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3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3]
妙音菩薩品 주001)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
『법화경』의 24번째 품(品)이다. ‘품(品)’은 편(篇)과 장(章)을 나누어서 뜻과 이치(理致)를 차별화한 것이다.

석보상절 20:51ㄴ

니르 저긔 주002)
니르 저긔:
이르실 때에. 설(說)하실 때에. 니르-[說]+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妙音菩薩 오신 주003)
 오신:
함께 오신. ‘’는 함께. 동시(同時)에. ‘[一]#[時]+의(처소부사격조사)’가 어휘화하여 ‘[俱](부사)’가 된 것이다. ‘오신’은 ‘오-[來]+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八萬四千 주004)
팔만사천(八萬四千):
팔만사천(八萬四千) 기(基)의. ‘팔만사천’은 인도에서 많은 수(數)를 말할 때 흔히 드는 숫자 단위이다.
사미 주005)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06)
다:
다. 모두. ‘다-[皆]+아(연결어미)’의 ‘다아’가 축약된 형태이다.
現一切色身三昧 得시며 주007)
득(得)시며:
득(得)하시며. 얻으시며.
이 娑婆世界옛 無量菩薩도  이 三昧와 陁羅尼 주008)
다라니(陁羅尼):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어구(語句).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로 된 것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得시니라 주009)
득(得)시니라:
득(得)하신 것이다. 득(得)하시니라. 득(得)-+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陁羅尼 解一切語言陁羅尼 주010)
해일체어언다라니(解一切語言陁羅尼):
일체 중생의 말을 다 이해하는 다라니이다.
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누락 부분임.

법화경 7:33ㄱ

七大根同證
〔법화경〕說是妙音菩薩品時예 與妙音菩薩와 俱來者八萬四千人이 皆得現一切色身三昧시며 此娑婆世界예 無量菩薩도 亦得是三昧와 及陀羅尼시니라

〔법화경언해〕○

법화경 7:33ㄴ

妙音菩薩品 니실 쩨 妙音菩薩와  오신 八萬四千人이 다 現一切色身三昧 得시며 이 娑婆世界옛 無量 菩薩도  이 三昧와  陀羅尼 得시니라

〔계환해〕及解一切語言陀羅尼也ㅣ시니라 諸菩薩이 皆具體而微者ㅣ실 故로 因說是品샤 皆得發明시니라

〔계환해언해〕○ 解一切語言陀羅尼시니라 諸菩薩이 다 體 샤 微시닐 이 品 니샤 因샤 다 發

법화경 7:34ㄱ

明을 得시니라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3]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을 설(說)하실 때에 묘음보살과 함께 오신 팔만사천 사람이 다 현일체색신삼매(現一切色身三昧)를 얻으시며, 이 사바세계의 무량한 보살도 또한 이 삼매와 다라니를 얻으신 것이다.【다라니는 해일체어언다라니(解一切語言陁羅尼)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법화경』의 24번째 품(品)이다. ‘품(品)’은 편(篇)과 장(章)을 나누어서 뜻과 이치(理致)를 차별화한 것이다.
주002)
니르 저긔:이르실 때에. 설(說)하실 때에. 니르-[說]+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주003)
 오신:함께 오신. ‘’는 함께. 동시(同時)에. ‘[一]#[時]+의(처소부사격조사)’가 어휘화하여 ‘[俱](부사)’가 된 것이다. ‘오신’은 ‘오-[來]+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4)
팔만사천(八萬四千):팔만사천(八萬四千) 기(基)의. ‘팔만사천’은 인도에서 많은 수(數)를 말할 때 흔히 드는 숫자 단위이다.
주005)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06)
다:다. 모두. ‘다-[皆]+아(연결어미)’의 ‘다아’가 축약된 형태이다.
주007)
득(得)시며:득(得)하시며. 얻으시며.
주008)
다라니(陁羅尼):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어구(語句).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로 된 것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주009)
득(得)시니라:득(得)하신 것이다. 득(得)하시니라. 득(得)-+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0)
해일체어언다라니(解一切語言陁羅尼):일체 중생의 말을 다 이해하는 다라니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