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2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2]
宿王華 주001)
네: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는 주격조사의 통합으로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이 經 受持 주002)
수지(受持):
수지(受持)할. 수지(受持)한. 수지(受持)-+ㅭ(관형사형어미). ‘수지’는 경전 등을 받아서 항상 잊지 않고 머리에 새기어 가지는 것을 뜻한다.
사 주003)
사:
사람을. 사[人].
보아 주004)
보아:
보거든. 보-[見]+거든/아(조건의 종속적 연결어미). 어간 ‘보-’가 타동사이므로 조건의 연결어미로 ‘-아’이 왔다.
靑蓮花애 주005)
청련화(靑蓮花)애:
청련화(靑蓮花)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청련화(靑蓮花)’는 푸른색이 나는 연꽃을 이른다.
末香 주006)
말향(末香):
말향(抹香)을. ‘말향(抹香)’은 가루로 된 향(香)을 이른다. ‘말(抹)’은 ‘세말(細末)’이란 뜻으로 썩 곱게 빻는 일이나 그렇게 빻은 가루를 이른다. 이런 이유로 이 책에서는 ‘말향(抹香)’을 ‘말향(末香)’이라 표기한 것으로 본다.
기 주007)
기:
가득. 가득히. 기[滿](부사).
다마 주008)
다마:
담아. 담-[盛]+아(연결어미).
그 우희 주009)
그 우희:
그 위에. ‘우희’는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로 분석된다.
비허 주010)
비허:
뿌려. 흩어. 빟ㅎ-[散]+어(연결어미).
供養고 너교 이 사미 아니 오라아 주011)
아니 오라아:
오래지 않아. 아니[不](부사)#오라-[久]+아(연결어미).
다 주012)
다:
당당이. 마땅히. 응당. 다[當](부사).
주013)
플:
풀을. 플[草].
가져 주014)
가져:
가지어. 가지-[取]+어(연결어미).
道場애 주015)
도량(道場)애:
도량(道場)에. 당시의 현실 한자음인 ‘도’이 유음화(流音化)하여 현재의 ‘도량’으로 바뀌었고, 한편으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어 ‘도장(道場)’으로 바뀌어 두 형태로 오늘에 전한다. ‘도량’은 모든 불·보살이 성도(聖道)를 얻거나,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안자 【取草者 佛이 成道時예 取吉祥의 草샤 爲座시니라 플 가죠 주016)
플 가죠:
풀을 가짐은. 풀을 가지는 것은. 플[草]#가지-[取]+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부텨 成道 주017)
성도(成道):
성인의 지위(地位)에 이르는 수행이나 번뇌의 더러움이 없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말한다.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 곧 불도(佛道) 등을 이른다.

석보상절 20:31ㄴ

 주018)
:
하실.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
時節에 주019)
시절(時節)에:
때에. 시절(時節)에. ‘에’는 부사격조사이다.
吉祥 주020)
길상(吉祥):
길상(吉祥)의. ‘’는 관형격조사이다. ‘길상(吉祥)’은 범어로 ‘śrī’라고 한다.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을 이른다. 선조(善兆), 또는 길조(吉兆)라고도 한다.
플로 주021)
플로:
풀로. 플[草]+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22)
좌(座):
좌(座)를. 자리를.
샤미라 주023)
샤미라:
만드신 것이다. 만드심이다. -[作]+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魔軍 주024)
마군(魔軍):
마구니를. ‘마군(魔軍)’은 악마들의 군병(軍兵)이라는 뜻으로 마왕(魔王)과 그의 권속들을 아울러 가리키는 말이다. 다르게는 불도(佛道)를 방해하는 온갖 악한 일들을 모두 아울러서 하는 말이기도 하다.
헐오 주025)
헐오:
무너뜨리고. 헐-[破]+고/오(대등적 연결어미).
法螺 주026)
법라(法螺):
소라 껍데기로 만든 악기(樂器)이다. 주로 경행(經行)이나 법회(法會) 때에 사용한다.
불며 주027)
불며:
불며. 불-[吹]+며(대등적 연결어미).
法鼓 주028)
법고(法鼓):
법당(法堂)의 동북쪽에 달아 놓은 큰 북을 이른다. 근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아침, 저녁의 예불(禮佛) 때와 법식(法式)을 거행할 때에 친다.
주029)
텨:
쳐서. 티-[擊]+어(여결어미).
一切 衆生 老病死ㅅ 주030)
노병사(老病死)ㅅ:
노병사(老病死)의. ‘ㅅ’은 관형격조사이다. ‘노병사(老病死)’는 ‘늙고 병들어서 죽는다.’는 뜻이다.
바래 주031)
바래:
바다에. 바[海]+애(부사격조사).
度脫리라 주032)
도탈(度脫)리라:
도탈(度脫)하리라. 도탈(度脫)할 것이다. ‘-리라’는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도탈’은 생사의 바다를 건너고, 미혹의 세계를 벗어나서 오계(悟界)에 들어가는 것을 이른다. 곧 제도(濟渡)하고 해탈(解脫)하게 하는 것이다.
라 주033)
라:
하여라. -+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이럴 주034)
이럴:
이러하므로. 이러-[是故]+ㄹ(연결어미).
부텻 주035)
부텻:
부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道理 주036)
도리(道理):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 방법이나 길을 이른다.
求 주037)
구(求):
구(求)하는. 구(求)-+(관형사형어미).
사 이 經典 受持 사 보아 로 주038)
로:
모습으로. 양자로. 모양으로. 한자어 ‘양자(樣子/樣姿)’에서 온 말인데, 중세국어시기에 이미 정음으로 적혀서 ‘얼굴 생김새’ 외에 ‘모습/모양’의 뜻으로 쓰이기도 했다.
恭敬心을 주039)
공경심(恭敬心)을:
공경심(恭敬心)을. ‘을’은 목적격조사이다. ‘공경심’은 남을 대할 때 몸가짐을 공손히 하고, 마음가짐을 경건히 하는 것을 이른다.
내야 주040)
내야:
내어야. 내-[生]+아/야(연결어미)+(보조사).
리라 주041)
리라:
하리라. 할 것이다.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59ㄴ

宿王華야 네 다가 이 經 受持리 보아

월인석보 18:60ㄱ

 靑蓮華애 抹香 기 다마 우희 비코 너교 이 사미 아니 오라 반기 플 가져 道場애 안자 魔軍 헐오 法螺 불며 큰 法鼓 텨 一切 衆生 生 老 病 死海예 度脫리라 라 이럴 佛道 求 사

월인석보 18:60ㄴ

미 이 經典 受持리 보아 이 티 恭敬  내야 리라부톄 成道 제 吉祥草 가져 座 시니라】

〔6:181ㄴ〕 十令敬持人
〔법화경〕宿王華야 汝ㅣ 若見有受持是經者야 應以青蓮花애 盛滿末香야 供散其上고 散已고 作是念言호 此人이 不久야 必當取草야 坐於道場야 破諸魔軍고 當吹法螺며 擊大法鼓야 度脫一切衆生老病死海라라 是故로 求佛道者ㅣ 見有受持是經典人야 應〔6:182ㄱ〕當如是히 生恭敬心이니라

〔법화경언해〕○宿王華야 네 다가 이 經 受持리 보아 반기 靑蓮華애 抹香 기 다마 그 우희 供養야 비코 비코 이 念을 야 닐오 이 사미 아니 오라 반기 플 가져 道場애 안자 여러 가짓 魔軍을 헐오 반기 法螺 불며 큰 法鼓 텨 一切 衆生 老病死海예 건내야 벗기리라 라 이런로 佛道 求 사미 이 經典 受持 싸 보아 반기 이티 恭敬  내욜 띠니라

〔계환해〕〔6:182ㄴ〕散華作念等은 令生心如佛想也ㅣ시니라 取草者 佛이 成道時예 取吉祥의 草샤 爲座시니라

〔계환해언해〕○곳 비코 念홈 매 부텨  想 내에 샤미라 플 가죠 부톄 成道실 쩨 吉祥의 프를 가지샤 座 시니라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2]
수왕화야, 네가 이 경을 수지하는 사람을 보거든 청련화에 말향(末香)을 가득 담아 그 위에 뿌려서 공양하고 생각하되, ‘이 사람이 오래지 않아 당당히 풀을 가지고 도량에 앉아서【풀을 가지는 것은 부처께서 성도(成道)하실 때에 길상(吉祥)의 풀로 자리〔座〕를 만드신 때문이다.】 마군(魔軍)을 무너뜨리고, 법라(法螺)를 불며 큰 법고(法鼓)를 쳐서, 일체 중생을 늙고 병들어 죽는 바다에서 도탈(度脫)하게 할 것이다.’라고 하여라. 이러하므로 부처의 도리를 구하는 사람은 이 경전을 수지하는 사람을 보거든 이러한 모습으로 공경심을 내어야 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네: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는 주격조사의 통합으로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02)
수지(受持):수지(受持)할. 수지(受持)한. 수지(受持)-+ㅭ(관형사형어미). ‘수지’는 경전 등을 받아서 항상 잊지 않고 머리에 새기어 가지는 것을 뜻한다.
주003)
사:사람을. 사[人].
주004)
보아:보거든. 보-[見]+거든/아(조건의 종속적 연결어미). 어간 ‘보-’가 타동사이므로 조건의 연결어미로 ‘-아’이 왔다.
주005)
청련화(靑蓮花)애:청련화(靑蓮花)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청련화(靑蓮花)’는 푸른색이 나는 연꽃을 이른다.
주006)
말향(末香):말향(抹香)을. ‘말향(抹香)’은 가루로 된 향(香)을 이른다. ‘말(抹)’은 ‘세말(細末)’이란 뜻으로 썩 곱게 빻는 일이나 그렇게 빻은 가루를 이른다. 이런 이유로 이 책에서는 ‘말향(抹香)’을 ‘말향(末香)’이라 표기한 것으로 본다.
주007)
기:가득. 가득히. 기[滿](부사).
주008)
다마:담아. 담-[盛]+아(연결어미).
주009)
그 우희:그 위에. ‘우희’는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0)
비허:뿌려. 흩어. 빟ㅎ-[散]+어(연결어미).
주011)
아니 오라아:오래지 않아. 아니[不](부사)#오라-[久]+아(연결어미).
주012)
다:당당이. 마땅히. 응당. 다[當](부사).
주013)
플:풀을. 플[草].
주014)
가져:가지어. 가지-[取]+어(연결어미).
주015)
도량(道場)애:도량(道場)에. 당시의 현실 한자음인 ‘도’이 유음화(流音化)하여 현재의 ‘도량’으로 바뀌었고, 한편으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어 ‘도장(道場)’으로 바뀌어 두 형태로 오늘에 전한다. ‘도량’은 모든 불·보살이 성도(聖道)를 얻거나,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16)
플 가죠:풀을 가짐은. 풀을 가지는 것은. 플[草]#가지-[取]+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17)
성도(成道):성인의 지위(地位)에 이르는 수행이나 번뇌의 더러움이 없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말한다.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 곧 불도(佛道) 등을 이른다.
주018)
:하실.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
주019)
시절(時節)에:때에. 시절(時節)에. ‘에’는 부사격조사이다.
주020)
길상(吉祥):길상(吉祥)의. ‘’는 관형격조사이다. ‘길상(吉祥)’은 범어로 ‘śrī’라고 한다.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을 이른다. 선조(善兆), 또는 길조(吉兆)라고도 한다.
주021)
플로:풀로. 플[草]+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22)
좌(座):좌(座)를. 자리를.
주023)
샤미라:만드신 것이다. 만드심이다. -[作]+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4)
마군(魔軍):마구니를. ‘마군(魔軍)’은 악마들의 군병(軍兵)이라는 뜻으로 마왕(魔王)과 그의 권속들을 아울러 가리키는 말이다. 다르게는 불도(佛道)를 방해하는 온갖 악한 일들을 모두 아울러서 하는 말이기도 하다.
주025)
헐오:무너뜨리고. 헐-[破]+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주026)
법라(法螺):소라 껍데기로 만든 악기(樂器)이다. 주로 경행(經行)이나 법회(法會) 때에 사용한다.
주027)
불며:불며. 불-[吹]+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28)
법고(法鼓):법당(法堂)의 동북쪽에 달아 놓은 큰 북을 이른다. 근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아침, 저녁의 예불(禮佛) 때와 법식(法式)을 거행할 때에 친다.
주029)
텨:쳐서. 티-[擊]+어(여결어미).
주030)
노병사(老病死)ㅅ:노병사(老病死)의. ‘ㅅ’은 관형격조사이다. ‘노병사(老病死)’는 ‘늙고 병들어서 죽는다.’는 뜻이다.
주031)
바래:바다에. 바[海]+애(부사격조사).
주032)
도탈(度脫)리라:도탈(度脫)하리라. 도탈(度脫)할 것이다. ‘-리라’는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도탈’은 생사의 바다를 건너고, 미혹의 세계를 벗어나서 오계(悟界)에 들어가는 것을 이른다. 곧 제도(濟渡)하고 해탈(解脫)하게 하는 것이다.
주033)
라:하여라. -+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34)
이럴:이러하므로. 이러-[是故]+ㄹ(연결어미).
주035)
부텻:부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주036)
도리(道理):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 방법이나 길을 이른다.
주037)
구(求):구(求)하는. 구(求)-+(관형사형어미).
주038)
로:모습으로. 양자로. 모양으로. 한자어 ‘양자(樣子/樣姿)’에서 온 말인데, 중세국어시기에 이미 정음으로 적혀서 ‘얼굴 생김새’ 외에 ‘모습/모양’의 뜻으로 쓰이기도 했다.
주039)
공경심(恭敬心)을:공경심(恭敬心)을. ‘을’은 목적격조사이다. ‘공경심’은 남을 대할 때 몸가짐을 공손히 하고, 마음가짐을 경건히 하는 것을 이른다.
주040)
내야:내어야. 내-[生]+아/야(연결어미)+(보조사).
주041)
리라:하리라. 할 것이다.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