 今初進問威儀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2:2ㄱ

이브터 아래 大땡文문 第똉二 行相 주001)
행상(行相):
마음의 작용. 행(行)은 마음의 움직임, 상(相)은 이것을 파악하는 것. 분별심이 대상을 인식하는 작용의 상태.
 너비 기샤미 아홉 묻옴과 對됭答답이 겨시니 類로 뭇거 주002)
뭇거:
묶어. -[束]+어(어미). ‘-〉묶-’은 마경초집언해(1682)에 보임. 명사는 ‘뭇’. ¶딥 세 무슬 어더(월8:99). 머리 묵(마경,상47ㄱ). 束 뭇속(유합, 하7).
세흘 노니 첫 네 묻옴과 對됭答답샤 觀관行 주003)
관행(觀行):
관심수행(觀心修行)의 준말. 마음으로 진리를 관조하여 진리와 같이 몸소 실행함.
 通히 기샤미니 上根 주004)
상근(上根):
상근기(上根機). 지혜나 직관력이 매우 좋아서 반야류의 경전을 능히 이해할 수 있는 근기가 있는 사람. ‘근기’는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을 받고 교화를 입을 수 있는 소질과 수행을 통해서 얻은 능력.
修證 주005)
수증(修證):
불법의 가르침에 따라 실행하고 수습(修習)하여 깨닫는 것.
이오 버근 주006)
버근:
버금가는. 다음가는. 어간 ‘벅-’[次]에 관형사형 ‘은’의 통합형.
네 묻옴과 對됭答답샤 觀관行 各각別히 기샤미니 中根 주007)
중근(中根):
근기(根機)를 상중하로 나눌 때 법(法)을 이해하는 능력에서 중간 수준에 속하는 사람.
의 修證이오 後ㅅ  묻옴과 對됭答답샤 道場 주008)
도장(道場):
도량. 불도를 수행하는 곳. 부처님에게 공양을 올리는 장소, 또는 여러 가지 불교의식을 행하는 청정한 곳을 통칭함. 한자어 ‘道場’을 15세기 현실음으로 재구하면 [*:도]이지만, 모음간 초성의 ‘ㄷ〉ㄹ’ 변화로 [:도](육조, 서18ㄴ)으로 발음함. 그 밖에 ‘보리[菩提]·례[次第]·모란[牧丹]’ 등이 더 있음. 오늘날 ‘道場(도장)’은 무예를 닦는 곳.
애 行 더호미니 下根 주009)
하근(下根):
법을 이해하는 능력이 가장 낮은 사람.
의 修證이라 그러나 이 세 門몬이 前쪈前쪈은 後後를 븓디 아니고 後後는 반기 前쪈前쪈을 드듸니라 주010)
드듸니라:
디딘 것이다. 밟은(=거친) 것이다. ‘躡(섭)’의 대역으로 “순서나 절차를 거쳐 나가다”의 뜻.
처 中이 네히니 나 觀관門몬 주011)
관문(觀門):
마음이나 부처, 정토 등의 경계를 지혜로써 비추어보는 것. 이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觀門)이라 함.
이 부텨 호 여러 뵈샤미오 둘흔 迷몡와 아롬괏 처과 초 묻와 사기샤미오 세흔 輪륜廻 주012)
윤회(輪廻):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해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원각경언해 상2의2:2ㄴ

ㅅ 根源을 기피 窮究샤미오 네흔 修證ㅅ 位윙를 略략히 호샤미라 처 門몬中ㅅ 文문 네헤 나가 文문이 세흔 다 앏 니라 이제 처 나 묻 威儀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여기부터 아래 대문(大文) 제2 행상(行相)을 널리 밝히심이 아홉 가지 물으심과 대답이 계신데 부류로 묶어서 셋[=상근·중근·하근]을 만들었다. 처음 4가지 물으심과 대답하심은 관행(觀行)을 통하게 밝히심이니 상근(上根)의 수증(修證)이고, 다음 4가지 물으심과 대답하심은 관행을 특별히 밝히신 것이니 중근(中根)의 수증이고, 뒤의 한 가지 물으심과 대답하심은 도량에서 행(行)을 더하는 것이니 하근(下根)의 수증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문(門)이 전전(前前)은 후후(後後)에 의거하지 아니하고, 후후는 응당 전전을 디딘 것이다. 처음 부류는 넷이니 하나는 관문(觀門)이 부처님과 같음을 열어 보이심이고, 둘은 미혹함과 깨달음의 처음과 마침[始終]을 묻자와 새기심이고, 셋은 윤회의 근원을 깊이 궁구(窮究)하심이고, 넷은 수증의 지위(地位)를 간략히 나누심이다. 처음 문중(門中)의 문장 넷에 나아가 문장 셋은 모두 앞과 같은 것이다. 지금 〈이것은〉 처음 나아가 물으시는 위의[威儀=위엄 있는 모습]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5월 1일

주석
주001)
행상(行相):마음의 작용. 행(行)은 마음의 움직임, 상(相)은 이것을 파악하는 것. 분별심이 대상을 인식하는 작용의 상태.
주002)
뭇거:묶어. -[束]+어(어미). ‘-〉묶-’은 마경초집언해(1682)에 보임. 명사는 ‘뭇’. ¶딥 세 무슬 어더(월8:99). 머리 묵(마경,상47ㄱ). 束 뭇속(유합, 하7).
주003)
관행(觀行):관심수행(觀心修行)의 준말. 마음으로 진리를 관조하여 진리와 같이 몸소 실행함.
주004)
상근(上根):상근기(上根機). 지혜나 직관력이 매우 좋아서 반야류의 경전을 능히 이해할 수 있는 근기가 있는 사람. ‘근기’는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을 받고 교화를 입을 수 있는 소질과 수행을 통해서 얻은 능력.
주005)
수증(修證):불법의 가르침에 따라 실행하고 수습(修習)하여 깨닫는 것.
주006)
버근:버금가는. 다음가는. 어간 ‘벅-’[次]에 관형사형 ‘은’의 통합형.
주007)
중근(中根):근기(根機)를 상중하로 나눌 때 법(法)을 이해하는 능력에서 중간 수준에 속하는 사람.
주008)
도장(道場):도량. 불도를 수행하는 곳. 부처님에게 공양을 올리는 장소, 또는 여러 가지 불교의식을 행하는 청정한 곳을 통칭함. 한자어 ‘道場’을 15세기 현실음으로 재구하면 [*:도]이지만, 모음간 초성의 ‘ㄷ〉ㄹ’ 변화로 [:도](육조, 서18ㄴ)으로 발음함. 그 밖에 ‘보리[菩提]·례[次第]·모란[牧丹]’ 등이 더 있음. 오늘날 ‘道場(도장)’은 무예를 닦는 곳.
주009)
하근(下根):법을 이해하는 능력이 가장 낮은 사람.
주010)
드듸니라:디딘 것이다. 밟은(=거친) 것이다. ‘躡(섭)’의 대역으로 “순서나 절차를 거쳐 나가다”의 뜻.
주011)
관문(觀門):마음이나 부처, 정토 등의 경계를 지혜로써 비추어보는 것. 이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觀門)이라 함.
주012)
윤회(輪廻):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해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