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0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0]
大梵天王 주001)
대범천왕(大梵天王):
범어로는 ‘brahma’이다. 초선천(初禪天)의 왕. 색계(色界) 대범천(大梵天)의 높은 누각에 거주한다고 한다. 제석(帝釋)과 함께 정법(政法)을 옹호하는 신으로, 부처님이 세상에 나올 적마다 반드시 제일 먼저 설법을 청한다고 한다. 항상 부처님을 오른쪽에서 모시면서 손에는 흰색 불자(拂子)를 들고 있다.
이 一切 衆生 아비니 주002)
아비니:
아버지이니. 아비[父]+∅(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經이 주003)
경(經)이:
경(經)이. 경전(經典)이. ‘이’는 주격조사.
 이 야 一切 賢聖 주004)
현성(賢聖):
성현(聖賢)을 이른다. ‘현(賢)’은 선(善)으로 화(和)한다는 뜻이고, ‘성(聖)’은 정(正)으로 화(和)하다는 뜻이다. 달리는 범부(凡夫)의 자리에 머물러 있는 견도(見道) 이전의 지위를 현(賢)이라 하고, 범부의 성품을 버린 견도(見道) 이후의 지위를 성(聖)이라고 한다.
學無學 주005)
학무학(學無學):
진리를 탐구하여 번뇌(煩惱)를 끊어버림을 ‘학(學)’이라 하고, 이 학(學)이 끝까지 가서 번뇌가 완전히 없어져 다시 더 수학(修學)할 것이 없는 것을 ‘무학(無學)’이라고 한다. 대승(大乘)에서는 보살(菩薩) 10지(地)를 ‘학(學)’, 불과(佛果)를 ‘무학(無學)’이라고 한다.
菩薩 주006)
보살(菩薩):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로,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修行)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른다.
發 주007)
발(發):
발(發)한. 낸. 발(發)-+ㄴ(관형사형어미).
사 주008)
사:
사람의. 사[者]+/의(관형격조사).
아비며 주009)
아비며:
아버지이며. 아비[父]+∅(서술격조사)+며(대등적 연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49ㄱ

大梵天王이 一切 衆生 아비 야 이 經도 一切 賢聖 學 無學과 發菩薩心 거긧 아비라

〔6:166ㄴ〕 七作怙
〔법화경〕又如大梵天王이 一切衆生之父야 此經도 〔6:167ㄱ〕亦復如是야 一切賢聖學無學과 及發菩薩心者之父ㅣ니라

〔법화경언해〕○ 大梵天王이 一切 衆生 아비 야 이 經도  이 야 一切 賢聖 學 無學과 菩薩心 發 사 아비라

〔계환해〕大梵은 即娑婆界主ㅣ라 父 言爲之依怙〔6:167ㄴ〕시니라

〔계환해언해〕○大梵은 곧 娑婆界主ㅣ라 父 브터 미돌  외요 니르시니라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0]
대범천왕(大梵天王)이 일체 중생의 아버지이니, 이 경전이 또 이와 같아서 일체의 현성(賢聖), 학무학(學無學)과 보살의 마음을 발(發)한 사람의 아버지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범천왕(大梵天王):범어로는 ‘brahma’이다. 초선천(初禪天)의 왕. 색계(色界) 대범천(大梵天)의 높은 누각에 거주한다고 한다. 제석(帝釋)과 함께 정법(政法)을 옹호하는 신으로, 부처님이 세상에 나올 적마다 반드시 제일 먼저 설법을 청한다고 한다. 항상 부처님을 오른쪽에서 모시면서 손에는 흰색 불자(拂子)를 들고 있다.
주002)
아비니:아버지이니. 아비[父]+∅(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03)
경(經)이:경(經)이. 경전(經典)이. ‘이’는 주격조사.
주004)
현성(賢聖):성현(聖賢)을 이른다. ‘현(賢)’은 선(善)으로 화(和)한다는 뜻이고, ‘성(聖)’은 정(正)으로 화(和)하다는 뜻이다. 달리는 범부(凡夫)의 자리에 머물러 있는 견도(見道) 이전의 지위를 현(賢)이라 하고, 범부의 성품을 버린 견도(見道) 이후의 지위를 성(聖)이라고 한다.
주005)
학무학(學無學):진리를 탐구하여 번뇌(煩惱)를 끊어버림을 ‘학(學)’이라 하고, 이 학(學)이 끝까지 가서 번뇌가 완전히 없어져 다시 더 수학(修學)할 것이 없는 것을 ‘무학(無學)’이라고 한다. 대승(大乘)에서는 보살(菩薩) 10지(地)를 ‘학(學)’, 불과(佛果)를 ‘무학(無學)’이라고 한다.
주006)
보살(菩薩):‘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로,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修行)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른다.
주007)
발(發):발(發)한. 낸. 발(發)-+ㄴ(관형사형어미).
주008)
사:사람의. 사[者]+/의(관형격조사).
주009)
아비며:아버지이며. 아비[父]+∅(서술격조사)+며(대등적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