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2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2]
그저긔 주001)
그저긔:
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一切衆生喜見菩薩이 大衆 中에 盟誓 주002)
맹세(盟誓):
맹세(盟誓)를. ‘’은 목적격조사이다. ‘맹세(盟誓)’는 부처나 신(神) 앞에서 하는 약속(約束)을 이른다.
야 닐오 주003)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격조사의 통합이어서 성조가 거성(去聲)이다.
두  주004)
두 :
두 팔을. 두[兩]#ㅎ[臂]+(목적격조사).
료로 주005)
료로:
버림으로. 버리는 것으로. 리-[捨]+옴/움(명사형어미)+로(도구 부사격조사).
다 주006)
다:
마땅히. 응당(應當). 당다[必當](부사).
부텻 주007)
부텻:
부처의. ‘ㅅ’은 존칭 관형격조사. ‘부텨’는 범어로 ‘buddha’라고 한다. 처음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에 국한해서 쓴 말로 각자(覺者)라는 의미이다. 나중에 불교의 교리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金色 주008)
금색(金色):
금색(金色)의. 금빛의.
모 得호리니 주009)
득(得)호리니:
얻을 것이니. 득(得)하리니. ‘-호리니’는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말옷 주010)
말옷:
말만. 말곧. 말[言]+곳/옷(단독 보조사).
虛티 주011)
허(虛)티:
허(虛)하지. 헛되지. 허(虛)-+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딘댄 주012)
아니딘댄:
아니할진댄. 아니할 것이면. 아니-[不]+오/우(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ㄴ댄(연결어미).
주013)
내:
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내’는 관형격조사의 통합이어서 성조(聲調)가 평성(平聲)이다.
두 히 주014)
두 히:
두 팔이. 두[兩]#ㅎ[臂]+이(주격조사).
도로 주015)
도로:
도로. 다시. 돌-[還復]+오(부사파생접미사).
주016)
녜:
예와. 전(前)과. 녜[故](명사).
리라 주017)
리라:
같을 것이다. 같으리라. -[如]+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야 주018)
야:
하거늘. -+아/야(설명형 연결어미).
自然히 도로 녜 니 이 菩薩 주019)
보살(菩薩):
보살(菩薩)의. ‘/의’는 관형격조사.
福德 주020)
복덕(福德):
타고난 복(福)과 후(厚)한 마음을 이른다.
智慧 주021)
지혜(智慧):
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眞情)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두터 주022)
두터:
두터운. 두-[淳厚]+은(관형사형어미).
젼라 주023)
젼라:
까닭이다. 젼[所致]+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42ㄴ

그제 一切衆生喜見菩薩이 大衆 中에 盟誓야 닐오 내 두  릴 一定

월인석보 18:43ㄱ

야 부텨 金色身 得리니 다가 實야 虛티 아니딘댄 내 두 히 도로 녜 리라 이 盟誓니 自然히 도로 녜 니 이 菩薩 福德 智慧 淳厚 다시라【히 소게 님그미라 能히 한 가라 브리고 나 브리 배 업스니 그러면 두  我執 法執 根本

월인석보 18:43ㄴ

 表니라 我執 能히 煩惱 내야 生死 닛고 法執 能히 아로 내야 正知見을 막니 나 리고 나 두면 二乘이 외릴 두  려 다 부텨를 得리라 도로 녜 샤 果然 부텨를 得시면  거시 업스니라 이 녇갑고 열 사 能히  배 아닐 淳厚ㅣ라 시니라】

〔법화경〕〔6:157ㄴ〕 于時一切衆生喜見菩薩이 於大衆中에 立此誓言호 我ㅣ 捨兩臂 必當得佛金色之身리니 若實不虛댄 令我兩臂로 還復如故리라 作是誓已야 自然還復니 由斯菩薩의 福德智慧淳厚所致니라

〔법화경언해〕○그 一切衆生喜見〔6:158ㄱ〕菩薩이 大衆 中에 이 盟誓 셰여 닐오 내 두  릴 반기 부텻 金色身을 得리니 다가 實야 虛티 아니면 내 두 히 도로 녜 게 리라 이 盟誓야 自然히 도로 외니 이 菩薩의 福德 智慧 淳厚의 닐위요미라

〔계환해〕臂之於手에 爲辟이라 能役衆指고 而我 無所役니 則兩臂 表我執法執根本也ㅣ시니라 我執은 能生煩惱야 續諸生死고 法執은 能生所知야 礙正知見니 捨一存一면 則爲二乘故로 捨兩臂샤 必當得〔6:158ㄴ〕佛이샷다 還復如故者 若果得佛시면 即無所捨矣시리라 此 非淺薄의 所能故로 稱淳厚시니라

〔계환해언해〕○히 소내 님그미라 能히 한 가라 브리고 나 브리이  업스니 兩臂 我執과 法執괏 根本 表시니라 我執은 能히 煩惱 내야 여러 가짓 죽사리 닛고 法執은 能히 所知 내야 正 知見을 막니 나 리고 나 두면 二乘이 욀 두  리샤 반기 부텨를 得시리로다 도로 녜 샤 다가 果然 부텨를 得시면 룔 꺼시 업스시리라 이 녇가온 열우늬 能히 홀 띠 아닐 淳厚ㅣ라 일시니라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2]
그때에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대중 가운데 맹세를 하여 말했다. ‘내가 두 팔을 버림으로 마땅히 부처의 금색 몸을 얻을 것이니, 이 말이 헛되지 아니할진댄 나의 두 팔이 도로 예와 같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자연히 도로 예와 같으니, 이 보살의 복덕과 지혜가 두터운 까닭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저긔: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맹세(盟誓):맹세(盟誓)를. ‘’은 목적격조사이다. ‘맹세(盟誓)’는 부처나 신(神) 앞에서 하는 약속(約束)을 이른다.
주003)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격조사의 통합이어서 성조가 거성(去聲)이다.
주004)
두 :두 팔을. 두[兩]#ㅎ[臂]+(목적격조사).
주005)
료로:버림으로. 버리는 것으로. 리-[捨]+옴/움(명사형어미)+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06)
다:마땅히. 응당(應當). 당다[必當](부사).
주007)
부텻:부처의. ‘ㅅ’은 존칭 관형격조사. ‘부텨’는 범어로 ‘buddha’라고 한다. 처음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에 국한해서 쓴 말로 각자(覺者)라는 의미이다. 나중에 불교의 교리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주008)
금색(金色):금색(金色)의. 금빛의.
주009)
득(得)호리니:얻을 것이니. 득(得)하리니. ‘-호리니’는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0)
말옷:말만. 말곧. 말[言]+곳/옷(단독 보조사).
주011)
허(虛)티:허(虛)하지. 헛되지. 허(虛)-+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2)
아니딘댄:아니할진댄. 아니할 것이면. 아니-[不]+오/우(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ㄴ댄(연결어미).
주013)
내: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내’는 관형격조사의 통합이어서 성조(聲調)가 평성(平聲)이다.
주014)
두 히:두 팔이. 두[兩]#ㅎ[臂]+이(주격조사).
주015)
도로:도로. 다시. 돌-[還復]+오(부사파생접미사).
주016)
녜:예와. 전(前)과. 녜[故](명사).
주017)
리라:같을 것이다. 같으리라. -[如]+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8)
야:하거늘. -+아/야(설명형 연결어미).
주019)
보살(菩薩):보살(菩薩)의. ‘/의’는 관형격조사.
주020)
복덕(福德):타고난 복(福)과 후(厚)한 마음을 이른다.
주021)
지혜(智慧):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眞情)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주022)
두터:두터운. 두-[淳厚]+은(관형사형어미).
주023)
젼라:까닭이다. 젼[所致]+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