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운허]15. 아난(阿難)이 기뻐하다
  • 15. 아난이 기뻐하다 3
메뉴닫기 메뉴열기

15. 아난이 기뻐하다 3


능엄경언해 권3:113ㄴ

二. 重請
〔경문〕 大雄大力大慈悲로 希노니 更審除微細惑게 샤 令我로 早登無上覺야 於十方界예 坐道場케 소셔

〔경문〕 大雄 大力 大慈悲로 라노니 주001)
라노니:
바라옵나니.
다시 微細 惑 야 덜에 주002)
덜에:
덜게.
샤 날로 주003)
날로:
나로 하여금.
리 주004)
리:
빨리.
無上覺애 올아 주005)
올아:
올라. 「오-+아」.
十方界예 道場애 게 주006)
게:
앉게.
쇼셔 주007)
쇼셔:
하소서.

〔경문〕 대웅〈하고〉 대력〈하고〉 주008)
대웅대력:
부처님은 큰 힘이 있어 마군을 항복받으므로 대웅대력이라 함.
대자비로 바라옵나니, 다시 미세한 ‘혹’을 가려서 덜게(=끊게) 하시고, 나로 하여금 빨리 무상각 주009)
무상각:
보리. 불과.
에 올라(=오르게 하여) 시방〈의〉 〈법〉계에서 도량 주010)
도량:
불도를 닦는 곳.
에 앉게 하소서.

〔주해〕

능엄경언해 권3:114ㄱ

旣讚謝己고 重請後法와 庶盡斷惑障야 成就果願也니라

〔주해〕

능엄경언해 권3:115ㄱ

마 주011)
마:
이미.
讚謝고 다시 後엣 法을 請와 주012)
-와:
-하와, -하여.
惑障 다 그처 주013)
그처:
끊어. 끊어져.
果願 일우믈 주014)
일우믈:
이룸을.
라니라

〔주해〕 이미 찬사하옵고, 다시 뒤에 법을 청하와 혹장을 다 끊어 과·원 주015)
과원:
공덕과 소원.
이룸을 바라는 것이다.

〔주해〕 欲斷惑障인댄 須藉雄猛智力大慈悲德일 故로 備稱와 以重請也오니라 前에 發明心見샤 顯如來藏야시 方破見道麤惑니 次須決通疑滯샤 開修證門샤 以斷修道細惑샤 詳審盡除케 하샤 乃登上覺리니 自第四卷야 決通疑滯샤 攝伏攀緣시니 卽審除細惑之方也ㅣ라

〔주해〕 惑障 그추려 주016)
그추려:
끊으려. 「궂-+오/우+려」.
딘댄 모로매 雄猛과 智力과 大慈悲德을 브터 주017)
브터:
붙어야 의지하여야.
릴 이런로 초 주018)
초:
갖추.
일와 주019)
일와:
일컫자와. 일컬어.
다시 請오니라 알 心見 發明샤 如來藏 나토아시 주020)
나토아시:
나타내시거늘. 「-아시늘~커시늘」.
道 보맷 麤 주021)
추:
큰.
惑 처 주022)
처:
처음.
허니 버거 주023)
버거:
다음으로.
모로매 주024)
모로매:
모름지기.
疑心 마쿄 주025)
마쿄:
막힘을. 「마키-」.
決야 通오샤 주026)
-오샤:
-하게, 하시어.
修證 門을 여르샤 주027)
여르샤:
여시어. 「열-」.
닷고맷 주028)
닷고맷:
닦음의.
微細 惑 그츠샤 주029)
그츠샤:
끊으시어.
子細히 야 다 덜에 주030)
덜에:
덜게. 「-ㄹ」 아래 ㄱ줄음.
샤 上覺애 오리니 주031)
오리니:
오를 것이니.
第四卷 브터 疑心 마쿄 決야 通오샤  주032)
:
붙당기는. 「-」[攀].
緣을 자바 降伏에 주033)
-에:
-하게. ‘ㅣ’ 아래 ㄱ줄음.
시니 곧 微細 惑 야 더논 주034)
더논:
더는. 「덜-」[除].
法이라

〔주해〕 혹장 주035)
혹장:
중생이 탐·진·치 등의 미혹함으로 말미암아 심성을 더럽히고 정도를 장애 하는 것.
을 끊으려 한다면 모름지기 웅맹과 지력과 대자 대비한 덕을 의지하여야 할 것이므로, 이런고로 갖추 일컬어 다시 청하온 것이다. 앞에서 심견을 발명하시어 여래장을 나타내시거늘 〈불〉도를 봄에 있어서 추한 〈미〉혹〈함〉을 처음 허니(=헐어버리니), 다음으로 모름지기 의심 막힘을 터서 통하게 하시어 수증 주036)
수증:
수행 증득.
할 문을 여시고, 도를 닦음에 미세한 주037)
혹:
깨달음을 장애하는 체(體). 번뇌.
을 끊으시어 자세히 가려 다 덜게(=덜어 없애게) 하셔야 〈무〉상각 주038)
상각:
무상각. 부처님의 지혜로 깨닫는 열반의 묘한 이치.
에 오르리니, 제4권부터 의심 막힘을 터서 통하게 하시고, 붙당기는 ‘연’을 잡아 항복하게 하시니, 곧 미세한 ‘혹’을 가리어 덜어 없애는 〈방〉법이다.

〔주해〕 旣消倒想야 頓獲法身란 疑已得果ㅣ어늘 且又願求야 而更除細惑者 佛果ㅣ 有七시니 曰菩提와 涅槃과 眞如와 佛性과 菴摩羅識과 空如來藏과 大圓鏡智니 所謂獲法身者 則分得菩提야 自見佛性而已니 見性之後엔 必須審除細惑야 使生이 滅며 滅이 生호미 俱寂야 以合乎涅槃眞如며 白淨純凝야 以合乎菴摩羅識며 廓然圓照야 以合乎空如來藏과 大圓鏡智홀 디니 七果ㅣ 圓備야 乃所謂登無上覺也ㅣ라

〔주해〕 마 갓 주039)
갓:
거꾸로 된.
想 스러 주040)
스러:
스러지게 하여. 「「슬-」」.
法身 다 어드란 주041)
어드란:
얻을 것 같으면. 「-란」제약법 조건·가정을 나타냄.
마 果 得가 疑心

능엄경언해 권3:116ㄱ

외어
주042)
외어:
되거늘.
 願求야 다시 微細 惑 더루믄 주043)
더루믄:
덜음은.
부텻 果ㅣ 닐구비 겨시니 닐오 주044)
닐오:
이르되.
菩提와 涅槃과 眞如와 佛性과 菴摩羅識과 空如來藏과 大圓鏡智니 닐온 주045)
닐온:
이른. 이른바.
法身 어두 주046)
어두:
얻음은. 「얻-+오/우+ㅁ+」.
菩提 호아 주047)
호아:
나누어. 「호-」[分].
得야 제 佛性을 볼 미니 주048)
미니:
따름이니.
性 본 後엔 모로매 주049)
모로매:
모름지기.
微細 惑 야 주050)
야:
가리어.
더러 生이 滅며 滅이 生호미 다 寂야 涅槃眞如의 마며 주051)
마며:
맞으며.
며 주052)
며:
희며. 「-」[白].
조호미 주053)
조호미:
깨끗함이. 「좋-」[淨].
純히 얼의여 주054)
얼의여:
어리어. 엉기어. 「얼의-」[凝].
菴摩羅識에 마며 훤히 두려이 주055)
두려이:
원만히. 온전히.
비취여 주056)
비취여:
비추어. 「비춰-」.
空如來藏과 大圓鏡智에 마디니 주057)
마디니:
맞을 것이 니.
닐굽 果ㅣ 두려이 자 주058)
자:
갖아야. 구비하여야.
닐온 우 업슨 覺애 올오미라

〔주해〕 이미 거꾸로 된 ‘상’을 스러지게 하여 법신 주059)
법신:
현실로 인간에 출현한 부처님 이상으로 영원한 불(佛)의 본체.
을 다 얻을 것 같으면, 이미 과를 얻었는가 의심되거늘, 또 ‘원’을 구하여 다시 미세한 ‘혹’을 덜음은 부처님의 ‘과’가 일곱이 있으시니, 이르되, 보리와 열반과 진여와 불성 주060)
불성:
부처를 이루는 근본 성품.
암마라식 주061)
암마라식:
아마라식.
공여래장 주062)
공여래장:
모든 부처님이 증득한 청정법신의 본체.
대원경지 주063)
대원경지:
불과(佛果)에서 처음으로 얻는 지혜.
이니, 이른바, 법신을 얻음은 보리를 나누어 득하여 스스로가 불성을 볼 따름이니, ‘성’을 본 후에는 모름지기 미세한 혹을 가려 덜어서, ‘생’이 ‘멸’하고, ‘멸’이 ‘생’함이 다 적하여 열반과 진여에 맞으며, 희며 깨끗함이 순수히 어리어 암마라식에 맞으며, 훤히 원만하게 비추어 공여래장과 대원경지에 맞을 것이니, 일곱과가 원만하게 구비하여야 이른바, 위 없는 ‘각’에 오르는 것이다.

〔주해〕 今之學者 纔得其二면 頓忘餘五야 輕損敎法야 不復修斷니 則生滅이 何時而寂며 雜染이 何時而淨며 交交擾擾ㅣ 何時而廓然며 昏昏昧昧ㅣ 何時而圓照리오

〔주해〕 이젯 호린 주064)
호린:
배울이는. 「호-+ㄹ+이+ㄴ」.
주065)
:
갓. 방금. 겨우.
그 둘흘 得면 나 다 다 니저 敎法 가야이 주066)
가야이:
가벼이.
려 다시 닷가 그추믈 아닌

능엄경언해 권3:116ㄴ

니
주067)
아닌니:
아니하나니.
生滅이 어느 時節에 寂며 雜 더러우미 어느 時節에 조며 주068)
조며:
깨끗하며.
섯딜어 주069)
섯딜어:
섞어 질러. 「섯디-」.
어즈러우미 주070)
어즈러우미:
어지러움이.
어느 時節에 훤며 昏昏 昧昧호미 어느 時節에 두려이 비취리오 주071)
비취리오:
비추겠는가?

〔주해〕 지금 배우는 사람들은 겨우 그 둘을 얻으면 남은 다섯을 다 잊고 교법을 가벼이 버려 다시 닦아서 끊어지게 함을 아니하니, 생과 멸이 어느 때에 적하며 잡〈다한〉 더러움이 어느 때에 깨끗하며(=깨끗해지며), 섞어 질러서 어지러운 것이 어느 때에 훤하며, 혼혼 매매함이 어느 때에 원만하게 비추겠는가?

〔주해〕 縱雖見性야도 有爲習漏 不免復生니 吾知其倒想이 依然야 將又倍於億劫이로소니 爲可歎惜矣로다 聞此首楞畢竟之敎고 快宜勉進야 疾使一切로 畢竟也ㅣ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비록 性을 보아도 有爲習漏 다시 나 주072)
나:
남을. 나는 것을.
免티 몯니 갓 주073)
갓:
거꾸로 된.
想이 依然야 【依然 주074)
녜:
예. 옛적.
혼 라 주075)
라:
모습이다.
 주076)
:
장차.
 億劫에 倍  내 알리로소니 주077)
알리로소니:
알 것이니. 「-로소-/-도소-」강조영탄법.
애와텨 주078)
애와텨:
북받치어. 애타.
앗겸직 주079)
앗겸직:
아낌직. 「앗기 -」[惜].
두다 주080)
두다:
하도다. 「-두다~-도다」.
이 首楞ㅅ 畢竟엣 치샤 듣고 快히 힘 나가 리 一切로 게 주081)
게:
마치게. 「」.
호미 맛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비록 ‘성’을 보아도, 유위의 습루를 다시 남을(=되풀이 함을) 면치 못하니, 거꾸로된 ‘상’이 의연하여 【‘의연’은 옛적 같은 모습이다.】 장차 또 억겁보다 갑절될 줄을 내가 알 것이니, 애타서 아낌직 하도다. 이 수릉의 필경의 가르치심을 듣잡고, 쾌히 힘써 나아가 빨리 일체로 마치게 함이 마땅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라노니:바라옵나니.
주002)
덜에:덜게.
주003)
날로:나로 하여금.
주004)
리:빨리.
주005)
올아:올라. 「오-+아」.
주006)
게:앉게.
주007)
쇼셔:하소서.
주008)
대웅대력:부처님은 큰 힘이 있어 마군을 항복받으므로 대웅대력이라 함.
주009)
무상각:보리. 불과.
주010)
도량:불도를 닦는 곳.
주011)
마:이미.
주012)
-와:-하와, -하여.
주013)
그처:끊어. 끊어져.
주014)
일우믈:이룸을.
주015)
과원:공덕과 소원.
주016)
그추려:끊으려. 「궂-+오/우+려」.
주017)
브터:붙어야 의지하여야.
주018)
초:갖추.
주019)
일와:일컫자와. 일컬어.
주020)
나토아시:나타내시거늘. 「-아시늘~커시늘」.
주021)
추:큰.
주022)
처:처음.
주023)
버거:다음으로.
주024)
모로매:모름지기.
주025)
마쿄:막힘을. 「마키-」.
주026)
-오샤:-하게, 하시어.
주027)
여르샤:여시어. 「열-」.
주028)
닷고맷:닦음의.
주029)
그츠샤:끊으시어.
주030)
덜에:덜게. 「-ㄹ」 아래 ㄱ줄음.
주031)
오리니:오를 것이니.
주032)
:붙당기는. 「-」[攀].
주033)
-에:-하게. ‘ㅣ’ 아래 ㄱ줄음.
주034)
더논:더는. 「덜-」[除].
주035)
혹장:중생이 탐·진·치 등의 미혹함으로 말미암아 심성을 더럽히고 정도를 장애 하는 것.
주036)
수증:수행 증득.
주037)
혹:깨달음을 장애하는 체(體). 번뇌.
주038)
상각:무상각. 부처님의 지혜로 깨닫는 열반의 묘한 이치.
주039)
갓:거꾸로 된.
주040)
스러:스러지게 하여. 「「슬-」」.
주041)
어드란:얻을 것 같으면. 「-란」제약법 조건·가정을 나타냄.
주042)
외어:되거늘.
주043)
더루믄:덜음은.
주044)
닐오:이르되.
주045)
닐온:이른. 이른바.
주046)
어두:얻음은. 「얻-+오/우+ㅁ+」.
주047)
호아:나누어. 「호-」[分].
주048)
미니:따름이니.
주049)
모로매:모름지기.
주050)
야:가리어.
주051)
마며:맞으며.
주052)
며:희며. 「-」[白].
주053)
조호미:깨끗함이. 「좋-」[淨].
주054)
얼의여:어리어. 엉기어. 「얼의-」[凝].
주055)
두려이:원만히. 온전히.
주056)
비취여:비추어. 「비춰-」.
주057)
마디니:맞을 것이 니.
주058)
자:갖아야. 구비하여야.
주059)
법신:현실로 인간에 출현한 부처님 이상으로 영원한 불(佛)의 본체.
주060)
불성:부처를 이루는 근본 성품.
주061)
암마라식:아마라식.
주062)
공여래장:모든 부처님이 증득한 청정법신의 본체.
주063)
대원경지:불과(佛果)에서 처음으로 얻는 지혜.
주064)
호린:배울이는. 「호-+ㄹ+이+ㄴ」.
주065)
:갓. 방금. 겨우.
주066)
가야이:가벼이.
주067)
아닌니:아니하나니.
주068)
조며:깨끗하며.
주069)
섯딜어:섞어 질러. 「섯디-」.
주070)
어즈러우미:어지러움이.
주071)
비취리오:비추겠는가?
주072)
나:남을. 나는 것을.
주073)
갓:거꾸로 된.
주074)
녜:예. 옛적.
주075)
라:모습이다.
주076)
:장차.
주077)
알리로소니:알 것이니. 「-로소-/-도소-」강조영탄법.
주078)
애와텨:북받치어. 애타.
주079)
앗겸직:아낌직. 「앗기 -」[惜].
주080)
두다:하도다. 「-두다~-도다」.
주081)
게:마치게. 「」.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