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공양하고 돌아감
  • 묘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공양하고 돌아감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공양하고 돌아감 1


[묘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공양하고 돌아감 1]
그저긔 주001)
그저긔:
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妙音菩薩摩訶薩 주002)
묘음 보살 마하살(妙音菩薩摩訶薩)이:
묘음 보살 마하살(妙音菩薩摩訶薩)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마하살(摩訶薩)’은 큰 보살, 또는 대성인(大聖人)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은 보살행(菩薩行)을 닦아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지덕(智德)이 높은 보살의 총칭이다.

석보상절 20:52ㄱ

釋迦牟尼佛 주003)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와: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와. ‘와’는 접속조사이다.
多寶佛塔 주004)
다보불탑(多寶佛塔):
동방(東方) 보정(寶淨) 세계의 부처인 다보여래(多寶如來)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한 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단, 또는 3단으로 된 아래는 방형(方形), 위는 원형(圓形)이나 팔각형(八角形)이고, 꼭대기는 상륜(相輪)으로 된 탑이라고 한다.
供養고 주005)
공양(供養)고:
공양(供養)하고. ‘-고’는 ‘--+(겸양법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本土애 주006)
본토(本土)애:
본토(本土)에. 본국(本國)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도라가시니 주007)
도라가시니:
돌아가시니. 도라가-[還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디나시 주008)
디나시:
지나시는. 디나-[經]+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나라히 六種로 주009)
육종(六種)로:
여섯 가지로. ‘로’는 도구 부사격조사이다.
震動며 주010)
진동(震動)며:
진동(津童)하며. ‘육종진동(六種震動)’은 세상에 상서(祥瑞)가 있을 때 대지(大地)가 진동하는 여섯 가지의 모양을 이른다. 곧 동(動), 기(起), 용(涌), 진(震), 후(吼), 각(覺) 등이다.
보옛 蓮ㅅ고지 주011)
보옛 연(蓮)ㅅ고지:
보배의 연꽃이. 보[寶貝]+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연(蓮)ㅅ곶[華](합성어)+이(주격조사).
비흐며 百千萬億 주012)
백천만억(百千萬億):
백천만억 가지의. 여기서는 많다는 뜻으로 쓰였다.
種種앳 주013)
종종(種種)앳:
종종(種種)의. 가지가지의.
 주014)
:
음악(音樂)이. 류[音樂]+ㅣ(주격조사).
더니 주015)
더니:
〈소리〉 하더니. 울리더니. -[鳴]+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누락 부분임.

법화경 7:34ㄱ

八妙音還歸
〔법화경〕爾時妙音菩薩摩訶薩이 供養釋迦牟尼佛와 及多寶佛塔已시고 還歸本土시니 所經諸國이 六種震動고 雨寶蓮華고 作百千萬億種種伎樂더니

〔법화경언해〕○그 妙音菩薩摩訶薩釋迦牟尼佛와  多寶佛塔 供養오시고 도로 本土애 도라가시니 디나시논 諸國이 六種 震動고 寶蓮華 비코 百千萬億 種種 伎樂 더니

〔계환해〕於彼發來예 所經이 亦爾시니 示來往經

법화경 7:34ㄴ

行애 不離是道시니라

〔계환해언해〕○뎨셔 나오샤매 디나시   그리 시니 오며 가며 디나샤매 이 道애 여희디 아니샤 뵈시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공양하고 돌아감 1]
그때에 묘음보살 마하살석가모니불다보불탑을 공양하고 본토(本土)에 돌아가시니, 지나시는 나라들이 여섯 가지〔六種〕로 진동(震動)하며, 보배의 연꽃이 흩날리며, 백천만억 가지가지의 음악이 울렸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저긔: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묘음 보살 마하살(妙音菩薩摩訶薩)이:묘음 보살 마하살(妙音菩薩摩訶薩)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마하살(摩訶薩)’은 큰 보살, 또는 대성인(大聖人)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은 보살행(菩薩行)을 닦아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지덕(智德)이 높은 보살의 총칭이다.
주003)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와: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와. ‘와’는 접속조사이다.
주004)
다보불탑(多寶佛塔):동방(東方) 보정(寶淨) 세계의 부처인 다보여래(多寶如來)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한 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단, 또는 3단으로 된 아래는 방형(方形), 위는 원형(圓形)이나 팔각형(八角形)이고, 꼭대기는 상륜(相輪)으로 된 탑이라고 한다.
주005)
공양(供養)고:공양(供養)하고. ‘-고’는 ‘--+(겸양법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06)
본토(本土)애:본토(本土)에. 본국(本國)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주007)
도라가시니:돌아가시니. 도라가-[還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8)
디나시:지나시는. 디나-[經]+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주009)
육종(六種)로:여섯 가지로. ‘로’는 도구 부사격조사이다.
주010)
진동(震動)며:진동(津童)하며. ‘육종진동(六種震動)’은 세상에 상서(祥瑞)가 있을 때 대지(大地)가 진동하는 여섯 가지의 모양을 이른다. 곧 동(動), 기(起), 용(涌), 진(震), 후(吼), 각(覺) 등이다.
주011)
보옛 연(蓮)ㅅ고지:보배의 연꽃이. 보[寶貝]+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연(蓮)ㅅ곶[華](합성어)+이(주격조사).
주012)
백천만억(百千萬億):백천만억 가지의. 여기서는 많다는 뜻으로 쓰였다.
주013)
종종(種種)앳:종종(種種)의. 가지가지의.
주014)
:음악(音樂)이. 류[音樂]+ㅣ(주격조사).
주015)
더니:〈소리〉 하더니. 울리더니. -[鳴]+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