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7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7]
七寶臺예 주001)
칠보대(七寶臺)예:
칠보대(七寶臺)에. 칠보(七寶)로 된 좌대(座臺)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칠보(七寶)’는 불교에서 말하는 일곱 종류의 보배를 이른다. ‘좌대(座臺)’는 사방(四方)을 볼 수 있게 높이 쌓아 만든 곳을 이른다. 따라서 ‘칠보대’는 칠보로 장식한 좌대이다.
드르샤 주002)
드르샤:
드시어. 들-[入]+으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虛空애 오시니 주003)
허공(虛空)애 오시니:
허공(虛空)에 오르시니. 허공(虛空)+애(처소부사격조사)#오-[上昇]+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 버로미 주004)
 버로미:
땅에서 벌어짐이. 땅과의 높이가. [地]#버-[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닐굽 多羅樹ㅣ러시니 주005)
닐굽 다라수(多羅樹)ㅣ러시니:
일곱 다라수(多羅樹)이더니. 닐굽[七]#다라수(多羅樹)+ㅣ(서술격조사)+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다라수(多羅樹)’는 종려나무과의 열대식물이다. 인도, 버마, 스리랑카 등지에서 주로 자란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이 나무로 높이의 척도를 삼았다고 하는데, 1다라수의 높이는 49척(尺) 정도라고 한다. 이 나무의 잎을 패엽(貝葉), 또는 패다라엽(貝多羅葉)이라고 부르고, 주로 경문(經文)을 새기는 데 썼다고 한다. 따라서 7다라수(多羅樹)는 343척(尺) 정도이다.
한 菩薩衆이 주006)
한 보살중(菩薩衆)이:
많은 보살(菩薩) 대중(大衆)이. 하-[多]+ㄴ(관형사형어미)#보살중(菩薩衆)+이(주격조사).
恭敬야 圍繞 주007)
위요(圍繞):
위요(圍繞)하여. 위요(圍繞)-+(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위요(圍繞)’는 부처님을 중심으로 주위를 둘러싸서 소원을 염하는 것을 이른다.
이 娑婆世界 耆闍崛

석보상절 20:42ㄴ

주008)
기사굴산(耆闍崛山)애:
기사굴산(耆闍崛山)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기사굴산(耆闍崛山)’은 범어로 ‘gṛdhrakūṭa’라고 한다. 기사굴(耆闍崛)은 기자쿠타의 음역이다. 중인도 마갈다국의 왕사성 동북쪽에 있던 산이다. 그 이름은 산 정상에 독수리 모양의 바위가 있었기 때문이라 하기도 하고, 그 산에 독수리가 많이 살고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법했던 장소 중의 하나로 유명하다. 동의어로 영산(靈山), 영취산(靈鷲山), 취봉산(鷲峰山) 등이 있다.
오샤 주009)
오샤:
오시어. 오-[來]+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七寶臺예 주010)
칠보대(七寶臺)예:
칠보대(七寶臺)에서. 칠보(七寶) 좌대(座臺)에서. ‘예’는 여기서 출발점 부사격으로 쓰였다.
려 주011)
려:
내려와. 리-[下]+어(연결어미).
갑시 百千 마 주012)
백천(百千) 마:
백천(百千)에 맞은. 백천(百千)에 해당하는. 맞-[適]+(관형사형어미).
瓔珞 가져 주013)
영락(瓔珞) 가져:
영락(瓔珞)을 가지어. 영락(瓔珞)+(목적격조사)#가지-[持]+어(연결어미). ‘영락’은 불교에서 말하는 칠보(七寶)의 하나이다. 보배 구슬이나 귀금속을 실에 꿰어서 목과 몸에 달아 장엄하는 장신구이다. 곧 불상이나 불상을 모시는 곳을 장엄하기 위해 금붙이와 주옥(珠玉)을 섞어서 만든 꽃모양의 장식을 이른다.
釋迦牟尼佛 주014)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께.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석가모니불’은 석가모니 부처를 이른다. 불교(佛敎)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가샤 주015)
가샤:
가시어. 가-[至]+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머리 조 주016)
머리 조:
머리를 조아려. 머리[頭]#좃-[頓]+(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禮數고 주017)
예수(禮數)고:
예수(禮數)하고. 예배(禮拜)하고.
瓔珞 받고 주018)
받고:
바치고. 받-[奉上]+(겸양법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샤 주019)
샤:
사뢰시되. 여쭈시되. -[白]+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78ㄱ

七寶臺예 드르샤 虛空애 오샤 해셔 버로미 七多羅樹ㅣ러니 菩薩衆히 恭敬 圍繞샤 이 娑

월인석보 18:78ㄴ

婆世界 耆闍崛山애 오샤 다샤 七寶臺예 리샤 갑시 百千이  瓔珞로 釋迦牟尼佛 가져 드르샤 머리 조 禮數고 瓔珞 받시고【法寶로 法身 莊嚴호 뵈시니라】

법화경 7:19ㄱ

入七寶臺샤 上昇虛空샤 去地七多羅樹샤

법화경 7:19ㄴ

諸菩薩衆이 恭敬圍遶샤 而來詣此娑婆世界耆闍崛山샤 到已샤 下七寶臺샤 以價直百千 瓔珞으로 持至釋迦牟尼佛所샤 頭面禮足시고 奉上瓔珞시고

〔법화경언해〕○七寶臺예 드르샤 虛空애 오샤 해 七多羅樹 버르샤 諸菩薩衆이 恭敬 圍遶샤 이 娑婆世界 耆闍崛山애 오샤 다샤 七寶臺예 리샤 갑시 百千  瓔珞으로 가져 釋迦牟尼佛 가샤 頭面으로 바래 禮數시고 瓔珞을

법화경 7:20ㄱ

받오시고

〔계환해〕示以法寶로 莊嚴法身시니라

〔계환해언해〕○法寶로 法身 莊嚴호 뵈시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7]
칠보대(七寶臺)에 들어서 허공(虛空)에 오르시니, 땅에서 벌어짐이 7다라수(多羅樹)이었다. 많은 보살 대중이 공경하고 위요(圍繞)하여 이 사바세계의 기사굴산에 오신 것이다. 〈그런 다음〉 칠보대에서 내려와 값이 백천에 맞는(해당하는) 영락(瓔珞)을 가지고 석가모니불께 가서 머리를 조아려 예수(禮數)한 후 영락을 바치면서 사뢰었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칠보대(七寶臺)예:칠보대(七寶臺)에. 칠보(七寶)로 된 좌대(座臺)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칠보(七寶)’는 불교에서 말하는 일곱 종류의 보배를 이른다. ‘좌대(座臺)’는 사방(四方)을 볼 수 있게 높이 쌓아 만든 곳을 이른다. 따라서 ‘칠보대’는 칠보로 장식한 좌대이다.
주002)
드르샤:드시어. 들-[入]+으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3)
허공(虛空)애 오시니:허공(虛空)에 오르시니. 허공(虛空)+애(처소부사격조사)#오-[上昇]+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4)
 버로미:땅에서 벌어짐이. 땅과의 높이가. [地]#버-[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5)
닐굽 다라수(多羅樹)ㅣ러시니:일곱 다라수(多羅樹)이더니. 닐굽[七]#다라수(多羅樹)+ㅣ(서술격조사)+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다라수(多羅樹)’는 종려나무과의 열대식물이다. 인도, 버마, 스리랑카 등지에서 주로 자란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이 나무로 높이의 척도를 삼았다고 하는데, 1다라수의 높이는 49척(尺) 정도라고 한다. 이 나무의 잎을 패엽(貝葉), 또는 패다라엽(貝多羅葉)이라고 부르고, 주로 경문(經文)을 새기는 데 썼다고 한다. 따라서 7다라수(多羅樹)는 343척(尺) 정도이다.
주006)
한 보살중(菩薩衆)이:많은 보살(菩薩) 대중(大衆)이. 하-[多]+ㄴ(관형사형어미)#보살중(菩薩衆)+이(주격조사).
주007)
위요(圍繞):위요(圍繞)하여. 위요(圍繞)-+(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위요(圍繞)’는 부처님을 중심으로 주위를 둘러싸서 소원을 염하는 것을 이른다.
주008)
기사굴산(耆闍崛山)애:기사굴산(耆闍崛山)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기사굴산(耆闍崛山)’은 범어로 ‘gṛdhrakūṭa’라고 한다. 기사굴(耆闍崛)은 기자쿠타의 음역이다. 중인도 마갈다국의 왕사성 동북쪽에 있던 산이다. 그 이름은 산 정상에 독수리 모양의 바위가 있었기 때문이라 하기도 하고, 그 산에 독수리가 많이 살고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법했던 장소 중의 하나로 유명하다. 동의어로 영산(靈山), 영취산(靈鷲山), 취봉산(鷲峰山) 등이 있다.
주009)
오샤:오시어. 오-[來]+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0)
칠보대(七寶臺)예:칠보대(七寶臺)에서. 칠보(七寶) 좌대(座臺)에서. ‘예’는 여기서 출발점 부사격으로 쓰였다.
주011)
려:내려와. 리-[下]+어(연결어미).
주012)
백천(百千) 마:백천(百千)에 맞은. 백천(百千)에 해당하는. 맞-[適]+(관형사형어미).
주013)
영락(瓔珞) 가져:영락(瓔珞)을 가지어. 영락(瓔珞)+(목적격조사)#가지-[持]+어(연결어미). ‘영락’은 불교에서 말하는 칠보(七寶)의 하나이다. 보배 구슬이나 귀금속을 실에 꿰어서 목과 몸에 달아 장엄하는 장신구이다. 곧 불상이나 불상을 모시는 곳을 장엄하기 위해 금붙이와 주옥(珠玉)을 섞어서 만든 꽃모양의 장식을 이른다.
주014)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께.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석가모니불’은 석가모니 부처를 이른다. 불교(佛敎)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주015)
가샤:가시어. 가-[至]+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6)
머리 조:머리를 조아려. 머리[頭]#좃-[頓]+(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7)
예수(禮數)고:예수(禮數)하고. 예배(禮拜)하고.
주018)
받고:바치고. 받-[奉上]+(겸양법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19)
샤:사뢰시되. 여쭈시되. -[白]+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