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13-4. 십팔계(十八界)가 곧 여래장
  •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2. 이성계 2-1
메뉴닫기 메뉴열기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2. 이성계 2-1


능엄경언해 권3:39ㄱ

二. 辯界無實 三○一. 依根辯
〔경문〕 阿難아 若因耳야 生인댄 動靜二相이 旣不現前면 根이 不成知리니 必無所知ㄴ댄 知도 尙無成커니 識이 何形貌ㅣ리오

〔경문〕

능엄경언해 권3:39ㄴ

阿難아 다가 귀 因야 딘댄 주001)
딘댄:
날진댄. 났다면.
動과 靜과 두 相이 마 낟디 주002)
낟디:
나타나지. 「낱-」.
아니면 根이 아로미 주003)
아로미:
앎이.
이디 주004)
이디:
되지. 「일-」.
몯리니 반기 아로미 업딘댄 주005)
업딘댄:
없을진댄.
아롬도 오히려 이디 아니커니 識이 므슴 주006)
므슴:
무슨.
리오 주007)
리오:
모양이겠는가?

〔경문〕 아난아, 만일 귀를 인하여 났다면 ‘동’과 ‘정’의 두 ‘상’이 이미 나타나지 아니하면 ‘근’이 앎이 되지 못할 것이니, 마땅히 앎이 없으면 앎도 오히려 되지 아니하니, ‘식’이 무슨 모양이겠느냐?

〔경문〕 若取耳聞인댄 無動靜故로 聞이 無所成리니 云何耳形의 雜色야 觸塵로 名爲識界리오 則耳識界復從誰야 立리오

〔경문〕 다가 귀예 주008)
귀예:
귀에. 「-예」ㅣ로 끝난 임자씨 아래 위치자리토.
드로 取딘댄 動과 靜괘 업슨 젼로 드로미 이디 아니리니 엇뎨 귓 얼구릐 주009)
얼구릐:
모양의.
色 섯거 주010)
섯거:
섞어.
드트레 觸요로 주011)
-요로:
-하는, 것으로.
일후믈 識界라 리오 耳識의 界  누 주012)
누:
누구를.
브터 셔리오 주013)
셔리오:
서겠는가?

〔경문〕 만일 귀에 듣는 것을 취한다면 ‘동’과 ‘정’이 없는 까닭으로 듣는 것이 〈성립〉되지 아니할 것이니, 어찌 귀의 모양이 ‘색’을 섞어 티끌에 촉하는 것으로 이름을 식계라 하겠느냐? 〈곧〉 이식의 ‘계’가 또 누구를 의지해서 서겠느냐(=성립되겠는가)?

〔주해〕 耳識이 別了 시 曰知오 耳形이 觸聲 시 曰聞이니 皆由動靜야 而發니 若無動靜면 各無所成矣리라 知 乃識之體ㄹ 故로 曰知도 尙無成커니 識이 何形貌ㅣ리오 시니라 聞 特耳形의 雜物色야 觸聲塵而已디위 非耳識也ㅣ니 故로 曰云何耳形을 名爲識界리오 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3:40ㄱ

耳識이 야 주014)
야:
가리어.
알씨 주015)
알씨:
아는 것이.
닐온 주016)
닐온:
이른(바).
知오 耳形 주017)
이형:
귀의 모양. 귀.
이 소리예 觸씨 주018)
-씨:
-하는, 것이.
닐온 드로미니 주019)
드로미니:
들음이니.
다 動과 靜과 브터 주020)
브터:
붙어(서). 의지해서.
나니 다가 動과 靜괘 업스면 各各 이루미 주021)
이루미:
이루어짐이. 됨이.
업스리라 아로 識의 體ㄹ 주022)
-ㄹ:
-이므로.
이런로 니샤 아롬

능엄경언해 권3:40ㄴ

도 오히려 이디 주023)
이디:
되지. 「일-+디」.
아니커니 識이 므슴 주024)
므슴:
무슨.
리오 주025)
리오:
모양이겠는가?
시니라 드로 주026)
드로:
들음은.
오직 耳形의 物色 섯거 주027)
섯거:
섞어. 「-」.
소릿 드트레 觸미디위 주028)
-미디위:
-할, 따름이지. 「-디위」 앞을 긍정하고 뒤를 부정하는 이음법 맺음씨끝.
耳識이 아니니 이런로 니샤 엇뎨 耳形을 일후 識界라 리오 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이식이 가려서 아는 것이 이른바 ‘지’이고, 귀가 소리에 촉하는 것이 이른바 듣는 것이니, 모두 ‘동’과 ‘정’을 의지해서 나는 것이다. 만일 ‘동’과 ‘정’이 없으면 각각(지(知)·들음(聞)) 이루어짐이 없을 것이다. 앎은 ‘식’의 ‘체’이므로, 이런고로 이르시기를 ‘앎도 오히려 되지 아니하니 ‘식’이 무슨 모양이겠는가’고 하신 것이다. 듣는 것은 오직 귀의 물색을 섞어서 소리의 티끌 주029)
성진:
소리의 티끌. 유정(有情)·무정(無情)의 온갖 소리. 정식(情識)을 물들게 하므로 티끌[塵]이라 함.
에 촉할 따름이지, 이식은 아닌 것이니, 이런고로 이르시기를, ‘어찌 귀를 이름하기를 식계라 하겠는가’고 하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딘댄:날진댄. 났다면.
주002)
낟디:나타나지. 「낱-」.
주003)
아로미:앎이.
주004)
이디:되지. 「일-」.
주005)
업딘댄:없을진댄.
주006)
므슴:무슨.
주007)
리오:모양이겠는가?
주008)
귀예:귀에. 「-예」ㅣ로 끝난 임자씨 아래 위치자리토.
주009)
얼구릐:모양의.
주010)
섯거:섞어.
주011)
-요로:-하는, 것으로.
주012)
누:누구를.
주013)
셔리오:서겠는가?
주014)
야:가리어.
주015)
알씨:아는 것이.
주016)
닐온:이른(바).
주017)
이형:귀의 모양. 귀.
주018)
-씨:-하는, 것이.
주019)
드로미니:들음이니.
주020)
브터:붙어(서). 의지해서.
주021)
이루미:이루어짐이. 됨이.
주022)
-ㄹ:-이므로.
주023)
이디:되지. 「일-+디」.
주024)
므슴:무슨.
주025)
리오:모양이겠는가?
주026)
드로:들음은.
주027)
섯거:섞어. 「-」.
주028)
-미디위:-할, 따름이지. 「-디위」 앞을 긍정하고 뒤를 부정하는 이음법 맺음씨끝.
주029)
성진:소리의 티끌. 유정(有情)·무정(無情)의 온갖 소리. 정식(情識)을 물들게 하므로 티끌[塵]이라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