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5집 상2의1
  • 2. 보현보살장(普賢菩薩章)
  • 4. 핵심을 알려주고 깨닫는 지름길을 터주심
  • 4-1) 무명도 결국은 원각에서 생기는 것임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무명도 결국은 원각에서 생기는 것임 3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1:26ㄱ

三은 能詮所詮逆順本이 皆無障礙니 由稱法性

원각경언해 상2의1:26ㄴ

히 直譚이오 不逐機宜샤 異說故로 卽圓敎也ㅣ라

원각경언해 상2의1:26ㄴ

唯心之義ㅣ 經論所宗이니 迷之則觸向애 面牆이오 解之則萬法이 臨鏡이리니 況此標爲義本을 如何不盡源流ㅣ리오 達者 審之야 勿嫌具列이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1:32ㄱ

세흔 能詮所송詮과 거슬며 順쓘홈과 本본末이 다 룜 업스니 法법性셩 주001)
법성(法性):
모든 법의 본성 또는 체성(體性). 각 학파에 따라 진여(眞如), 진여 법성, 진법성(眞法性), 진성(眞性) 등으로 다름.
에 맛게 바 니샤미오 機긩宜 주002)
기의(機宜):
시기나 형편에 알맞음. 중생에게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선근(善根)이 있어 교화하기가 쉬움.
를 조샤 달이 주003)
달이:
달리. 다-[異]+이(부사파생접사). 불규칙용언인데 모음 어미 아래서 ‘ㄹ·ㅇ’형과 ‘ㄹ·ㄹ’형의 두 어형으로 활용함. ¶리(석6:40). 믈리 조치샤(용35).
닐옴 아니 실 곧 圓敎ㅣ라 오직 미라 혼 디 經論론 주004)
경론(經論):
불보살이 설한 내용을 담은 경(經)과 논(論).
애 宗논 고디니 迷몡면 向  다라  向호미오【사미  담 向야 셔면 곧 百萬먼 가짓 差창別物色 주005)
차별물색(差別物色):
각각의 사물이 서로 다른 독자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양태. 사물의 다양한 빛깔.
을 다 보디 몯홈 니라】
알면 萬먼法법이 거우루 보미리니 며 이 標샤 義ㅅ 根本본 사샤 엇뎨 根源과 그틀 다디 아니리오 알리 仔細솅히 야 초 버류믈 주006)
버류믈:
버리-[列]+움(명사형 어미)+을(목적격). ‘리-’는 “버리다”[棄]는 뜻으로, 당시 ‘버리-:리-’는 최소대립어였다.
疑心심 마롤디니라 주007)
마롤디니라:
말아야 할 것이다. “해야 한다, 해야 할 것이다”는 뜻의 당위법은 용언 어간에 ‘-(오/우)+ㄹ+디니라’로 표현됨. 15세기 중기에는 ‘-(오/우)ㅭ디니라≈-(오/우)ㄹ띠니라’로 쓰다가, 이 책부터 ‘ㆆ’과 각자병서 폐지로 ‘마롤디니라’로 적기 시작했다. ¶工夫 닐디니라(몽33ㄱ). 仔細히 홀띠니라(영가, 상:서3).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셋은 능전(能詮)·소전(所詮), 거스르며 좇음, 본(本)·말(末)이 모두 가로막음이 없으니, 법성(法性)에 맞게 바로 말씀하신 것이고, 기의(機宜)를 좇으시어[=따라서] 달리 말하지 아니하므로 곧 원교(圓敎)이다. 오직 마음이라고 한 뜻은 경론(經論)에서 종(宗)하는[=받드는] 바이니, 미혹하면 향한 곳에 다다라 담장을 향하는 것이고【사람이 낯을 담장 향하여 서면 곧 백만 가지 차별물색(差別物色)을 모두 보지 못함과 같으니라.】 깨달으면 만법(萬法)이 거울을 봄과 같으리니, 하물며 여기에 표하시어 의(義)의 근본 삼으심을 어찌 근원과 끝을 다하지 아니하리오? 아는 사람은 자세히 하여 갖추어 나열함을 의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5월 1일

주석
주001)
법성(法性):모든 법의 본성 또는 체성(體性). 각 학파에 따라 진여(眞如), 진여 법성, 진법성(眞法性), 진성(眞性) 등으로 다름.
주002)
기의(機宜):시기나 형편에 알맞음. 중생에게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선근(善根)이 있어 교화하기가 쉬움.
주003)
달이:달리. 다-[異]+이(부사파생접사). 불규칙용언인데 모음 어미 아래서 ‘ㄹ·ㅇ’형과 ‘ㄹ·ㄹ’형의 두 어형으로 활용함. ¶리(석6:40). 믈리 조치샤(용35).
주004)
경론(經論):불보살이 설한 내용을 담은 경(經)과 논(論).
주005)
차별물색(差別物色):각각의 사물이 서로 다른 독자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양태. 사물의 다양한 빛깔.
주006)
버류믈:버리-[列]+움(명사형 어미)+을(목적격). ‘리-’는 “버리다”[棄]는 뜻으로, 당시 ‘버리-:리-’는 최소대립어였다.
주007)
마롤디니라:말아야 할 것이다. “해야 한다, 해야 할 것이다”는 뜻의 당위법은 용언 어간에 ‘-(오/우)+ㄹ+디니라’로 표현됨. 15세기 중기에는 ‘-(오/우)ㅭ디니라≈-(오/우)ㄹ띠니라’로 쓰다가, 이 책부터 ‘ㆆ’과 각자병서 폐지로 ‘마롤디니라’로 적기 시작했다. ¶工夫 닐디니라(몽33ㄱ). 仔細히 홀띠니라(영가, 상:서3).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