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운허]13-3. 십이처(十二處)가 곧 여래장
  • 13-3. 십이처가 곧 여래장○2. 이성처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13-3. 십이처가 곧 여래장○2. 이성처 2-2


능엄경언해 권3:22ㄱ

二. 依境辯
〔경문〕 若復汝耳ㅣ 往彼聲邊인댄 如我ㅣ 歸住衹陀林中야 在室羅城얀 則無有我 야 汝ㅣ 聞鼓聲호매 其耳ㅣ 已往擊鼓之處면 鐘聲齊出에 應不俱聞리니 何況其中에 象馬牛羊種種音響이녀

〔경문〕

능엄경언해 권3:22ㄴ

다가  네 귀 뎌 소릿  주001)
:
가(장자리)에.
딘댄 주002)
딘댄:
갈진댄. 갔다면.
내 祇陀林 中에 도라와 잇거든 室羅城에 이션 나 업야 네 鼓聲 드로매 주003)
드로매:
들음에.
그 귀 마 鼓 티 고대 가면 鐘聲  나매 반기 다 듣디 몯리니 며 그 中에 象과 와 쇼와 주004)
와 쇼와:
말과 소와.
羊과 種種앳 소리녀 주005)
소리녀:
소리이겠는가? 「며」와 호응함.

〔경문〕 만일 또 너의 귀가 저 소리〈나는〉 가에 갔다면 내가 기타림 중에 돌아와 있으면 실라〈벌〉성에서는 내가 없듯이, 네가 고성 주006)
고성:
북소리.
들음에 그 귀〈는〉 이미 북 치는 곳에 가면(=갔을 것 같으면), 종성 주007)
종성:
종소리.
이 함께 나도 반드시 다 듣지 못할 것인데, 하물며 그 중에 코끼리와 말과 소와 양의 종종 주008)
종종:
가지가지.
소리이겠느냐?

〔주해〕 如我ㅣ 歸園야 城中에 無我ㅣ라 샤 喩耳ㅣ 往聲處면 則餘處에 無耳시니 然이나 異音을 皆聞면 則耳處ㅣ 無實矣로다

〔주해〕

능엄경언해 권3:23ㄱ

내 園에 도라오나 주009)
도라오나:
돌아오거든. 「-나」은 「-거」의 「오-」[來] 아래 이형태.
城 中에 나 업숨 다 샤 주010)
샤:
하심은. 하신 것은.
귀 소릿 고대 가면 다 고대 귀 업수믈 가비시니 그러나 다 소리 다 드르면 귓 고디 實 업도다

〔주해〕 ‘내가 〈기타〉원에 돌아오면 〈실라벌〉성 중에는 내가 없음과 같다’〈고〉 하심은, 귀가 소리〈내는〉 곳에 가면 다른 곳에는 귀가 없음을 비유하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소리를 다 들으면 귀〈가〉 있는 곳이 실 없는 것이 되도다.

〔경문〕 若無來往인댄 亦復無聞이어니

〔경문〕 다가 오며 가미 업딘댄 주011)
업딘댄:
없을진댄. 없다면.
 다시 드로미 업스려니

〔경문〕 만일 오고 감이 없다면, 또 다시 듣는 것도 없어야 할 것이로다.

〔주해〕 前後에 辯妄샤미 皆遣識心의 分別計度也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前後에 妄 샤미 주012)
샤미:
가리심이. 「-」[擇].
다 識心 分別야 혜아료 아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전후에 허망함을 가리시어 다 식심이 분별하여 헤아림을 빼앗아 〈버린〉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장자리)에.
주002)
딘댄:갈진댄. 갔다면.
주003)
드로매:들음에.
주004)
와 쇼와:말과 소와.
주005)
소리녀:소리이겠는가? 「며」와 호응함.
주006)
고성:북소리.
주007)
종성:종소리.
주008)
종종:가지가지.
주009)
도라오나:돌아오거든. 「-나」은 「-거」의 「오-」[來] 아래 이형태.
주010)
샤:하심은. 하신 것은.
주011)
업딘댄:없을진댄. 없다면.
주012)
샤미:가리심이. 「-」[擇].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