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13-4. 십팔계(十八界)가 곧 여래장
  •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3. 비향계 2-3
메뉴닫기 메뉴열기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3. 비향계 2-3


능엄경언해 권3:46ㄱ

三. 根境合辯
〔경문〕 臭ㅣ 則非香이며 香이 應非臭ㅣ니 若香과 臭와 二 俱能聞者댄 則汝一人이 應有兩鼻홀 디라 對我問道호매 有二阿難리니 誰爲汝體오

〔경문〕

능엄경언해 권3:46ㄴ

주001)
-ㅣ:
-이/가.
香이 아니며 香이 반기 臭 아니니 다가 香과 臭와 둘흘 주002)
둘흘:
둘을.
다 能히 마딘댄 주003)
마딘댄:
맡을진댄. 맡는다면.
너  사미 반기 두 고히 이디라 주004)
이디라:
있는 것이다.
나 對야 道 무루매 두 阿難이 이시리니 뉘 네 體 주005)
-오:
-이냐? 「-오」는 「-고」물음토씨.

〔경문〕 취기는 향기가 아니며, 향기는 마땅히 취기가 아니니, 만일 향기와 취기 둘을 다 능히 맡는다면, 너 한 사람이 응당 두 코가 있을(=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나를 대하여 ‘도’를 물음에 〈있어서도〉 두 아난이 있을(=있어야 할) 것이니, 누가(=어느 것이) 네 〈본〉체이냐?

〔주해〕 境이 二면 則根이 亦應二니 此 皆遣識心 分別計度也시니라

〔주해〕 境이 둘히면 주006)
둘히면:
둘이면.
根이  반기 둘히니 이 다 識心의 分別야 혜아료 아시니라 주007)
아시니라:
빼앗은 것이다.

〔주해〕 ‘경’이 둘이면 ‘근’이 또한 반드시 둘이니, 이는 모두 식심이 분별해서 헤아림을 빼앗아〈버린〉 것이다.

〔경문〕 若鼻ㅣ 是一인댄 香과 臭왜 無二홀 디라 臭ㅣ 旣爲香며 香이 復成臭야 二性이 不有리어니 界ㅣ 從誰야 立리오

〔경문〕

능엄경언해 권3:47ㄱ

다가 고히 이 나힌댄 주008)
나힌댄:
하나라면.
香과 臭왜 둘히 업디라 주009)
업디라:
없는 것이다.
臭ㅣ 마 香이 외며 주010)
외며:
되며.
香이  臭ㅣ 이러 주011)
이러:
되어.
두 性이 잇디 아니리어니 므스글 주012)
므스글:
무엇을.
브터 주013)
브터:
붙어. 의지하여.
셔리오 주014)
셔리오:
서겠느냐?

〔경문〕 만일, 코가 하나라면, 향기와 취기가 둘이 없을(=아닐) 것이다. 취기가 이미 향기가 되며, 향기가 또 취기가 되어서 두 〈가지〉 성이 있지 아니할 것이니, ‘계’가 무엇을 의지하여 성립되겠느냐?

〔주해〕 以根로 一境면 則境性이 互奪리어니 從何야 立界리오

〔주해〕 根로 境을 나해 주015)
나해:
하나에.
면 주016)
면:
만들면.
境의 性이 서르 아리어니 주017)
아리어니:
빼앗을 것이어니.
므스글 브터 界 셔리오

〔주해〕 ‘근’으로 ‘경’을 하나로 만들면, ‘경’의 성이 서로 빼앗을 것이니, 무엇을 의지하여 ‘계’가 성립되겠느냐?

〔경문〕 若因香야 生인댄 識이 因香야 有논디니 如眼이 有見호 不能觀眼 야 因香야 有故로 應不知香리라 知면 卽非生이오 不知면 非識이어니

〔경문〕

능엄경언해 권3:47ㄴ

다가 香 因야 딘댄 주018)
딘댄:
날진댄. 난다면.
識이 香 因야 잇논디니 주019)
잇논디니:
있는 것이니.
누니 보미 이쇼 能히 누늘 보디 몯야 주020)
몯야:
못하듯하여.
香 因야 잇논 젼로 주021)
젼로:
까닭으로.
반기 香 아디 몯리라 알면 곧 난 거시 아니오 주022)
아니오:
아니고.
아디 몯면 識이 아니어니 주023)
아니어니:
아닐 것이로다.

〔경문〕 만일, 향을 인하여 난다면, ‘식’이 향을 인하여 있는(=나는) 것이니, 〈마치〉 눈이 보는 것은(=작용은) 있으되, 능히 눈 〈자체〉를 보지 못하듯 하여서, 향을 인하여 있는 까닭으로 응당 향을 알지 못할 것이다. 알면 곧 〈생겨〉난 것이 아니고, 알지 못하면 ‘식’이 아닐 것이로다.

〔주해〕 眼識이 因眼而有호 旣不見眼니 鼻識이 因香而有 應不知香이로다 若曰能知ㄴ댄 卽非香애셔 生이며 曰不知ㄴ댄 卽不名識이라 皆不可也ㅣ로다

〔주해〕 眼識이 眼 因야 이쇼 주024)
이쇼:
있으되. 「이시-+오/우+」 설명법 「-」 앞에 반드시 「오/우」가 쓰임.
마 眼 보디 몯니 鼻識이 香 因야 이실 주025)
이실:
있으므로.
반기 香 아디 몯리로다 다가 닐오 주026)
닐오:
이르되. 이르기를. 「니-+오/우+」.
能히 아다 딘댄 곧 香애셔 난 거시 아니며 다

능엄경언해 권3:48ㄱ

가 닐오 아디 몯다 주027)
몯다:
못한다.
딘댄 주028)
딘댄:
할진댄. 한다면.
곧 일후믈 識이라 몯리라 다 올티 몯도다 주029)
몯도다:
못하도다.

〔주해〕 안식이 눈을 인하여 있으되, 이미 눈을 보지 못하니(=못하고), 비식 주030)
비식:
육식의 하나. 코에 의지하여 냄새의 좋고 나쁨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 후각.
이 ‘향’을 인하여 있으므로 응당 ‘향’을 알지 못할 것이로다. 만일, 이르기를 ‘능히 안다’고 한다면 곧 ‘향’에서 난 것이 아니며, 만일이르기를 ‘알지 못한다’고 한다면, 곧 〈그〉 이름을 ‘식’이라고 〈하지〉 못할 것이라서 모두 옳지 못하도다.

〔경문〕 香이 非知有ㅣ면 香界ㅣ 不成고 識이 不知香면 因界ㅣ 則非從香야 建立이리라

〔경문〕 香이 이슈믈 주031)
이슈믈:
있음을.
아디 몯면 香界 이디 주032)
이디:
되지.
몯고 주033)
몯고:
못하고.
識이 香 아디 몯면 因 界ㅣ 香 브터 셔미 주034)
셔미:
섬이. 서는 것이.
아니리라

〔경문〕 ‘향’이 있음을 알지 못한다면 향계가 〈성립〉되지 못하고 ‘식’이 ‘향’을 알지 못하면 인한 ‘계’가 향을 따라서 성립되지 못할 것이다.

〔주해〕 香이 不因根면 則不成香界고 識이 不知香면 則不成識界리

〔주해〕 香이 根 因 주035)
-티:
-하지.
아니면 香界 이디 몯고 識이 香 아디 주036)
아디:
알지.
몯면 識界ㅣ 이디 몯리라

〔주해〕 향이 ‘근’을 인하지 아니하면 항계가 되지 못하고, ‘식’이 향을 알지 못하면 식계가 되지 못할 것이다.

〔경문〕 旣無中閒면 不成內外야 彼諸聞性이 畢竟

능엄경언해 권3:48ㄴ

虛妄리라

〔경문〕

능엄경언해 권3:48ㄴ

마 中間이 업스면 안팟기 주037)
안팟기:
안팎이.
이디 몯야 주038)
뎌:
저.
모 주039)
모:
모든.
맏 주040)
맏:
맡는.
性 이 매 虛妄리라

〔경문〕 이미 중간이 없으면 안과 밖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저 모든 맡는 성은 마침내 허망할 것이다.

〔주해〕 中閒 識界也ㅣ라 內外 鼻와 香괏 界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中間 識界라 안팟 주041)
안팟:
안팎은.
고콰 주042)
고콰:
코와.
주043)
-괏:
-과의. -의.
界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중간은 식계이다. 안과 밖은 코와 ‘향’의 ‘계’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ㅣ:-이/가.
주002)
둘흘:둘을.
주003)
마딘댄:맡을진댄. 맡는다면.
주004)
이디라:있는 것이다.
주005)
-오:-이냐? 「-오」는 「-고」물음토씨.
주006)
둘히면:둘이면.
주007)
아시니라:빼앗은 것이다.
주008)
나힌댄:하나라면.
주009)
업디라:없는 것이다.
주010)
외며:되며.
주011)
이러:되어.
주012)
므스글:무엇을.
주013)
브터:붙어. 의지하여.
주014)
셔리오:서겠느냐?
주015)
나해:하나에.
주016)
면:만들면.
주017)
아리어니:빼앗을 것이어니.
주018)
딘댄:날진댄. 난다면.
주019)
잇논디니:있는 것이니.
주020)
몯야:못하듯하여.
주021)
젼로:까닭으로.
주022)
아니오:아니고.
주023)
아니어니:아닐 것이로다.
주024)
이쇼:있으되. 「이시-+오/우+」 설명법 「-」 앞에 반드시 「오/우」가 쓰임.
주025)
이실:있으므로.
주026)
닐오:이르되. 이르기를. 「니-+오/우+」.
주027)
몯다:못한다.
주028)
딘댄:할진댄. 한다면.
주029)
몯도다:못하도다.
주030)
비식:육식의 하나. 코에 의지하여 냄새의 좋고 나쁨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 후각.
주031)
이슈믈:있음을.
주032)
이디:되지.
주033)
몯고:못하고.
주034)
셔미:섬이. 서는 것이.
주035)
-티:-하지.
주036)
아디:알지.
주037)
안팟기:안팎이.
주038)
뎌:저.
주039)
모:모든.
주040)
맏:맡는.
주041)
안팟:안팎은.
주042)
고콰:코와.
주043)
-괏:-과의. -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