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2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2]

석보상절 20:40ㄱ

殊師利
주001)
문수사리(文殊師利):
문수사리(文殊師利)가. 체언의 끝소리가 〔i〕여서 ∅격조사가 실현되었다.
샤 世尊하 이 菩薩이 엇던 주002)
엇던:
어떤. 엇던[何](관형사).
됴 根源 주003)
근원(根源):
어떤 일이 생겨나는 본바탕.
시므며 주004)
시므며:
심으며. 시므~[植]+으며(대등적 연결어미).
어 功德을 닷관 주005)
닷관:
닦기에. -[修]+관(연결어미). ‘-관’가 종속절에 오면 앞에 의문사가 오고, 이에 호응하여 주절은 의문문이 된다.
能히 이 큰 神通力을 뒤시며 주006)
뒤시며:
두고 있으며. 두었으며.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며(대등적 연결어미). 중세국어 시기에는 동사 ‘두-[置] 다음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상태의 보조용언 ‘잇/이시-[有]’이 통합되면 이처럼 ‘뒷/뒤-’로 적기도 하고, ‘둣/두-’로 적기도 했다.
엇던 三昧 주007)
삼매(三昧):
삼매(三昧)를. ‘’은 목적격조사.
行니고 주008)
행(行)니고:
행(行)하는 것입니까. ‘-니고’는 ‘--+(직설법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니잇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 어미이다.
願 주009)
원(願):
원(願)하는 것은. 원(願)-+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ㄴ(관형사형어미).
우리 주010)
우리:
우리를. 우리[我等](대명사).
위야 주011)
위야:
위하여. ‘위’는 한자 ‘爲’에서 온 말인데, 이때 이미 정음으로 적었음을 알 수 있다.
이 三昧ㅅ 일후믈 주012)
일후믈:
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니르쇼셔 주013)
니르쇼셔:
이르십시오. 말씀하십시오. 니르-[說]+쇼셔(‘쇼셔’체 명령형종결어미).
우리도 브즈러니 주014)
브즈러니:
부지런히. 브즈러니[勤](부사).
脩行코져 주015)
수행(脩行)코져:
수행(修行)하고자. ‘-코져’는 ‘-고져’의 축약형이다. ‘수행’은 교법(敎法)대로 실천, 궁행(躬行)함을 이른다.
노다 주016)
노다:
하나이다. 합니다.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이 三昧

석보상절 20:40ㄴ

야
주017)
행(行)야:
행하여야. 행(行)-+아/어/야(연결어미)+(강세보조사).
이 菩薩ㅅ 色相 주018)
색상(色相):
색상(色相)이. 색상(色相)+(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었다. ‘색상(色相)’은 눈으로 분별할 수 있는 형상, 곧 겉으로 드러난 만물의 모습을 이른다.
크며 져굼과 주019)
크며 져굼과:
크며 적음과. 크-[大]+며(대등적 연결어미)#젹-[小]+옴/움(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
擧動 주020)
거동(擧動):
거동(擧動)이. 거동(擧動)+(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었다. ‘거동(擧動)’은 몸을 움직이는 것이나 태도를 이른다.
나며 머므롬 주021)
나며 머므롬:
나아가며 머무름을. -[進]+며(대등적 연결어미)#머믈-[止]+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能히 보리니 주022)
보리니:
볼 것이니. 보-[見]+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願 世尊이 神通力으로 뎌 菩薩 오나 주023)
오나:
오거든. 오-[來]+ 나(연결어미).
나 보게 주024)
나 보게:
나를 보게. 나[我]+(목적격조사)#보-[見]+게(대등적 연결어미).
쇼셔 주025)
쇼셔:
하소서. 하십시오. -+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75ㄱ

文殊師利 부텻긔 샤 世尊하 이 菩薩이 엇던 善本을 시므시며 엇던 功德을 닷시관 能히 이 큰 神通力이 겨시며 엇던 三昧 行시고 願 우리 爲야 이 三昧ㅅ

월인석보 18:75ㄴ

일후믈 니쇼셔 우리토 브즈러니 닷가 行코져 노니 이 三昧 行야 能히 이 菩薩ㅅ 色相大小와 威儀進止 보리다【威儀 擧動이오 進 나갈 씨오 止 머믈 씨라】 願 世尊이 神通力으로 뎌 菩薩이 오샤 우

월인석보 18:76ㄱ

리 보게 쇼셔【請問시 마리 다 機 爲야 發시니라】

법화경 7:15ㄴ

文殊願見
〔법화경〕文殊師利言샤 世尊하 是菩薩이 種何善本며 修何功德관대 而能有是大神通力며 行何三昧고 願爲我等샤 說是三昧名字쇼셔 我等도 亦欲勤修行之노니 行此三昧야 乃能見是菩薩ㅅ 色相大小와 威儀進

법화경 7:16ㄱ

止로소다 惟願世尊이 以神通力으로 彼菩薩이 來야 令我得見케쇼셔

〔법화경언해〕○文殊師利 부텻긔 오샤 世尊하 이 菩薩이 엇던 善本 시므며 엇던 功德을 닷관 能히 이 大神通力이 이시며 엇던 三昧ㄹ 行니고 願오 우릴 爲샤 이 三昧ㅅ 일후믈 니쇼셔 우리도  브즈러니 닷가 行코져 노니 이 三昧 行야 能히 이 菩薩ㅅ 色相 大小와 威儀 進止 보리로소다【威 저플 씨오 儀 法이니 威儀進止 擧動이라】 오직 願오 世尊이 神通力으로 뎌 菩薩이 와 나 보게 쇼셔

〔계환해〕

법화경 7:16ㄴ

請問之辭ㅣ 皆爲機샤 發이시니라

〔계환해언해〕○請야 묻오시논 마리 다 機 爲샤 發시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2]
문수사리가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보살이 어떤 좋은 근원을 심으며, 어떤 공덕을 닦기에 능히 이 큰 신통력을 두었으며, 어떤 삼매를 행하는 것입니까? 원하는 것은 우리를 위하여 이 삼매의 이름을 말씀하십시오. 우리도 부지런히 수행하고자 합니다. 이 삼매를 행하여야 이 보살의 색상(色相)이 크고 작음과 거동(擧動)이 나아가고 머무름을 능히 볼 것이니, 원(願)하는 것은 세존의 신통력으로 저 보살이 오거든 저희에게 보게 해 주십시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문수사리(文殊師利):문수사리(文殊師利)가. 체언의 끝소리가 〔i〕여서 ∅격조사가 실현되었다.
주002)
엇던:어떤. 엇던[何](관형사).
주003)
근원(根源):어떤 일이 생겨나는 본바탕.
주004)
시므며:심으며. 시므~[植]+으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5)
닷관:닦기에. -[修]+관(연결어미). ‘-관’가 종속절에 오면 앞에 의문사가 오고, 이에 호응하여 주절은 의문문이 된다.
주006)
뒤시며:두고 있으며. 두었으며.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며(대등적 연결어미). 중세국어 시기에는 동사 ‘두-[置] 다음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상태의 보조용언 ‘잇/이시-[有]’이 통합되면 이처럼 ‘뒷/뒤-’로 적기도 하고, ‘둣/두-’로 적기도 했다.
주007)
삼매(三昧):삼매(三昧)를. ‘’은 목적격조사.
주008)
행(行)니고:행(行)하는 것입니까. ‘-니고’는 ‘--+(직설법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니잇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 어미이다.
주009)
원(願):원(願)하는 것은. 원(願)-+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ㄴ(관형사형어미).
주010)
우리:우리를. 우리[我等](대명사).
주011)
위야:위하여. ‘위’는 한자 ‘爲’에서 온 말인데, 이때 이미 정음으로 적었음을 알 수 있다.
주012)
일후믈: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주013)
니르쇼셔:이르십시오. 말씀하십시오. 니르-[說]+쇼셔(‘쇼셔’체 명령형종결어미).
주014)
브즈러니:부지런히. 브즈러니[勤](부사).
주015)
수행(脩行)코져:수행(修行)하고자. ‘-코져’는 ‘-고져’의 축약형이다. ‘수행’은 교법(敎法)대로 실천, 궁행(躬行)함을 이른다.
주016)
노다:하나이다. 합니다.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17)
행(行)야:행하여야. 행(行)-+아/어/야(연결어미)+(강세보조사).
주018)
색상(色相):색상(色相)이. 색상(色相)+(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었다. ‘색상(色相)’은 눈으로 분별할 수 있는 형상, 곧 겉으로 드러난 만물의 모습을 이른다.
주019)
크며 져굼과:크며 적음과. 크-[大]+며(대등적 연결어미)#젹-[小]+옴/움(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
주020)
거동(擧動):거동(擧動)이. 거동(擧動)+(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었다. ‘거동(擧動)’은 몸을 움직이는 것이나 태도를 이른다.
주021)
나며 머므롬:나아가며 머무름을. -[進]+며(대등적 연결어미)#머믈-[止]+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2)
보리니:볼 것이니. 보-[見]+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3)
오나:오거든. 오-[來]+ 나(연결어미).
주024)
나 보게:나를 보게. 나[我]+(목적격조사)#보-[見]+게(대등적 연결어미).
주025)
쇼셔:하소서. 하십시오. -+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