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3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3]
아니 주001)
아니:
아니[未].
왯 주002)
왯:
와 있는. 온. 오-[來]+아(연결어미)#잇-[有]+(관형사형어미). ‘-아#잇-’은 동작상 중 완료상으로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낸다.
뉘예 주003)
뉘예:
누리에. 세상에. 뉘[世]+예(처소부사격조사).
善男子 주004)
선남자(善男子):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성을 이른다.
善女人 주005)
선여인(善女人):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성을 이른다.
如來ㅅ 智慧 信 주006)
신(信)논:
믿는. 신(信)-+(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사란 주007)
사란:
사람은. 사[者]+란(보조사).
주008)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法華經 주009)
법화경(法華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라고도 한다. 대승경전(大乘經典)의 대표적인 경전의 하나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진다. 범어(梵語) 이름의 뜻은 ‘무엇보다 바른 백련(白蓮)과 같은 가르침’이라고 한다.
불어 주010)
불어:
늘여. 불려. 붇-[演]+어(연결어미).
닐어 주011)
닐어:
일러. 말하여. 니-[說]+어(연결어미).
드러 주012)
드러:
들어. 들어서. 듣-[聞]+어(연결어미).
알에 주013)
알에:
알게. 알-[知]+게/에(연결어미). ‘에’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 디

석보상절 20:3ㄱ

주014)
 디니:
할 것이니. 할지니. -+오(선어말어미)+ㅭ+#(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佛慧 주015)
불혜(佛慧):
부처님의 지혜를.
得게 주016)
득(得)게:
얻게. 득하게. 득(得)-+게(연결어미). 무성자음 다음에서 ‘--’가 생략된 표기.
논 주017)
논:
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젼라 주018)
젼라:
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아뫼나 주019)
아뫼나:
아무나. 아무이거나. 아모[某]+ㅣ나(주격 기능의 조사), 혹은 아모[某]+ㅣ(서술격조사)+나(선택보조사). ¶아뫼나 이 經을 디녀 닐거 외오며 려 불어 닐어 여러 뵈어〈석보상절 9:21ㄱ〉. 아모 爲다 시니〈용비어천가 39〉.
衆生이 주020)
중생(衆生)이:
중생(衆生)이. ‘이’는 주격조사.
信受 주021)
신수(信受):
부처의 말씀 등을 믿고 받아들이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아니 주022)
아니하:
아니하는. 않는. 아니-[不]+(관형사형어미).
사란 如來녀나 주023)
녀나:
다른 남은. 그 밖의. 녀나[餘](관형사).
深妙 주024)
심묘(深妙):
심묘한. 심묘-+ㄴ(관형사형어미). ‘심묘(深妙)’는 깊고 미묘(微妙)하다는 뜻이다.
주025)
법(法):
‘다르마(dharma)’. 본래는 어떤 사물의 형태를 의미하며, 그 사물을 다른 사물이 아닌 고유한 것으로 유지시켜 주는 힘. 교법(敎法), 정법(正法), 묘법(妙法) 등의 불법(佛法)을 이른다.
中에 쳐 주026)
쳐:
가르쳐. 치-[敎]+어(연결어미).
利며 주027)
이(利)며:
이로우며. 이익이 되게 하며. 이(利)-+며(대등적 연결어미).
즐거믈 주028)
즐거믈:
즐거움을. 즐-[喜]+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뵈라 주029)
뵈라:
보여라. 보-[示]+ㅣ(사동접미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녀나 深妙 法은 權敎 주030)
권교(權敎):
불도(佛道)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가르침.
漸敎 주031)
점교(漸敎):
점교(漸敎)를. ‘’은 목적격조사. ‘점교’는 불교의 교리를 닦는 첫 단계로, 간단한 가르침으로부터 차츰 깊은 가르침으로 나아가는 교법(敎法), 또는 차차로 닦아나가 마침내 불과(佛果)를 얻는 법문(法門)을 이른다.
니르시니 주032)
니르시니:
이르시니. 말씀하시니. 니르-[謂]+시(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深妙ㅣ라 주033)
-ㅣ라:
-이라고. -라고.
샨 주034)
샨:
하신. -+샤(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든 주035)
든:
뜻은. 뜻은. [義]+은(관형사형어미).
이 法이 주036)
다:
다. 모두. ‘다-[普]+아(연결어미)’의 ‘다아’가 축약된 형태.
주037)
:
한. 하나의. [一](관형사).
佛乘이론 주038)
불승(佛乘)이론:
불승(佛乘)인. ‘-이론’은 ‘이(서술격조사)+오/로(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불승’은 중생을 태우고 생사의 고해(苦海)를 떠나 열반에 이르게 하는 일을 이른다.
젼라 주039)
젼라:
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너희 주040)
너희:
너희가. 너희[汝等]+∅(주격조사).
能히 이리 주041)
이리:
이렇게. 이리[是](부사).
면 諸佛ㅅ 주042)
제불(諸佛)ㅅ:
제불(諸佛)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제불(諸佛)’은 온 세상의 모든 부처[佛], 또는 최고의 진리를 터득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恩〕惠 갑간 디니〔라〕 주043)
갑간 디니라:
갚는 것이다. 갚는 것이니라. 갚-[報]+거(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17ㄴ

未來世예 다가 善男子 善女人이 如來ㅅ 智慧 信리 잇거든 반기 爲야 이 法華經을 불어 닐어 드러 알에  디니

월인석보 18:18ㄱ

그 사미 佛慧 得게 호 爲논 젼라 다가 衆生이 信受 아니커든 如來ㅅ 녀나 深妙法 中에 利喜 뵈야 치라 如來ㅅ 智慧 信타 샤 能히 種智 信야 一乘 向 사미니 이 經을 爲야 닐어 佛慧 得게 야 二乘에 걸이디 아니케  디니라 녀나 深妙法은

월인석보 18:18ㄴ

權漸敎 니시니  深妙타 니샤 이 法이 다 一佛乘 爲논 젼라】

월인석보 18:18ㄴ

너희히 能히 이리면 마 諸佛 恩 갑간 디니라

〔법화경〕〔6:123ㄴ〕於未來世예 若有善男子善女人이 信如來ㅅ 智慧者ㅣ어든 當爲演說此法華經야 使得聞知니 爲令其人이 得佛慧故ㅣ라 若有衆生이 不信受者ㅣ어든 當於如來ㅅ 餘深法中에 示教利喜 주044)
‘계환해(戒環解)’에는 『법화경』 본문이 나뉘어 있지 않으나, 일여(一如) 집주(集註)의 과문(科文)에 따른 본문 구분으로 『법화경언해』에는 본문이 나뉘어 제시된 것이다.
리라
〔6:124ㄴ〕 三結勸
汝等이 若能如是면 則爲已報諸佛之恩이리라

〔법화경언해〕○未來世예 다가 善男子 善女人이 如來ㅅ 智慧 信리 잇거든 반기 爲야 이 法華經을 불어 닐어 드러 아로 得게 홀 띠니 그 사미 佛慧 得게 호 爲논 젼라 다가 衆生이 信受 아니리 잇거든 반기 如來ㅅ 녀나 深妙〔6:124ㄱ〕法中에 뵈며 치며 利케 며 깃굴 띠니라 ○너희 다가 能히 이티 면 諸佛ㅅ 恩을 마 가포미 외리라

〔계환해〕信如來ㅅ 智慧 謂能信種智야 趣向一乘者시니 當爲說是經샤 令得佛慧야 而不滯二乘也ㅣ샷다 餘深妙法은 指權漸教也시니 亦曰深妙者 是法이 皆爲一佛乘故ㅣ시니라 乃所謂將此深心奉塵刹也ㅣ라

〔계환해언해〕○如來ㅅ 智慧 信호 能히 種智 信야 一乘에 가 向 사 니시니 반기 이 經을 爲야 니샤 佛慧를 得야 二乘에 거디 아니케 샬 띠로다 녀나 深妙法은 權엣 漸敎 치시니  深妙ㅣ라 니샤 이 法이 다 一〔6:124ㄴ〕佛乘 爲샨 젼시니라 ○닐온 이 기픈  가져 塵刹을 받오미라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3]
아니 와 있는 누리〔未來世〕 주045)
아니 왯 뉘예:
미래 세상에. 아직 오지 않은 누리에. 『법화경』의 ‘미래세(未來世)’를 우리말로 옮긴 것인데, 『월인석보』(1459년 간행)부터는 다시 ‘미래세(未來世)’로 환원되었다.
에 선남자(善男子), 선여인(善女人)이 〈있어서〉 여래의 지혜를 믿는 사람에게는 이 『법화경(法華經)』을 불려 말하여 들어서 알게 할 것이니, 〈이는〉 부처의 지혜〔佛慧〕를 얻게 하고자 하는 까닭이다. 아무이거나 중생이 신수(信受) 아니하는 사람은 여래의 다른 심묘(深妙)한 법(法) 가운데서 가르쳐 이로우며 즐거움을 보여라.【다른 심묘법(深妙法)은 권교(權敎)와 점교(漸敎)를 이르시니, 심묘(深妙)라고 하신 뜻은 이 법이 다 한(하나의) 불승(佛乘)인 까닭이다.】 너희가 능히 이렇게 하면 제불(諸佛)의 은혜(恩慧)를 갚는 것이니라.”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니:아니[未].
주002)
왯:와 있는. 온. 오-[來]+아(연결어미)#잇-[有]+(관형사형어미). ‘-아#잇-’은 동작상 중 완료상으로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낸다.
주003)
뉘예:누리에. 세상에. 뉘[世]+예(처소부사격조사).
주004)
선남자(善男子):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성을 이른다.
주005)
선여인(善女人):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성을 이른다.
주006)
신(信)논:믿는. 신(信)-+(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7)
사란:사람은. 사[者]+란(보조사).
주008)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09)
법화경(法華經):‘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라고도 한다. 대승경전(大乘經典)의 대표적인 경전의 하나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진다. 범어(梵語) 이름의 뜻은 ‘무엇보다 바른 백련(白蓮)과 같은 가르침’이라고 한다.
주010)
불어:늘여. 불려. 붇-[演]+어(연결어미).
주011)
닐어:일러. 말하여. 니-[說]+어(연결어미).
주012)
드러:들어. 들어서. 듣-[聞]+어(연결어미).
주013)
알에:알게. 알-[知]+게/에(연결어미). ‘에’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14)
 디니:할 것이니. 할지니. -+오(선어말어미)+ㅭ+#(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15)
불혜(佛慧):부처님의 지혜를.
주016)
득(得)게:얻게. 득하게. 득(得)-+게(연결어미). 무성자음 다음에서 ‘--’가 생략된 표기.
주017)
논: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18)
젼라: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9)
아뫼나:아무나. 아무이거나. 아모[某]+ㅣ나(주격 기능의 조사), 혹은 아모[某]+ㅣ(서술격조사)+나(선택보조사). ¶아뫼나 이 經을 디녀 닐거 외오며 려 불어 닐어 여러 뵈어〈석보상절 9:21ㄱ〉. 아모 爲다 시니〈용비어천가 39〉.
주020)
중생(衆生)이:중생(衆生)이. ‘이’는 주격조사.
주021)
신수(信受):부처의 말씀 등을 믿고 받아들이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주022)
아니하:아니하는. 않는. 아니-[不]+(관형사형어미).
주023)
녀나:다른 남은. 그 밖의. 녀나[餘](관형사).
주024)
심묘(深妙):심묘한. 심묘-+ㄴ(관형사형어미). ‘심묘(深妙)’는 깊고 미묘(微妙)하다는 뜻이다.
주025)
법(法):‘다르마(dharma)’. 본래는 어떤 사물의 형태를 의미하며, 그 사물을 다른 사물이 아닌 고유한 것으로 유지시켜 주는 힘. 교법(敎法), 정법(正法), 묘법(妙法) 등의 불법(佛法)을 이른다.
주026)
쳐:가르쳐. 치-[敎]+어(연결어미).
주027)
이(利)며:이로우며. 이익이 되게 하며. 이(利)-+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28)
즐거믈:즐거움을. 즐-[喜]+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주029)
뵈라:보여라. 보-[示]+ㅣ(사동접미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30)
권교(權敎):불도(佛道)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가르침.
주031)
점교(漸敎):점교(漸敎)를. ‘’은 목적격조사. ‘점교’는 불교의 교리를 닦는 첫 단계로, 간단한 가르침으로부터 차츰 깊은 가르침으로 나아가는 교법(敎法), 또는 차차로 닦아나가 마침내 불과(佛果)를 얻는 법문(法門)을 이른다.
주032)
니르시니:이르시니. 말씀하시니. 니르-[謂]+시(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33)
-ㅣ라:-이라고. -라고.
주034)
샨:하신. -+샤(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35)
든:뜻은. 뜻은. [義]+은(관형사형어미).
주036)
다:다. 모두. ‘다-[普]+아(연결어미)’의 ‘다아’가 축약된 형태.
주037)
:한. 하나의. [一](관형사).
주038)
불승(佛乘)이론:불승(佛乘)인. ‘-이론’은 ‘이(서술격조사)+오/로(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불승’은 중생을 태우고 생사의 고해(苦海)를 떠나 열반에 이르게 하는 일을 이른다.
주039)
젼라: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40)
너희:너희가. 너희[汝等]+∅(주격조사).
주041)
이리:이렇게. 이리[是](부사).
주042)
제불(諸佛)ㅅ:제불(諸佛)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제불(諸佛)’은 온 세상의 모든 부처[佛], 또는 최고의 진리를 터득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043)
갑간 디니라:갚는 것이다. 갚는 것이니라. 갚-[報]+거(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4)
‘계환해(戒環解)’에는 『법화경』 본문이 나뉘어 있지 않으나, 일여(一如) 집주(集註)의 과문(科文)에 따른 본문 구분으로 『법화경언해』에는 본문이 나뉘어 제시된 것이다.
주045)
아니 왯 뉘예:미래 세상에. 아직 오지 않은 누리에. 『법화경』의 ‘미래세(未來世)’를 우리말로 옮긴 것인데, 『월인석보』(1459년 간행)부터는 다시 ‘미래세(未來世)’로 환원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