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해〕 識知ㅣ 皆出於性明 故로 曰性이 識인 明知라 시니라 識이 雖覺明之咎ㅣ나 其體 實眞 故로 曰覺이 明인 眞識이라 시니라 體用이 不二며 眞妄이 一如 所以迭擧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識
과 知
왜 주011) 다 性明에셔
날 주012) 이런로
니샤 주013) 性이 識인
明知라 시니라
識이 비록 覺明의
허므리나 주014) 그 體 實로 眞
이런로 니샤 覺이 明인 眞識이라 시니라
體用이 둘 아니며 眞妄이 가지로 如 이럴
서르 주015) 드러 니르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식’과 ‘지’가 다 성명에서 나므로, 이런고로 이르시기를, “‘성’이 ‘식’인
명지라.” 하신 것이다.
‘식’이 비록 각명의 흠이나, 그 ‘체’는 실로 ‘진’하므로,
이런고로 이르시기를, “‘각’이 ‘명’인 진식이라”고 하신 것이다.
‘체’와 ‘용’이 둘이 아니며, ‘진’과 ‘망’이
한가지로 ‘여’ 주016) 한가지로 「여」: 일여(一如). 차별 없이 평등함.
하므로, 이러므로 서로 들어서 이르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