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운허]13-3. 십이처(十二處)가 곧 여래장
  • 13-3. 십이처가 곧 여래장○6. 의법처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13-3. 십이처가 곧 여래장○6. 의법처 2-2


능엄경언해 권3:32ㄴ

二. 依境辯
〔경문〕 若離於心고 別有方所댄 則法의 自性이 爲知아 非知아 知ㄴ댄 則名心련마 異汝고 非塵일 同他心量니 卽汝야 卽心이라 디면 云何汝心이 更二於汝오 若非知者댄 此塵 旣非色聲香味離合冷煖과 及虛空相이니 當於何在오 今於色空애 都無表示니 不應人閒이 更有空外니라 心이 非所緣이면 處ㅣ 從誰야 立리오

〔경문〕

능엄경언해 권3:33ㄱ

다가  여희오 주001)
여희오:
여의고.
各別히 方所ㅣ 이딘댄 주002)
이딘댄:
있을진댄. 있다면.
法의 제 性이 아로미 외녀 주003)
외녀:
되느냐?
아로미 아니가 주004)
아니가:
아니냐? 「-가」물음법.
아딘댄 일후믈 미라 련마 주005)
련마:
하련마는.
너와 다고 주006)
다고:
다르고. 「다-」[異].
드트리 아닐  心量이 니 주007)
-이 니:
-와, 같으니.
네게 주008)
네게:
너에게.
卽야 매 卽다 디면 주009)
-다 디면:
-하다, 할지면.
엇뎨 네 미  네게 둘히리오 주010)
둘히리오:
둘이겠는가? 「-오(고)」물음법.
다가 아로미 아닌댄 주011)
아닌댄:
아니라면.
이 드트른 마 色과 聲과 香과 맛과 여희욤과 어우룸과 촘과 주012)
촘과:
참(=찬 것)과 「-+오/우+ㅁ」.
더움과 虛空相이 아니니 반기 어듸 주013)
어듸:
어디.
잇뇨 이제 色과 空과애 다 表야 뵈요미 주014)
뵈요미:
보임이.
업스니 반기 人間이 다시 虛空 밧긔 주015)
밧긔:
밖에. 「밧ㄱ+의」.
이디 주016)
이디:
있을 바가.
아니니라 미 緣 아니면 處ㅣ 므스글 주017)
므스글:
무엇을. 「므슥+을」.
브터 셔리오 주018)
셔리오:
서겠는가.

〔경문〕 만일 마음을 여의고서 따로 방소가 있다면, 〈곧〉 법〈진〉의 스스로의 성[自性]이 앎이 되느냐, 앎이 아니냐(=없느냐)? 〈만일〉 안다면 〈그〉 이름을 마음이라고 하련마는 너〈의 마음〉과는 다르고 티끌은 아니므로 다른 이의 심량과 같으니, 네게 즉〈면〉하고 마음에 즉〈면〉했다고 하면 어찌 네 마음이 또 너에게 둘이 〈되〉겠느냐? 만일 앎이 아니라면 이 티끌은 이미 색과 성과 향과 맛과 여읨과 어울림과 참과 더움과 허공상이 아니니, 마땅히 어디 있느냐? 이제 색과 공에 모두 표하여 보임이 없으니, 마땅히 인간이 다시 허공 밖에 있을 것이 아닌 것이다. 마음이 〈반〉연할 곳이 아니면 처가(=법진이) 무엇을 의지해서 서겠는가(=성립되는가)?

〔주해〕 法塵 非相이라 因意知야 顯 故로 問爲知아 非知아 시니라 知ㄴ댄 則屬心련마 然이나 體異於汝고 又且非塵일 故로 同他心量니라

〔주해〕

능엄경언해 권3:33ㄴ

法 드트른 相이 아니라 디 아로 因야 주019)
-야:
-하여야.
나 주020)
나:
나타나므로. 「낱-」[顯].
이런로 아로미 외녀 주021)
외녀:
되느냐?
아로미 아니가 주022)
아니가:
아니냐?
무르시니라 주023)
무르시니라:
물으신 것이다.
아딘댄 매 屬련마 주024)
-련마:
-하련마는.
그러나 體 네게 다고  드트리 아닐 이런로  心量이 니라

〔주해〕 법진은 상이 아니다. 뜻이 앎을 인하여야 나타나므로, 이런고로 ‘앎이 되느냐, 앎이 아니냐’고 물으신 것이다. 안다면 마음에 속하련마는, 그런 ‘체’는 너와 다르고, 또 티끌이 아니므로, 이런고로 남의 심량과 같은 것이다.

〔주해〕 設若非知ㄴ댄 然이나 此法塵 旣非色等이라 特由知야 發니 今에 旣非知ㄴ댄 處ㅣ 當何在오 旣於色空之內예 無所表顯고 不應存於色空之外어늘 況空이 又非有外也ㅣ녀 則心緣法處ㅣ 終無實矣로다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3:34ㄱ

다가 아로미 아닌댄 주025)
아닌댄:
아니라면.
그러나 이 法塵은 마 色等이 아니라 오직 知 브터 주026)
브터:
붙어야. 의지해야.
發니 이제 마 아로미 아닌댄 處ㅣ 반기 어듸 잇뇨 마 色과 空괏 안해 주027)
안해:
안에. 「안ㅎ」[內].
表야 나 주028)
나:
나타날.
고디 업고 色 주029)
-과~-괏:
-과 -의.
밧긔 이디 주030)
이디:
있을 바가.
아니어늘 주031)
아니어늘:
아니거늘. 「-」 강세 도움토.
며 空이  밧기 주032)
밧기:
밖이. 「+이」.
잇디 아니커니녀 주033)
아니커니녀:
아니함에 있어서랴.
 緣논 주034)
논:
하는.
法處ㅣ 매 實 업도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만일 앎이 아니라면, 그러나 이 법진은 이미 색 등
(색·성·향·미·촉 등)
이 아니다. 오직 ‘지’를 의지하여야 나타나니, 이제 이미 앎이 아니면 ‘처’가 반드시 어디에 있느냐? 이미 ‘색’과 ‘공’의 안에 표해서 나타날 곳이 없고 ‘색’과 ‘공’의 밖에 있는 것이 아니거늘 하물며 ‘공’이 또 밖이 있지 아니함에 있어서랴. 마음의 〈반〉연하는 법처가 마침내는 실〈상〉이 없도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희오:여의고.
주002)
이딘댄:있을진댄. 있다면.
주003)
외녀:되느냐?
주004)
아니가:아니냐? 「-가」물음법.
주005)
련마:하련마는.
주006)
다고:다르고. 「다-」[異].
주007)
-이 니:-와, 같으니.
주008)
네게:너에게.
주009)
-다 디면:-하다, 할지면.
주010)
둘히리오:둘이겠는가? 「-오(고)」물음법.
주011)
아닌댄:아니라면.
주012)
촘과:참(=찬 것)과 「-+오/우+ㅁ」.
주013)
어듸:어디.
주014)
뵈요미:보임이.
주015)
밧긔:밖에. 「밧ㄱ+의」.
주016)
이디:있을 바가.
주017)
므스글:무엇을. 「므슥+을」.
주018)
셔리오:서겠는가.
주019)
-야:-하여야.
주020)
나:나타나므로. 「낱-」[顯].
주021)
외녀:되느냐?
주022)
아니가:아니냐?
주023)
무르시니라:물으신 것이다.
주024)
-련마:-하련마는.
주025)
아닌댄:아니라면.
주026)
브터:붙어야. 의지해야.
주027)
안해:안에. 「안ㅎ」[內].
주028)
나:나타날.
주029)
-과~-괏:-과 -의.
주030)
이디:있을 바가.
주031)
아니어늘:아니거늘. 「-」 강세 도움토.
주032)
밧기:밖이. 「+이」.
주033)
아니커니녀:아니함에 있어서랴.
주034)
논:하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