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8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8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8]
娑婆世界옛 주001)
사바세계(娑婆世界)옛:
사바세계(娑婆世界)의. ‘옛’은 처소부사격과 관형격이 통합된 통합형 조사이다. ‘사바세계(裟婆世界)’의 ‘사바(裟婆)’는 범어(梵語) ‘sabhā’의 음사(音寫)이다. ‘인토(忍土), 감인토(堪忍土), 인계(忍界)’라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온갖 괴로움이 많지만, 이 국토에서 벗어나려는 생각이 없으므로, 자연히 참고 견디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부른다. 그런 이유로 사바세계를 달리 감인세계(堪忍世界)라고도 한다. 곧 탁세(濁世)를 이른다.
부텻 모 주002)
부텻 모:
부처의 몸은. 부텨[佛]+ㅅ(높임 관형격조사)#몸[身]+(보조사). 따라서 ‘부텻 몸’은 곧 불신(佛身)을 뜻한다. 범어로는 ‘buddha-kāya’이다. 여기서는 ‘부처[佛]’ 자체를 가리킨다.
勝을 숨기시고 주003)
승(勝)을 숨기시고:
승(勝)을 숨기시고. ‘승(勝)’은 뛰어난 것을 이른다. ‘숨기시고’는 ‘숨-[隱]+기(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劣을 뵈시니 주004)
열(劣)을 뵈시니:
열(劣)을 보이시니. ‘열(劣)’은 모자라거나 못난 것을 이른다. ‘뵈시니’는 ‘보-[見]+ㅣ(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光嚴勝身에 가비건댄 주005)
가비건댄:
비유하건대. 비유할진대. 비유하면. 가비-[譬喩]+(겸양법 선어말어미)+거(확인법 선어말어미)+ㄴ댄(연결어미).
디 주006)
디:
같지. -[同]+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커신마 주007)
아니커신마:
아니하시건마는. 아니-[不]+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마(연결어미).
如來正見 주008)
정견(正見):
범어로는 ‘samyagdṛṣṭi’라고 한다. 유·무의 편견을 벗어나 바른 도리를 시인하는 견해를 이른다.
은 本來 달옴과 홈괘 주009)
달옴과 홈괘:
다름과 같음이. 다-[異]+옴(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同]+옴(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더했다.
업스실 주010)
업스실:
없으시므로. 없-[絶]+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宿王智佛 주011)
수왕지불(宿王智佛):
정화수왕지불(淨華宿王智佛)을 이르는 말이다. ‘정화수왕지불(淨華宿王智佛은 범어로는 ‘kamaladalavimalanakṣatrarājasaṃkusumitābhijṅa’라고 한다. 연꽃잎처럼 더러움이 없는 성수(星宿)의 왕에 의해서 신통을 나타낸 부처라는 뜻이다.
뎌와 이왜 주012)
뎌와 이왜:
저것과 이것의. 뎌[彼]+와(접속조사)#이[此]+와(접속조사)+ㅣ(관형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더했다.
迹 달오 주013)
적(迹) 달오:
자취[迹]가 다름을. 자취[迹]가 다른 것을. ‘달오’은 ‘다-[異]+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닐어시 주014)
닐어시:
이르시거늘. 니-[告]+어(연결어미 ‘어’의 앞부분)+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연결어미 ‘어’의 뒷부분).
妙音菩薩 주015)
묘음보살(妙音菩薩):
지난 세상에서 10만 종의 풍류를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에게 공양하고, 동방의 일체정광장엄국(一切淨光莊嚴國)에 태어났다고 한다. 지혜가 많아서 한이 없는 삼매를 얻고, 34신(身)을 나타내어 여러 곳에서 중생을 위해 설법했다. 8만 4천 보살에게 둘러싸여 사바세계에 와서 영산회상에서 석존께 공양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如來세 德으로 주016)
세 덕(德)으로:
세 (가지) 덕(德)으로. ‘세 덕(德)’은 ‘삼덕(三德)’을 이르는 말이다. ‘삼덕(三德)’은 불과(佛果)의 공덕을 셋으로 나눈 것이다. 곧 지덕(智德), 단덕(斷德), 은덕(恩德)을 이른다. ‘지덕’은 부처님이 평등한 지혜로 일체의 것을 다 아는 덕이다. ‘단덕’은 부처님이 온갖 번뇌를 다 끊어 남김이 없는 덕이다. ‘은덕’은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려는 서원으로 말미암아 중생을 구하여 해탈하게 하는 덕이다.
對答샤 사오나 주017)
사오나:
못나게. 나쁘게. 하찮게. 사오-[劣]+이(부사파생접미사).
너기 주018)
너기:
여기는. 생각하는. 너기-[念]+(겸양법 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 업순 주를 주019)
 업순 주를:
뜻이 없는 것을. [意]#없-[無]+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의존명사)+을(목적격조사).
나토시니라 주020)
나토시니라:
나타내신 것이다. 나토-[顯]+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세 德을 주021)
다:
다. 모두. ‘다-[普]+아(연결어미)’의 ‘다아’가 축약된 형태이다.
如來일샤 주022)
일샤:
일컬으심은. 일컬으신 것은. 일-[稱]+(겸양법 선어말어미)+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이제 주023)
내:
내가. 나[我]+ㅣ(관형격조사). 관형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었다.
가논 주024)
가논:
가는. 가-[往]+(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힘과 주025)
힘과:
힘과. 힘[力用]+과(접속조사). 여기서의 힘은 ‘역용(力用)’을 이르는 것으로 능력(能力), 작용(作用), 동작(動作) 등의 뜻이다.
神變 주026)
신변(神變):
신비(神秘)한 변화. 곧 불·보살이 중생을 교화(敎化)하고자 불가사의(不可思議)한 신력(神力)으로 가지가지의 모습과 동작을 나타내는 것[變現]이다.
莊嚴 주027)
장엄(莊嚴):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裝飾)하는 것.
이 다 如來德을 주028)
덕(德)을:
공덕(功德)을. ‘을’은 목적격조사. ‘공덕(功德)’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한 덕(德)을 이른다.
비라 주029)
비라:
빌리라고. 빌-[假]+(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라(연결어미).
시니 주030)
시니:
하시니. 여기서는 ‘이르시니’의 뜻이다. -[謂]+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如實 주031)
여실(如實):
여실(如實)한. ‘여실’은 진실한 이치에 부합하는 것을 이른다. 곧 진여(眞如)를 말한다.
道애셔 주032)
도(道)애셔:
도(道)에서. ‘애셔’는 출발점 부사격조사. ‘도(道)’는 불타 정각의 지혜인 불과(佛果), 또는 그 지혜를 얻기 위해 닦는 근본 원리를 이른다.
나면 주033)
나면:
나면. 나오면. 나-[出]+면(종속적 연결어미).
一切法 주034)
일체법(一切法):
일체 만유를 모두 이르는 말. 일체 제법(諸法), 또는 일체 만유(萬有)라고도 한다.
이 다 如리어니 주035)
여(如)리어니:
같으려니. 같을 것이거니. 여(如)-+리(추측법 선어말어미)+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어-’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어듸 주036)
:
또. 또한. [復](부사).
勝과 劣왜 주037)
승(勝)과 열(劣)왜:
승(勝)과 열(劣)이. 나음과 못함이. ‘과/와’는 접속조사.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달온 주리 주038)
달온 주리:
다른 것이. 다-[異]+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의존명사)+이(주격조사).
이시리오 주039)
이시리오:
있으리오. 있을 것이냐. 이시-[有]+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이럴 주040)
이럴:
이러므로. 이러하므로. 이럴[是故].
種種 주041)
종종(種種):
종종(種種)의. 가지가지의.

석보상절 20:38ㄴ

 주042)
:
모습을. 양자(樣子)를. ‘’는 한자 ‘樣子/樣姿’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 문헌부터 정음으로 적혔다. 당시에 이미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표기이다.
나토시며 주043)
나토시며:
나타내시며. 낱-[現]+오(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種種 法 니샤 주044)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說]+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 연결어미).
神通智慧예 주045)
지혜(智慧)예:
지혜(知慧)에. ‘예’는 음절 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더르샨 줄 주046)
더르샨 줄:
덜어내신 것. 더신 것. 덜-[損]+으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所](의존명사).
업수미 주047)
업수미:
없음과. 없-[無]+옴/움(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如혼 젼라 주048)
여(如)혼 젼라:
같은 까닭이다. 여(如)-+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젼[故]+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劣은 사오나 씨라 주049)
사오나 씨라:
못난 것이다. 하찮은 것이다. 사오-[劣]+(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迹은 자최니 주050)
자최니:
자취이니. 자최[迹]+∅(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데어쳇 주051)
데어쳇:
밖의 (것). 바깥 (것). ‘데어쳇’은 ‘데엋[外面]+에(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엣’은 처소격과 관형격의 통합형조사이다. ‘데엋’은 다른 중세국어 문헌에 용례가 드물다. 『법화경언해』에 한 용례가 있을 뿐이다. “한 마 너비 더드머 幾 窮究며【幾 져글 씨니 멀터운 데어치 아니라】 조외닐 자바(博探衆說야 硏幾摭要야” 『법화경언해』(서 : 21ㄴ). 이에 대해 『우리말큰사전』(어문각)에서는 ‘데면데면한 거죽’이라 풀었다. 같은 내용이 실려 있는 『월인석보』(18 : 31ㄱ)에는 ‘데어쳇’이 ‘’이라 되어 있다. 또 『법화경언해』(6 : 142ㄱ) 계환해(戒環解)에 대한 정음 구결문에는 ‘外(외)’이고, 언해문에는 ‘’이라 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데엋’은 ‘거죽’, 또는 ‘밖’이나 ‘외부’의 의미를 가진 말로 본다.
보논 이 주052)
보논 이:
보는 것을. 보는 일을. 보-[見]+(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일(의존명사)+(목적격조사).
迹이라 주053)
적(迹)이라:
적(迹)이라고. 적(迹)+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니라 주054)
니라:
하는 것이다. 하느니라.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72ㄱ

【娑婆佛身은 勝을 숨기시고 劣을 나토시니 光嚴勝身에 가비건댄 分別心에 이션 劣想 내리어니와 如來ㅅ 正見은 本來 다며 호미 그츨 宿王이 뎌와 이와 자최

월인석보 18:72ㄴ

달오 닐어시 妙音如來ㅅ 三德으로 對答샤 劣想 업수믈 뵈시니라 三德에 다 如來 일 이제 내 가미 그 力用과 그 神變과 그 莊嚴이 다 如來ㅅ 德을 비며 다 如實道애 나니 그러면 一切法에 如티 아니  업스니 엇뎨 勝劣의 달오미 이시리오 이럴 種種 形을 나토아 種種 法을 니샤 神通 智慧예 더루미 업스샤 如신 다시라】

〔계환해〕

법화경 7:12ㄱ

娑婆佛身은 乃隱勝現劣이실 比光嚴勝身건댄 在分別心얀 遂生劣想려니와 如來

법화경 7:12ㄴ

ㅅ 正見으론 本絕異同실 故로 宿王이 以彼此異迹으로 爲告야시 而妙音이 以如來ㅅ 三德으로 而答샤 示無劣想也시니라 三德을 皆稱如來者 謂今我所往이 其力用과 其神變과 其莊嚴이 皆假如來之德오며 皆出如實之道야 則於一切法에 無不如矣어니 何復勝劣之異哉리고시니 是以로 現種種形샤 說種種法샤 而於神通智慧에 無所損減시니 爲如故也ㅣ시니라

〔계환해언해〕○娑婆 佛

법화경 7:13ㄱ

身은 勝을 숨기시고 劣을 나토실 光嚴勝身에 가비건댄 分別心에 이션 劣想이 나려니와 如來ㅅ 正見으론 本來 다며 호미 그츠실 宿王이 뎌와 이와 다 자최로 닐어시 妙音如來ㅅ 三德으로 對答샤 劣想 업수믈 뵈오시니라 三德을 다 如來 일오샤 니샤 오 내 가미 그 力用과 그 神變과 그 莊嚴이 다 如來ㅅ 德을 비오며 다 實  道애 나 一切法에 如티 아니니 업거니 엇뎨  勝劣이 다리고 시니 이런로 種種形을 現샤 種種法 니샤 神通 智慧예 더루미 업스시니 如샨 젼시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8]
【사바세계 부처의 몸은 승(勝)을 숨기시고, 열(劣)을 보이시니, 광엄승신(光嚴勝身)에 비유하건대 같지 아니하신 것이다. 여래의 정견(正見)은 본래 다름과 같음이 없으시므로 수왕지불(宿王智佛)이 저것과 이것의 ‘자취〔迹〕’가 다름을 이르시거늘, 묘음보살여래의 세 가지 덕(德)으로 대답하시어 하찮게 여기는 뜻이 없는 것을 나타내시니라. 세 가지 덕에서 다 여래를 일컬으신 것은 이제 내가 가는 힘과 신변(神變)과 장엄(莊嚴)이 다 여래의 덕을 빌린 것이라고 하시니, 다 진여(眞如)의 도(道)에서 나면 일체법(一切法)이 다 같을 것이거니, 어찌 또 승(勝)과 열(劣)이 다른 것이 있겠느냐? 이러므로 가지가지 모습을 나타내시며, 가지가지 법(法)을 이르시되, 신통(神通) 지혜(智慧)에 덜어내신 것 없음과 같은 까닭이다. 열(劣)은 못난 것이다. 적(迹)은 자취이니, 밖의 것 보는 일을 적(迹)이라고 하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바세계(娑婆世界)옛:사바세계(娑婆世界)의. ‘옛’은 처소부사격과 관형격이 통합된 통합형 조사이다. ‘사바세계(裟婆世界)’의 ‘사바(裟婆)’는 범어(梵語) ‘sabhā’의 음사(音寫)이다. ‘인토(忍土), 감인토(堪忍土), 인계(忍界)’라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온갖 괴로움이 많지만, 이 국토에서 벗어나려는 생각이 없으므로, 자연히 참고 견디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부른다. 그런 이유로 사바세계를 달리 감인세계(堪忍世界)라고도 한다. 곧 탁세(濁世)를 이른다.
주002)
부텻 모:부처의 몸은. 부텨[佛]+ㅅ(높임 관형격조사)#몸[身]+(보조사). 따라서 ‘부텻 몸’은 곧 불신(佛身)을 뜻한다. 범어로는 ‘buddha-kāya’이다. 여기서는 ‘부처[佛]’ 자체를 가리킨다.
주003)
승(勝)을 숨기시고:승(勝)을 숨기시고. ‘승(勝)’은 뛰어난 것을 이른다. ‘숨기시고’는 ‘숨-[隱]+기(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04)
열(劣)을 뵈시니:열(劣)을 보이시니. ‘열(劣)’은 모자라거나 못난 것을 이른다. ‘뵈시니’는 ‘보-[見]+ㅣ(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05)
가비건댄:비유하건대. 비유할진대. 비유하면. 가비-[譬喩]+(겸양법 선어말어미)+거(확인법 선어말어미)+ㄴ댄(연결어미).
주006)
디:같지. -[同]+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7)
아니커신마:아니하시건마는. 아니-[不]+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마(연결어미).
주008)
정견(正見):범어로는 ‘samyagdṛṣṭi’라고 한다. 유·무의 편견을 벗어나 바른 도리를 시인하는 견해를 이른다.
주009)
달옴과 홈괘:다름과 같음이. 다-[異]+옴(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同]+옴(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더했다.
주010)
업스실:없으시므로. 없-[絶]+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주011)
수왕지불(宿王智佛):정화수왕지불(淨華宿王智佛)을 이르는 말이다. ‘정화수왕지불(淨華宿王智佛은 범어로는 ‘kamaladalavimalanakṣatrarājasaṃkusumitābhijṅa’라고 한다. 연꽃잎처럼 더러움이 없는 성수(星宿)의 왕에 의해서 신통을 나타낸 부처라는 뜻이다.
주012)
뎌와 이왜:저것과 이것의. 뎌[彼]+와(접속조사)#이[此]+와(접속조사)+ㅣ(관형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더했다.
주013)
적(迹) 달오:자취[迹]가 다름을. 자취[迹]가 다른 것을. ‘달오’은 ‘다-[異]+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4)
닐어시:이르시거늘. 니-[告]+어(연결어미 ‘어’의 앞부분)+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연결어미 ‘어’의 뒷부분).
주015)
묘음보살(妙音菩薩):지난 세상에서 10만 종의 풍류를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에게 공양하고, 동방의 일체정광장엄국(一切淨光莊嚴國)에 태어났다고 한다. 지혜가 많아서 한이 없는 삼매를 얻고, 34신(身)을 나타내어 여러 곳에서 중생을 위해 설법했다. 8만 4천 보살에게 둘러싸여 사바세계에 와서 영산회상에서 석존께 공양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주016)
세 덕(德)으로:세 (가지) 덕(德)으로. ‘세 덕(德)’은 ‘삼덕(三德)’을 이르는 말이다. ‘삼덕(三德)’은 불과(佛果)의 공덕을 셋으로 나눈 것이다. 곧 지덕(智德), 단덕(斷德), 은덕(恩德)을 이른다. ‘지덕’은 부처님이 평등한 지혜로 일체의 것을 다 아는 덕이다. ‘단덕’은 부처님이 온갖 번뇌를 다 끊어 남김이 없는 덕이다. ‘은덕’은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려는 서원으로 말미암아 중생을 구하여 해탈하게 하는 덕이다.
주017)
사오나:못나게. 나쁘게. 하찮게. 사오-[劣]+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8)
너기:여기는. 생각하는. 너기-[念]+(겸양법 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주019)
 업순 주를:뜻이 없는 것을. [意]#없-[無]+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의존명사)+을(목적격조사).
주020)
나토시니라:나타내신 것이다. 나토-[顯]+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1)
다:다. 모두. ‘다-[普]+아(연결어미)’의 ‘다아’가 축약된 형태이다.
주022)
일샤:일컬으심은. 일컬으신 것은. 일-[稱]+(겸양법 선어말어미)+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23)
내:내가. 나[我]+ㅣ(관형격조사). 관형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24)
가논:가는. 가-[往]+(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25)
힘과:힘과. 힘[力用]+과(접속조사). 여기서의 힘은 ‘역용(力用)’을 이르는 것으로 능력(能力), 작용(作用), 동작(動作) 등의 뜻이다.
주026)
신변(神變):신비(神秘)한 변화. 곧 불·보살이 중생을 교화(敎化)하고자 불가사의(不可思議)한 신력(神力)으로 가지가지의 모습과 동작을 나타내는 것[變現]이다.
주027)
장엄(莊嚴):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裝飾)하는 것.
주028)
덕(德)을:공덕(功德)을. ‘을’은 목적격조사. ‘공덕(功德)’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한 덕(德)을 이른다.
주029)
비라:빌리라고. 빌-[假]+(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라(연결어미).
주030)
시니:하시니. 여기서는 ‘이르시니’의 뜻이다. -[謂]+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31)
여실(如實):여실(如實)한. ‘여실’은 진실한 이치에 부합하는 것을 이른다. 곧 진여(眞如)를 말한다.
주032)
도(道)애셔:도(道)에서. ‘애셔’는 출발점 부사격조사. ‘도(道)’는 불타 정각의 지혜인 불과(佛果), 또는 그 지혜를 얻기 위해 닦는 근본 원리를 이른다.
주033)
나면:나면. 나오면. 나-[出]+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34)
일체법(一切法):일체 만유를 모두 이르는 말. 일체 제법(諸法), 또는 일체 만유(萬有)라고도 한다.
주035)
여(如)리어니:같으려니. 같을 것이거니. 여(如)-+리(추측법 선어말어미)+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어-’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36)
:또. 또한. [復](부사).
주037)
승(勝)과 열(劣)왜:승(勝)과 열(劣)이. 나음과 못함이. ‘과/와’는 접속조사.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38)
달온 주리:다른 것이. 다-[異]+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의존명사)+이(주격조사).
주039)
이시리오:있으리오. 있을 것이냐. 이시-[有]+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40)
이럴:이러므로. 이러하므로. 이럴[是故].
주041)
종종(種種):종종(種種)의. 가지가지의.
주042)
:모습을. 양자(樣子)를. ‘’는 한자 ‘樣子/樣姿’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 문헌부터 정음으로 적혔다. 당시에 이미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표기이다.
주043)
나토시며:나타내시며. 낱-[現]+오(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44)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說]+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 연결어미).
주045)
지혜(智慧)예:지혜(知慧)에. ‘예’는 음절 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주046)
더르샨 줄:덜어내신 것. 더신 것. 덜-[損]+으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所](의존명사).
주047)
업수미:없음과. 없-[無]+옴/움(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주048)
여(如)혼 젼라:같은 까닭이다. 여(如)-+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젼[故]+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9)
사오나 씨라:못난 것이다. 하찮은 것이다. 사오-[劣]+(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50)
자최니:자취이니. 자최[迹]+∅(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51)
데어쳇:밖의 (것). 바깥 (것). ‘데어쳇’은 ‘데엋[外面]+에(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엣’은 처소격과 관형격의 통합형조사이다. ‘데엋’은 다른 중세국어 문헌에 용례가 드물다. 『법화경언해』에 한 용례가 있을 뿐이다. “한 마 너비 더드머 幾 窮究며【幾 져글 씨니 멀터운 데어치 아니라】 조외닐 자바(博探衆說야 硏幾摭要야” 『법화경언해』(서 : 21ㄴ). 이에 대해 『우리말큰사전』(어문각)에서는 ‘데면데면한 거죽’이라 풀었다. 같은 내용이 실려 있는 『월인석보』(18 : 31ㄱ)에는 ‘데어쳇’이 ‘’이라 되어 있다. 또 『법화경언해』(6 : 142ㄱ) 계환해(戒環解)에 대한 정음 구결문에는 ‘外(외)’이고, 언해문에는 ‘’이라 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데엋’은 ‘거죽’, 또는 ‘밖’이나 ‘외부’의 의미를 가진 말로 본다.
주052)
보논 이:보는 것을. 보는 일을. 보-[見]+(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일(의존명사)+(목적격조사).
주053)
적(迹)이라:적(迹)이라고. 적(迹)+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054)
니라:하는 것이다. 하느니라.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