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3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3]
부톄 주001)
부톄:
부처님이. 부처께서.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주격조사는 체언 말음이 자음일 때 ‘-이’, 체언말음이 모음일 때 ‘-ㅣ’, 체언말음이 ‘-이’나 ‘-ㅣ’ 모음일 때는 조사가 나타나지 않고, ∅(zero) 형태가 되면서 ‘부텨(평성-평성)+ㅣ(거성)’ ⟶ ‘부:톄(평성-상성)’로 성조가 바뀌었다. 이러한 현상은 서술격조사 ‘-이라/-ㅣ라/-∅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여러 가짓 法엣 주002)
법(法)엣:
법(法)의. ‘엣’은 처소격조사와 관형격조사가 결합된 형태이다. ‘법(法)’은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이른다.
王이니 주003)
왕(王)이니:
왕(王)이니. ‘-이니’는 ‘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이 經이  이 야 여러 가짓 經ㅅ 中에 王이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부톄

월인석보 18:50ㄴ

諸法王 외요미 야 이 經도 諸經 中 王이라【經의 어딘 德을 나토샤 이 야도 어루 다 리어늘 여러 가짓  샤 妙法이 機 조차 곧마다 勝  기시니라】

〔6:169ㄱ〕 十圓顯
〔법화경〕如佛이 爲諸法王야 此經도 亦復如是야 諸經中王이라

〔법화경언해〕○부톄 諸法王이 외 야 이 經도  이 야 諸經 中 王이라

〔계환해〕總而舉之샤 以圓顯勝德也시니라 然이나 顯〔6:169ㄴ〕經勝德샤미 只此애 可盡이어시 而必引諸義者 明妙法이 隨機야 在處에 皆勝故也ㅣ시니라

〔계환해언해〕○모도아 드러 니샤 노 德을 圓히 나토시니라 그러나 經의 노 德 나토샤미 이만샤매 어루 다시리어 모로매 여러 들 샤 妙法이 機 조차 잇 고대 다 勝호 기시논 젼라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3]
부처께서 여러 가지 법의 왕이니, 이 경전이 또한 이와 같아서 여러 가지의 경전 중에 왕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부처님이. 부처께서.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주격조사는 체언 말음이 자음일 때 ‘-이’, 체언말음이 모음일 때 ‘-ㅣ’, 체언말음이 ‘-이’나 ‘-ㅣ’ 모음일 때는 조사가 나타나지 않고, ∅(zero) 형태가 되면서 ‘부텨(평성-평성)+ㅣ(거성)’ ⟶ ‘부:톄(평성-상성)’로 성조가 바뀌었다. 이러한 현상은 서술격조사 ‘-이라/-ㅣ라/-∅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주002)
법(法)엣:법(法)의. ‘엣’은 처소격조사와 관형격조사가 결합된 형태이다. ‘법(法)’은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이른다.
주003)
왕(王)이니:왕(王)이니. ‘-이니’는 ‘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