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2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2]
주001)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02)
말:
말을. 말씀을. 말[語].
니르 주003)
니르:
이르실. 말씀하실. 니르-[說]+시(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
時節에 주004)
시절(時節)에:
시절(時節)에. 때에.
十方앳 주005)
시방(十方)앳:
시방(十方)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결합형. ‘시방’은 동, 서, 남, 북의 사방과 건, 곤, 간, 손의 사우(四隅), 그리고 상하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無量 주006)
무량(無量):
헤아릴 수 없이 많거나 끝이 없는 수(數)를 이르는 말이다. 곧 무한량(無限量)의 수이다.
分身 주007)
분신(分身):
부처님이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습으로 세상에 나타나는 일이나 모습을 이르는 말이다.
諸佛 주008)
제불(諸佛):
온 세상의 모든 부처[佛], 또는 최고의 진리를 터득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寶樹 주009)
보수(寶樹):
보배나무. 진보(珍寶)의 수림(樹林), 곧 정토(浄土)의 초목(草木)을 이른다.
아래 주010)
아래:
아래. 밑에. 아래[下].
師子座 주011)
사자좌(師子座):
부처님이나 덕이 높은 승려(僧侶)가 설법(說法)할 때 앉는 높고 큰 상을 이른다. ‘사자좌(獅子座)’라고도 하는데, 부처님을 동물의 왕인 사자(獅子)에 비유하여 가장 존귀한 분인 부처님이 앉는 자리라는 뜻으로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우희 주012)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안자 주013)
안자:
앉아. 앉-[坐]+아(연결어미).
겨시니와 주014)
겨시니와:
계신 분과. 계신 이와. 겨-[有]+시(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와(접속조사).
多寶佛 주015)
다보불(多寶佛):
동방(東方) 보정(寶淨) 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
上行 주016)
상행(上行):
상행보살(上行菩薩)을 이른다. 상행보살은 말법(末法)의 세상에 나서 『법화경』을 널리 베풀라는 석가모니의 부탁을 받은 네 명의 보살, 곧 상행보살(上行菩薩), 무변행보살(無邊行菩薩), 정행보살(淨行菩薩), 안립행보살(安立行菩薩) 중 상수(上首) 보살을 이른다. 이들은 오랜 옛날에 석가세존의 교화(敎化)를 받은 부처, 곧 본화보살(本化菩薩)들이다.
無邊 주017)
무변(無邊):
광대하여 끝이 없거나 한(限)이 없음을 이르는 말.
阿僧祇 주018)
아승기(阿僧祇):
셀 수 없이 많은 수(數). 무량(無量)한 수(數), 곧 항하사(恒河沙)의 억 곱절, 나유타(那由他)의 억(億)분의 일이다.
菩薩 주019)
보살(菩薩):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줄임말.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大衆 주020)
대중(大衆):
범어로 ‘mahāsaṃgha(摩訶僧伽)’라고 한다. 모든 승려, 또는 많은 승려를 이른다.
舍利弗 주021)
사리불(舍利弗):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한다. 사리자(舍利子), 또는 추자(鶖子).
聲聞 주022)
성문(聲聞):
부처의 음성(音聲)을 들었다는 뜻으로 불제자(佛弟子)를 가리킨다. 원뜻은 부처의 음성(音聲)을 직접 들은 제자를 이르던 말이다.
四衆 주023)
사중(四衆):
부처님의 네 종류 제자인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 등 이른바 사부중(四部衆)을 이르는 말.

석보상절 20:5ㄱ

切 世間 天人 주024)
천인(天人):
범어로는 ‘apsara’이다. 천상(天上)의 유정(有情)들을 이르는 말. 허공을 날아다니면서 음악을 하고, 하늘 꽃을 흩기도 하며 항상 즐거운 경계(境界)에 있지만, 그 복이 다하면 5쇠(衰)의 괴로움이 생긴다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비천(飛天), 또는 낙천(樂天)이 이라고도 한다. 그런가 하면 천상(天上)의 유정(有情)들과 인간(人間)의 유정들을 아울러 이르기도 한다.
阿修羅 주025)
아수라(阿脩羅):
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鬼神)의 이름. 인도(印度)에서 가장 오래된 귀신의 하나이다.
히 주026)
아수라(阿脩羅)히:
아수라(阿脩羅)들이. ‘-히’는 ‘-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부텻 주027)
부텻:
부처의. 부텨[佛]+ㅅ(관형격조사).
주028)
말:
말씀을. 말[說].
듣고 다  주029)
:
가장. 크게. [大](부사).
깃거더라 주030)
깃거더라:
기뻐하더라. 기뻐하였다. 깃거-[歡喜]+더(회상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잇 자 주031)
잇자:
이까지는. 여기까지는. 이(지시대명사)+ㅅ(관형격조사)#(명사)+(주제 보조사).
囑累品 주032)
촉루품(囑累品):
『법화경』 권6에 나오는 스물두 번째 품(品)을 말한다.
이니 말로 주033)
말로:
말씀으로. 말로. 말[言]+로(도구 부사격조사).
브틸 씨 주034)
브틸 씨:
붙이는 것이. 븥-[付]+이(사동접미사)+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주격조사).
囑이오 法으로 주035)
법(法)으로:
법(法)으로. ‘법(法)’은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인 불법(佛法)을 이른다.
니 씨 주036)
니 씨:
잇는 것이. -[連]+(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주격조사).
累라 주037)
루(累)라:
누(累)이다. ‘루(累)’의 동국정운음이 ‘:’여서 서술격이 ∅로 실현되었다. ‘-라’는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20ㄱ

이 말 니 제 十方 無量 分身 諸佛이 寶樹 下 師子座 上애 안자 겨시니와 多寶佛와 上行 等 無邊 阿僧祇 菩薩 大衆과 舍利弗 等 聲聞 四衆과 一切 世間 天 人 阿脩羅 等이 부텨 니샤 듣고 다  歡喜니라【나 化身 보내샤 수므며 顯호매  道 깃고 둘흔 塔留샤 다시 듣 法을 깃니라 잇 囑累品 고 아래 藥王菩薩

월인석보 18:20ㄴ

本事品
이라】

〔6:126ㄴ〕 六衆得法喜
〔법화경〕說是語時예 十方無量分身諸佛坐寶樹下師子座上者와 及多寶佛와 并上行等無邊阿僧祇菩薩大衆과 舍利弗等聲聞四衆과 〔6:127ㄱ〕及一切世間天人阿修羅等이 聞佛所說고 皆大歡喜오니라

〔법화경언해〕○ 이 말 니실 쩨 十方無量分身諸佛 寶樹下師子座上애 안시니와  多寶佛와  上行 等 無邊阿僧祇菩薩大衆과 舍利弗 等 聲聞 四衆과  一切 世間 天人 阿脩羅 等이 부텻 니샴 듣고 다  歡喜오니라

〔계환해〕一은 喜遣化애 達隱顯之道고 二 喜留〔6:127ㄴ〕塔애 得復聞之法니라

〔계환해언해〕○ 나 化身 보내샤매 수므며 顯시논 道 초 깃고 둘흔 塔 留샤매 다시 듣 法 得호 깃그니라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2]
이 말씀을 이르실 때에 시방의 무량(無量)한 분신(分身) 제불(諸佛)이, 곧 보수(寶樹) 아래 사자좌(師子座) 위에 앉아 계신 분과 다보불(多寶佛)과 상행(上行) 등 무변(無邊)의 아승기(阿僧祇) 보살 대중과 사리불(舍利弗) 등 성문(聲聞) 사중(四衆)과 일체 세간의 천인(天人) 아수라(阿修羅)들이 부처의 말씀을 듣고 다 크게 기뻐하였다.【여기까지는 촉루품(囑累品)이니, 말로 붙이는 것이 촉(囑)이고, 법으로 잇는 것이 루(累)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02)
말:말을. 말씀을. 말[語].
주003)
니르:이르실. 말씀하실. 니르-[說]+시(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
주004)
시절(時節)에:시절(時節)에. 때에.
주005)
시방(十方)앳:시방(十方)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결합형. ‘시방’은 동, 서, 남, 북의 사방과 건, 곤, 간, 손의 사우(四隅), 그리고 상하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주006)
무량(無量):헤아릴 수 없이 많거나 끝이 없는 수(數)를 이르는 말이다. 곧 무한량(無限量)의 수이다.
주007)
분신(分身):부처님이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습으로 세상에 나타나는 일이나 모습을 이르는 말이다.
주008)
제불(諸佛):온 세상의 모든 부처[佛], 또는 최고의 진리를 터득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09)
보수(寶樹):보배나무. 진보(珍寶)의 수림(樹林), 곧 정토(浄土)의 초목(草木)을 이른다.
주010)
아래:아래. 밑에. 아래[下].
주011)
사자좌(師子座):부처님이나 덕이 높은 승려(僧侶)가 설법(說法)할 때 앉는 높고 큰 상을 이른다. ‘사자좌(獅子座)’라고도 하는데, 부처님을 동물의 왕인 사자(獅子)에 비유하여 가장 존귀한 분인 부처님이 앉는 자리라는 뜻으로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주012)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13)
안자:앉아. 앉-[坐]+아(연결어미).
주014)
겨시니와:계신 분과. 계신 이와. 겨-[有]+시(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와(접속조사).
주015)
다보불(多寶佛):동방(東方) 보정(寶淨) 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
주016)
상행(上行):상행보살(上行菩薩)을 이른다. 상행보살은 말법(末法)의 세상에 나서 『법화경』을 널리 베풀라는 석가모니의 부탁을 받은 네 명의 보살, 곧 상행보살(上行菩薩), 무변행보살(無邊行菩薩), 정행보살(淨行菩薩), 안립행보살(安立行菩薩) 중 상수(上首) 보살을 이른다. 이들은 오랜 옛날에 석가세존의 교화(敎化)를 받은 부처, 곧 본화보살(本化菩薩)들이다.
주017)
무변(無邊):광대하여 끝이 없거나 한(限)이 없음을 이르는 말.
주018)
아승기(阿僧祇):셀 수 없이 많은 수(數). 무량(無量)한 수(數), 곧 항하사(恒河沙)의 억 곱절, 나유타(那由他)의 억(億)분의 일이다.
주019)
보살(菩薩):‘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줄임말.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20)
대중(大衆):범어로 ‘mahāsaṃgha(摩訶僧伽)’라고 한다. 모든 승려, 또는 많은 승려를 이른다.
주021)
사리불(舍利弗):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한다. 사리자(舍利子), 또는 추자(鶖子).
주022)
성문(聲聞):부처의 음성(音聲)을 들었다는 뜻으로 불제자(佛弟子)를 가리킨다. 원뜻은 부처의 음성(音聲)을 직접 들은 제자를 이르던 말이다.
주023)
사중(四衆):부처님의 네 종류 제자인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 등 이른바 사부중(四部衆)을 이르는 말.
주024)
천인(天人):범어로는 ‘apsara’이다. 천상(天上)의 유정(有情)들을 이르는 말. 허공을 날아다니면서 음악을 하고, 하늘 꽃을 흩기도 하며 항상 즐거운 경계(境界)에 있지만, 그 복이 다하면 5쇠(衰)의 괴로움이 생긴다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비천(飛天), 또는 낙천(樂天)이 이라고도 한다. 그런가 하면 천상(天上)의 유정(有情)들과 인간(人間)의 유정들을 아울러 이르기도 한다.
주025)
아수라(阿脩羅):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鬼神)의 이름. 인도(印度)에서 가장 오래된 귀신의 하나이다.
주026)
아수라(阿脩羅)히:아수라(阿脩羅)들이. ‘-히’는 ‘-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27)
부텻:부처의. 부텨[佛]+ㅅ(관형격조사).
주028)
말:말씀을. 말[說].
주029)
:가장. 크게. [大](부사).
주030)
깃거더라:기뻐하더라. 기뻐하였다. 깃거-[歡喜]+더(회상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1)
잇자:이까지는. 여기까지는. 이(지시대명사)+ㅅ(관형격조사)#(명사)+(주제 보조사).
주032)
촉루품(囑累品):『법화경』 권6에 나오는 스물두 번째 품(品)을 말한다.
주033)
말로:말씀으로. 말로. 말[言]+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34)
브틸 씨:붙이는 것이. 븥-[付]+이(사동접미사)+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주격조사).
주035)
법(法)으로:법(法)으로. ‘법(法)’은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인 불법(佛法)을 이른다.
주036)
니 씨:잇는 것이. -[連]+(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주격조사).
주037)
루(累)라:누(累)이다. ‘루(累)’의 동국정운음이 ‘:’여서 서술격이 ∅로 실현되었다. ‘-라’는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