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1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1]
그저긔 주001)
그저긔:
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華德菩薩 주002)
화덕보살(華德菩薩):
『법화경』에 나오는 보살 중 하나이다. 지난 날 묘장엄왕(妙莊嚴王)이었다고 한다. 화덕보살은 묘장엄왕의 후신이다.
부텨 주003)
부텨:
부처께.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부처는 범어로 ‘buddha’라고 하며 불타(佛陀), 불(佛), 각자(覺者) 등으로 부른다. 불교 교리의 전개 과정에서 성립된 의미인데, 신앙의 대상이 되는 구제자로서 상정된 수많은 각자(覺者)들을 의미한다.
샤 世尊하 이 妙音菩薩 주004)
묘음보살(妙音菩薩):
지난 세상에서 10만 종(種)의 풍류를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에게 공양하고, 동방의 일체정광장엄국(一切淨光莊嚴國)에 태어났다고 한다. 지혜가 많아서 한이 없는 삼매(三昧)를 얻고, 34신(身)을 나타내어 여러 곳에서 중생을 위해 설법(說法)했다. 8만 4천 보살에게 둘러싸여 사바세계에 와서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석존께 공양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는 보살이다.

석보상절 20:45ㄴ

엇던 주005)
엇던:
어떤. 어떠한. 엇던[何](관형사).
됴 根源을 주006)
됴 근원(根源)을:
좋은 근원(根源)을. 둏-[善]+(관형사형어미)#근원(根源)+을(목적격조사). ‘근원(根源)’은 어떤 일이 생겨나는 본바탕을 이른다, 따라서 ‘좋은 근원’은 ‘선근(善根)’을 이른다.
시므며 엇던 功德을 닷관 주007)
닷관:
닦기에. -[修]+관(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관’가 종속절에 오면, 그 앞에 의문사가 오고, 이에 호응하여 주절은 의문문이 된다.
이런 神力 주008)
신력(神力):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마음대로 하는 영묘(靈妙)한 힘을 이른다. 곧 신통력(神通力)이다.
뒷니고 주009)
뒷니고:
두고 있는 것입니까. 두었습니까.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在]+(직설법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형 종결어미). ‘-니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 종결어미이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동사 ‘두-[置] 다음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상태의 보조용언 ‘잇/이시-[有]’이 통합되면 이처럼 ‘뒷/뒤-’로 적기도 하고, ‘둣/두-’로 적기도 했다. 이 형태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엣’이 ‘두-’ 아래에서 ‘-’으로 바뀐 것이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81ㄴ

그 華德菩薩부텨 샤 世尊하 이 妙音菩薩이 엇던 善

월인석보 18:82ㄱ

根 시므며 엇던 功德을 닷시관 이 神力이 겨시니고華德은 곧 妙莊嚴王 後身이시니 妙因 도 펴리라 샤 이 무루믈 發시니라】

법화경 7:23ㄱ

三華德問因
〔법화경〕

법화경 7:23ㄴ

爾時華德菩薩이 白言샤 世尊하 是妙音菩薩이 種何善根시며 修何功德시관대 有是神力시니고

〔법화경언해〕○그 華德菩薩부텻긔 오샤 世尊하 이 妙音菩薩이 엇던 善根을 시므시며 엇던 功德을 닷시관 이 神力이 겨시니고

〔계환해〕華德은 即妙莊嚴王ㅅ 後身이시니 欲助揚妙因故로 發此問시니라

〔계환해언해〕○華德은 곧 妙莊嚴王

법화경 7:24ㄱ

ㅅ 後身이시니 妙因을 도아 펴고져 실 이 묻오 내시니라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1]
그때에 화덕보살(華德菩薩)부처께 사뢰셨다. “세존이시여, 이 묘음보살이 어떤 좋은 근원(根源)을 심었으며, 어떤 공덕을 닦았기에 이런 신력을 두고 있습니까?”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저긔: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화덕보살(華德菩薩):『법화경』에 나오는 보살 중 하나이다. 지난 날 묘장엄왕(妙莊嚴王)이었다고 한다. 화덕보살은 묘장엄왕의 후신이다.
주003)
부텨:부처께.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부처는 범어로 ‘buddha’라고 하며 불타(佛陀), 불(佛), 각자(覺者) 등으로 부른다. 불교 교리의 전개 과정에서 성립된 의미인데, 신앙의 대상이 되는 구제자로서 상정된 수많은 각자(覺者)들을 의미한다.
주004)
묘음보살(妙音菩薩):지난 세상에서 10만 종(種)의 풍류를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에게 공양하고, 동방의 일체정광장엄국(一切淨光莊嚴國)에 태어났다고 한다. 지혜가 많아서 한이 없는 삼매(三昧)를 얻고, 34신(身)을 나타내어 여러 곳에서 중생을 위해 설법(說法)했다. 8만 4천 보살에게 둘러싸여 사바세계에 와서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석존께 공양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는 보살이다.
주005)
엇던:어떤. 어떠한. 엇던[何](관형사).
주006)
됴 근원(根源)을:좋은 근원(根源)을. 둏-[善]+(관형사형어미)#근원(根源)+을(목적격조사). ‘근원(根源)’은 어떤 일이 생겨나는 본바탕을 이른다, 따라서 ‘좋은 근원’은 ‘선근(善根)’을 이른다.
주007)
닷관:닦기에. -[修]+관(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관’가 종속절에 오면, 그 앞에 의문사가 오고, 이에 호응하여 주절은 의문문이 된다.
주008)
신력(神力):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마음대로 하는 영묘(靈妙)한 힘을 이른다. 곧 신통력(神通力)이다.
주009)
뒷니고:두고 있는 것입니까. 두었습니까.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在]+(직설법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형 종결어미). ‘-니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 종결어미이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동사 ‘두-[置] 다음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상태의 보조용언 ‘잇/이시-[有]’이 통합되면 이처럼 ‘뒷/뒤-’로 적기도 하고, ‘둣/두-’로 적기도 했다. 이 형태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엣’이 ‘두-’ 아래에서 ‘-’으로 바뀐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