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13-2. 육입(六入)이 곧 여래장
  • 13-2. 육입이 곧 여래장○3. 비입 2
메뉴닫기 메뉴열기

13-2. 육입이 곧 여래장○3. 비입 2


능엄경언해 권3:7ㄴ

二. 辯妄無實
〔경문〕 因于通塞二種妄塵야 發聞居中야셔 吸此塵象호 名齅聞性이니 此聞이 離彼通塞二塵면 畢竟에 無體니 當知라 是聞이 非通塞로셔 來며 非於根에셔 出이며 不於空애셔 生이니 何以故오 若從通야 來ㄴ댄 塞면 則聞이 滅려니 云何知塞이며 如因塞야 有댄 通면 則無聞려니 云何發明香臭等觸이며 若從根야 生인댄 必無通塞리니 如是聞機ㅣ 本無自性리라 若從空야 出인댄 是聞이 自當廻齅汝鼻려닛 空이 自有聞이어니 何關汝入리오

〔경문〕

능엄경언해 권3:8ㄱ

通과 마곰과 주001)
마곰과:
막음과. 「막-+오/우+ㅁ+과」 막힘과.
두 가짓 妄塵을 因야 드로미 주002)
드로미:
들음이.
나 中에 이셔 주003)
이셔:
있어. 「이시-+어」.
이 드틀 象 드리 일후미 맏 주004)
맏:
맡는.
性이니 마토미 주005)
마토미:
맡음이. 「맡-+오/우+ㅁ+이」.
뎌 通과 마곰과 두 드트를 여희면 매 體 업스니 반기 알라 이 마토미 通며 마고로셔 주006)
마고로셔:
막음에서.
오디 아니며 根애셔 나디 아니며 空애셔 나디 아니니 엇뎨어뇨 다가 通 브터 딘댄 마면 주007)
마면:
막으면.
마토미 업스려니 엇뎨 마고 알며

능엄경언해 권3:8ㄴ

다가 마고 因야 이딘댄 주008)
이딘댄:
있을진댄. 있을 것이라면. 「이시-+오/우+ㅭ+디+ㄴ댄」 「-ㄴ댄」 조건·가정을 나타내는 이음법 씨끝.
通면 마토미 업스려니 엇뎨 香과 臭와 等의 觸 發明며 다가 根 브터 딘댄 반기 通과 마곰괘 업스리니 이티 맏 주009)
맏:
맡는. 「맡-」[嗅].
機ㅣ 주010)
機ㅣ:
기가. 임자자리토 「-ㅣ」.
本來 제 性이 업스리라 다가 空 브터 딘댄 이 마토미 주011)
마토미:
맡음이. 「맡-+오/우+ㅁ+이」.
제 반기 두르혀 주012)
두르혀:
돌이켜.
주013)
네:
너의.
고 마려니 주014)
마려니:
맡아야 할 것이로다.
空이 제 마토미 잇거니 엇뎨 네 入에 브트리오

〔경문〕 통〈함〉과 막힘의 두 가지 망진 주015)
망진:
허망한 티끌.
을 인하여 듣는 것이 나서 〈그〉 가운데 있으면서 이 티끌 상을 들이키는 것을 〈그〉 이름은 맡는 성이라 하거니, 이 맡음이 저 통〈함〉과 막힘의 두 티끌을 여의면 마침내 자체가 없으니 반드시 알아라. 이 맡음이 통하며 막힘에서 오지(=오는 것도) 아니하며(=아니며), ‘근’에서 나지 아니하며(=나는 것도 아니며), ‘공’에서 나지 아니한 것이다. 어찌된 것인가? 〈왜냐하면〉 만일 통함을 의지해서 왔다면 막히면 맡음이 없을 것이니, 어찌 막힘을 알 〈것이〉며, 만일 막힘을 인하여 있다면 통하면 맡음이 없을 것이니, 어찌 향과 취 등의 촉을(=향촉과 취촉을) 발명하며, 만일 ‘근’을 의지해서 난다면 반드시 통함과 막힘이 없을 것이니, 이와 같이 맡는 ‘기’가 본래 스스로의 성이 없는 것이다. 만일 공을 의지해서 난다면 이 맡음이 스스로 반드시 돌이켜 너의 코를 맡아야 할 것이로다. 〈허〉공이 스스로 맡음이 있으니 어찌 너의 ‘입’에 붙으리오?

〔주해〕 一無實義로다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낫도 주016)
낫도:
낱도. 「낱」[箇].
實  업도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한 낱도(=개도) 실한 뜻이 없도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곰과:막음과. 「막-+오/우+ㅁ+과」 막힘과.
주002)
드로미:들음이.
주003)
이셔:있어. 「이시-+어」.
주004)
맏:맡는.
주005)
마토미:맡음이. 「맡-+오/우+ㅁ+이」.
주006)
마고로셔:막음에서.
주007)
마면:막으면.
주008)
이딘댄:있을진댄. 있을 것이라면. 「이시-+오/우+ㅭ+디+ㄴ댄」 「-ㄴ댄」 조건·가정을 나타내는 이음법 씨끝.
주009)
맏:맡는. 「맡-」[嗅].
주010)
機ㅣ:기가. 임자자리토 「-ㅣ」.
주011)
마토미:맡음이. 「맡-+오/우+ㅁ+이」.
주012)
두르혀:돌이켜.
주013)
네:너의.
주014)
마려니:맡아야 할 것이로다.
주015)
망진:허망한 티끌.
주016)
낫도:낱도. 「낱」[箇].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