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6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6]
이 菩薩ㅅ 주001)
이 보살(菩薩)ㅅ:
이 보살(菩薩)의. ‘ㅅ’은 높임의 관형격조사이다. ‘이 보살’은 ‘묘음보살(妙音菩薩)’을 가리킨다.
누니 주002)
누니:
눈이. 눈[目]+이(주격조사).
큰 靑蓮華 주003)
큰 청련화(靑蓮華):
큰 청련화(靑蓮華)의. 큰 푸른 연꽃의.
닙 샤 주004)
닙 샤:
잎과 같으셔서. 닢[葉]#-[如]+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百千萬  주005)
백천만(百千萬) :
백천만 개의 달을. ‘’은 ‘달[月]+(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백천만’은 많다는 뜻이다.
뫼혼 시고 주006)
뫼혼 시고:
모은 듯하시고. 뫼호-[合]+ㄴ(관형사형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는 ‘(의존명사)+-(접미사)’에 의한 보조형용사이다.
치 端正샤미 주007)
치 단정(端正)샤미:
낯이 단정(端正)하심이. 낯이 단정(端正)하신 것이. [面貌]+이(주격조사)#단정(端正)-+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이 두고 더으시며 주008)
이두고 더으시며:
이보다 더하시며. 이[此]+두고(비교 부사격조사)#더으-[過]+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모미 眞金色 이시고 주009)
모미 진금색(眞金色)이시고:
몸이 진금색(眞金色)이시고. 몸[身]+이(주격조사)#진금색(眞金色)+이(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無量百千 주010)
무량(無量) 백천(百千):
무량(無量)한 백천(百千). ‘무량(無量)’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거나 끝이 없는 수(數)를 이른다. 곧 무한량(無限量)의 수이다. 따라서 ‘무량 백천’은 수(數)가 아주 많음을 뜻한다.
功德으로 莊嚴시고 주011)
장엄(莊嚴)시고:
장엄(莊嚴)하시고. ‘장엄’은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裝飾)하는 일이다.
威嚴과 德괘 주012)
위엄(威嚴)과 덕(德)괘:
위엄(威嚴)과 덕(德)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盛야 주013)
성(盛)야:
성(盛)하여.
光明이 주014)
광명(光明)이:
광명(光明)이. ‘이’는 주격조사.


석보상절 20:42ㄱ

에
주015)
에:
눈부시게. -[耀]+게/에(보조적 연결어미). ‘-’는 사전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이른바 미수록 어휘이다. 이 부분에 대한 『월인석보』의 내용은 ‘光明이 와에 비취시며〈월석 18:77ㄴ〉’이고, 『법화경언해』의 정음 구결문은 ‘光明이 照曜시며(光明이 비취시며)〈법화 7:18ㄴ〉’이다. 이 형태는 이 책 외에도 『월인석보』 에 몇몇 용례가 더 있고, 『법화경언해』에도 쓰였다. 이로 미루어 ‘와-’는 『월인석보』 간행 무렵 ‘ㅸ〉오/우’의 변화가 반영된 표기임을 알 수 있다. ‘와-(브와-)’의 직전 형태인 ‘-’는 이 책에 처음 나오고, ‘ㅸ〉오/우’의 변화에 의해 이후에는 ‘와-(브와-)’로 표기된 것이다. 『번역박통사』(1510년대 간행)에는 ‘브와-〈70ㄴ〉’의 형태로 쓰였다.
비취시며 믈읫 주016)
믈읫:
모든. 믈읫[諸](관형사). ‘믈읫’은 흔히 ‘무릇[凡/大抵]’의 뜻을 가진 부사이나,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였다.
相이 주017)
상(相)이:
상(相)이. ‘상(相)’은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곧 꼴, 형상 등을 이른다.
다 샤 주018)
다 샤:
다 갖추셔서. 다 구비되시어. 다[咸]#[具]+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那羅延 주019)
나라연(那羅延):
범어로는 ‘nārāyaṇa’라고 한다. ‘견고(堅固)하다’는 뜻이다. 또는 힘이 아주 뛰어나 코끼리의 백만 배나 된다는 천상(天上)의 역사(力士)를 이르기도 한다.
구든 몸 주020)
구든 몸:
굳은 몸과. 단단한 몸과. 굳-[堅固]+은(관형사형어미)#몸[身].
더시다 주021)
더시다:
같으시었다. -[如]+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那羅延은 하 力士 주022)
역사(力士):
체력이 뛰어나고 힘이 센 사람.
ㅣ니  端正고 주023)
 단정(端正)고:
가장 단정(端正)하고. [最](부사)#단정(端正)-+고(대등적 연결어미).
과 힘괘 게여 주024)
게여:
너그럽게. 큼직하게. 게-[雄]+이(부사파생접미사)→게여(부사). 형용사 ‘게-[雄]’에서 접미사에 의해 파생된 부사이다. 부사의 형태는 이 책에 처음 보인다.
勇猛니라 주025)
용맹(勇猛)니라:
용맹(勇猛)하니라. 용맹(勇猛)한 것이다. ‘-니라’는 ‘--+니라(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77ㄴ

이 菩薩이 누니 넙고 큰 靑蓮華葉이 샤 百千萬 月을 어울워도 그  端正이  예셔 더으시며 모미 眞金色이시고 無量 百千 功德으로 莊嚴샤 威德이 盛샤 光明이 와

월인석보 18:78ㄱ

에 비취시며 諸相이 샤 那羅延의 구든 몸 더시니那羅延은 하 力士 일후미니 端正호미 로 妙코 과 힘괘 게엽고 니라】

법화경 7:18ㄴ

是菩薩이 目如廣大青蓮華葉시며 正使和合百千萬月야도 其面貌端正이 復過於此시며 身이 眞金色이시고 無量百千功德으로 莊嚴샤 威德이 熾盛시며 光明이 照曜시며 諸相이 具足샤 如那羅延의 堅固之身더시니

〔법화경언해〕○이 菩薩이 누니 廣大 靑蓮華葉 시며 正히 百千萬 月 어울워도 그  端正이  예셔 디나시며 모미 眞金色이시고 無量

법화경 7:19ㄱ

百千 功德으로 莊嚴샤 威德이 盛시며 光明이 비취시며 諸相이 샤 那羅延의 구든 몸 더시니

〔계환해〕此 言其四萬二千由旬之相好也ㅣ라 和合은 猶聚集也ㅣ라 肇法師ㅣ 云호 那羅延은 天力士名이니 端正殊妙고 志力이 雄猛이라니라

〔계환해언해〕○이 四萬二千 由旬ㅅ 相好 오니라 和合은 모도다 호미 니라 肇法師ㅣ 닐오 那羅延은 하 力士ㅅ 일후미니 端正이 로 微妙코 과 힘괘 게엽고 다 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6]
이 보살의 눈이 큰 청련화(靑蓮花)의 잎과 같아서 백천만 개의 달을 모은 듯하시고, 낯이 단정(端正)하신 것이 이보다 더하셨다. 몸이 진금색(眞金色)이시고, 무량(無量)한 백천 가지 공덕으로 장엄하시고, 위엄과 덕이 성(盛)하여 광명이 눈부시게 비치시며, 모든 상(相)이 다 갖추어지셔서 나라연(那羅延)의 단단한 몸과 같으셨다.나라연은 하늘의 역사(力士)이니, 가장 단정(端正)하고, 뜻과 힘이 큼직하고 용맹한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 보살(菩薩)ㅅ:이 보살(菩薩)의. ‘ㅅ’은 높임의 관형격조사이다. ‘이 보살’은 ‘묘음보살(妙音菩薩)’을 가리킨다.
주002)
누니:눈이. 눈[目]+이(주격조사).
주003)
큰 청련화(靑蓮華):큰 청련화(靑蓮華)의. 큰 푸른 연꽃의.
주004)
닙 샤:잎과 같으셔서. 닢[葉]#-[如]+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5)
백천만(百千萬) :백천만 개의 달을. ‘’은 ‘달[月]+(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백천만’은 많다는 뜻이다.
주006)
뫼혼 시고:모은 듯하시고. 뫼호-[合]+ㄴ(관형사형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는 ‘(의존명사)+-(접미사)’에 의한 보조형용사이다.
주007)
치 단정(端正)샤미:낯이 단정(端正)하심이. 낯이 단정(端正)하신 것이. [面貌]+이(주격조사)#단정(端正)-+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8)
이두고 더으시며:이보다 더하시며. 이[此]+두고(비교 부사격조사)#더으-[過]+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9)
모미 진금색(眞金色)이시고:몸이 진금색(眞金色)이시고. 몸[身]+이(주격조사)#진금색(眞金色)+이(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10)
무량(無量) 백천(百千):무량(無量)한 백천(百千). ‘무량(無量)’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거나 끝이 없는 수(數)를 이른다. 곧 무한량(無限量)의 수이다. 따라서 ‘무량 백천’은 수(數)가 아주 많음을 뜻한다.
주011)
장엄(莊嚴)시고:장엄(莊嚴)하시고. ‘장엄’은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裝飾)하는 일이다.
주012)
위엄(威嚴)과 덕(德)괘:위엄(威嚴)과 덕(德)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13)
성(盛)야:성(盛)하여.
주014)
광명(光明)이:광명(光明)이. ‘이’는 주격조사.
주015)
에:눈부시게. -[耀]+게/에(보조적 연결어미). ‘-’는 사전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이른바 미수록 어휘이다. 이 부분에 대한 『월인석보』의 내용은 ‘光明이 와에 비취시며〈월석 18:77ㄴ〉’이고, 『법화경언해』의 정음 구결문은 ‘光明이 照曜시며(光明이 비취시며)〈법화 7:18ㄴ〉’이다. 이 형태는 이 책 외에도 『월인석보』 에 몇몇 용례가 더 있고, 『법화경언해』에도 쓰였다. 이로 미루어 ‘와-’는 『월인석보』 간행 무렵 ‘ㅸ〉오/우’의 변화가 반영된 표기임을 알 수 있다. ‘와-(브와-)’의 직전 형태인 ‘-’는 이 책에 처음 나오고, ‘ㅸ〉오/우’의 변화에 의해 이후에는 ‘와-(브와-)’로 표기된 것이다. 『번역박통사』(1510년대 간행)에는 ‘브와-〈70ㄴ〉’의 형태로 쓰였다.
주016)
믈읫:모든. 믈읫[諸](관형사). ‘믈읫’은 흔히 ‘무릇[凡/大抵]’의 뜻을 가진 부사이나,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였다.
주017)
상(相)이:상(相)이. ‘상(相)’은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곧 꼴, 형상 등을 이른다.
주018)
다 샤:다 갖추셔서. 다 구비되시어. 다[咸]#[具]+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9)
나라연(那羅延):범어로는 ‘nārāyaṇa’라고 한다. ‘견고(堅固)하다’는 뜻이다. 또는 힘이 아주 뛰어나 코끼리의 백만 배나 된다는 천상(天上)의 역사(力士)를 이르기도 한다.
주020)
구든 몸:굳은 몸과. 단단한 몸과. 굳-[堅固]+은(관형사형어미)#몸[身].
주021)
더시다:같으시었다. -[如]+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22)
역사(力士):체력이 뛰어나고 힘이 센 사람.
주023)
 단정(端正)고:가장 단정(端正)하고. [最](부사)#단정(端正)-+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4)
게여:너그럽게. 큼직하게. 게-[雄]+이(부사파생접미사)→게여(부사). 형용사 ‘게-[雄]’에서 접미사에 의해 파생된 부사이다. 부사의 형태는 이 책에 처음 보인다.
주025)
용맹(勇猛)니라:용맹(勇猛)하니라. 용맹(勇猛)한 것이다. ‘-니라’는 ‘--+니라(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