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상2의1
  • 2. 보현보살장(普賢菩薩章)
  • 4. 핵심을 알려주고 깨닫는 지름길을 터주심
  • 4-3) 번뇌가 사라지면 깨침이 드러남 2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번뇌가 사라지면 깨침이 드러남 2


【경】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應當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반기 주001)
반기:
반드시. 응당(應當). 마땅히. 정확한 차이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 국어에는 ‘반기’ 이외에도 반시(두초24:32), 반개(두초25:2), 모(용88) 등이 사용되었다.

반드시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誡勸之辭也ㅣ니 展轉四重이라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警誡갱야 勸퀀시 말미니 올며 올마 네 비라

경계(警誡)하여 권하시는 말씀이니 옮기고 옮겨 네 겹이다.

【경】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遠離一切幻化虛妄境界니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一切촁ㅅ 幻化황 주002)
환화(幻化):
실체가 없는 것이 현재 있는 것처럼 되어 있는 것. 환(幻)은 환술사가 만들어 낸 것이고, 화(化)는 부처나 보살이 신통력으로 지어 낸 것으로 구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虛헝妄 주003)
허망(虛妄):
진실하지 않고 공허한. 진실과는 다른. 미혹(迷惑)으로부터 발생한 현상의.
境界갱 주004)
경계(境界):
세력이 미치는 범위.
머리 주005)
머리:
멀리. 멀-[遠]+이(부사파생접사). 중세어 문헌은 소리 나는 대로 음절화하여 [머·리]로 적었다. “머리[頭], 머리털[髮]”을 뜻하는 경우와 동음이의어의 관계에 있었다. 선조판 소학언해(1586)에 ‘멀리’(2:11)가 나타난다.
여희욜디니 주006)
여희욜디니:
여의어야 할 것이니. 떠나보내야 할 것이니. 용언 어간에 어미구조체 ‘-(오/우)ㄹ디니’가 결합하여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할 것이니”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원각경언해(1465)보다 앞서 간행된 문헌에는 ‘-(오/우)ㅭ디니’ 또는 ‘-(오/우)-ㄹ띠니’ 등으로 표기하였다. ¶닐디니(능2:108), 사몰띠니(법화7:159). 여희-[離]+요/유+ㄹ디니(←ㄹ++이니). 근대국어 시기에 의도법 선어말어미 ‘오/우’ 등이 소멸하고 구개음화를 겪어 ‘-ㄹ지니’로 변화하였다.

일체의 환화인 허망한 경계를 멀리 여의어야 할 것이니,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一은 離諸幻境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1:44ㄱ

나 한 幻 境을 여희요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하나는 많은 환(幻)의 경계를 여의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5월 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반기:반드시. 응당(應當). 마땅히. 정확한 차이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 국어에는 ‘반기’ 이외에도 반시(두초24:32), 반개(두초25:2), 모(용88) 등이 사용되었다.
주002)
환화(幻化):실체가 없는 것이 현재 있는 것처럼 되어 있는 것. 환(幻)은 환술사가 만들어 낸 것이고, 화(化)는 부처나 보살이 신통력으로 지어 낸 것으로 구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주003)
허망(虛妄):진실하지 않고 공허한. 진실과는 다른. 미혹(迷惑)으로부터 발생한 현상의.
주004)
경계(境界):세력이 미치는 범위.
주005)
머리:멀리. 멀-[遠]+이(부사파생접사). 중세어 문헌은 소리 나는 대로 음절화하여 [머·리]로 적었다. “머리[頭], 머리털[髮]”을 뜻하는 경우와 동음이의어의 관계에 있었다. 선조판 소학언해(1586)에 ‘멀리’(2:11)가 나타난다.
주006)
여희욜디니:여의어야 할 것이니. 떠나보내야 할 것이니. 용언 어간에 어미구조체 ‘-(오/우)ㄹ디니’가 결합하여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할 것이니”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원각경언해(1465)보다 앞서 간행된 문헌에는 ‘-(오/우)ㅭ디니’ 또는 ‘-(오/우)-ㄹ띠니’ 등으로 표기하였다. ¶닐디니(능2:108), 사몰띠니(법화7:159). 여희-[離]+요/유+ㄹ디니(←ㄹ++이니). 근대국어 시기에 의도법 선어말어미 ‘오/우’ 등이 소멸하고 구개음화를 겪어 ‘-ㄹ지니’로 변화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