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0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0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0]
世尊 주001)
내:
제가. 나[我]+ㅣ(주격조사). 당시에는 1인칭 낮춤말이 없어서 ‘내’로 표기되었으나, 내용으로 보면 ‘제’가 맞다. ‘·내’는 주격통합이어서 거성(去聲)이다.
이제 多寶佛 주002)
다보불(多寶佛)ㅅ:
다보불(多寶佛)의. ‘ㅅ’은 높임 관형격조사이다.
모 보고져 주003)
모 보고져:
몸을 보고자. 몸[身]+(목적격조사)#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고져(의도형 연결어미).
노니 주004)
노니:
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願 주005)
원(願):
원(願)하는 것은. 원(願)-+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ㄴ(보조사).

석보상절 20:44ㄴ

世尊나 보게 쇼셔 주006)
나 보게 쇼셔:
저에게 보게 하십시오. 나[我]+(목적격조사)#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게(보조적 연결어미)#-+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역시 대화의 격으로 보아 ‘나’는 ‘저’로 표현하는 것이 맞다.
【寶塔이 놉고 머르실 주007)
놉고 머르실:
높고 멀기 때문에. 높-[高]+고(대등적 연결어미)#멀-[遠]+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부텨를 븓 주008)
부텨를 븓:
부처를 붙어서. 부처를 의지해서. 부텨[佛]+를(목적격조사)#븥-[依]+(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보조사).
보지다 주009)
보지다:
보고 싶습니다. 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지-[望]+(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지다’는 보조형용사 ‘지라’의 높임말이다.
시니 尊敬을 나토샨 디라 주010)
나토샨 디라:
나타내신 뜻이다. 낱-[現]+오(사동접미사)+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意]+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부톄 囑累品 주011)
촉루품(囑累品)에:
촉루품(囑累品)에서. ‘에’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촉루품’은 이미 말한 경전을 널리 유통하도록 부탁한 내용이 들어있는 편장(篇章)을 이른다. 곧 유통분(流通分)이다. 여기서는 『법화경』 제22품을 이른다.
法座로셔 주012)
법좌(法座)로셔:
법좌(法座)로부터. 법(法)의 자리로부터. ‘법좌’는 설법(說法)할 때 쓰는 높은 상좌(上座)를 이른다. 뒤에는 달라져서 법연(法筵)이나 법석(法席) 등과 같은 뜻으로 쓰고 있다. ‘로셔’는 대상이나 출발점을 나타내는 부사격조사이다. ¶하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리며〈석상 6:17ㄱ〉. 如來로셔 世尊애 니르리 열 가짓 號ㅣ시니〈석상 9:3ㄱ〉.
니르실 쩌긔 주013)
니르실 쩌긔:
일어나실 때에. 닐-[起]+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명사이다.
마 塔애 나실 주014)
마 탑(塔)애 나실:
이미 탑(塔)에 나시므로. 마[已](부사)#탑(塔)+애(처소부사격조사)#나-[生]+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니샤 多寶佛은 도로 아직 녜티 겨쇼셔 주015)
녜티 겨쇼셔:
옛날 같이 계십시오. 녜[昔]+티(보조사)#겨-[在]+쇼셔(‘쇼셔’의 명령형 종결어미).
시니 녯 사미 닐오 주016)
녯 사미 닐오:
옛 사람이 이르되. 녯[舊](관형사)#사[人]+이(주격조사)#니-[謂]+오/우(연결어미).
부톄 주017)
두 부톄:
두 부처께서. 두[二](관형사)#부텨[佛]+ㅣ(주격조사). ‘부:톄’는 주격조사 통합에 의해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 주018)
:
오히려. [尙](부사).
 주019)
:
한데. 한곳. 함께. ‘[一]#[處]’가 통합되어 어휘화한 말이다. 여기서는 ‘함께[同]’의 뜻으로 쓰였다.
안자 겨샤 주020)
안자 겨샤:
앉아 계시되. 앉-[座]+아(연결어미)#겨-[在]+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연결어미).
妙音 주021)
묘음(妙音)이:
묘음보살(妙音菩薩)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釋迦 주022)
석가(釋迦)란: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은. ‘란’은 보조사이다.
보시고 多寶 주023)
다보(多寶):
다보여래(多寶如來)를. ‘’은 목적격조사이다.
몯 보시다 주024)
몯 보시다:
못 보시다. 몯[不](부정부사)#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니 갓 疑心을 주025)
갓 의심(疑心)을:
공연히 의심(疑心)을. 갓[徒](부사)#의심(疑心)+을(목적겨조사).
 미라 주026)
미라:
만들 따름이다. -[構]+ㄹ(관형사형어미)#(耳)+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80ㄴ

世尊하 내 이제 多寶佛身을 보고져 노니 願 世尊이 나 보게 쇼셔【寶塔이 놉고 멀 부텨를 븓 보고져 시니 尊敬을 나토시니

월인석보 18:81ㄱ

부톄 囑累品에 法座로셔 니르 저긔 마 塔애 나실 니샤 多寶佛塔이 도로 녜 쇼셔 시니 녯 사미 닐오 두 부톄    안자 겨시거늘 妙音釋迦란 보고 多寶란 몯 보다 니 疑心을  미라】

〔법화경〕

법화경 7:22ㄱ

世尊하 我今에 欲見多寶佛身노니 唯願世尊이 示我令見쇼셔

〔법화경언해〕○世尊하 내 이제 多寶佛身을 보고져 노니 오직 願오 世尊이 나 보게 쇼셔

〔계환해〕寶塔이 高遠실 仗佛求見은 表尊敬耳시니라 이 於囑累品에 從法座起時예 已出塔故로 云多寶佛塔은 還可如故쇼셔

법화경 7:22ㄴ

시니 舊謂호 二佛이 至此샤 尚同座ㅣ어시 而妙音이 能見釋迦시고 不見多寶ㅣ라니 徒搆疑難토다

〔계환해언해〕○寶塔이 놉고 머르실 부텨를 븓와 보오 求호 尊敬을 나토실 미라 부톄 囑累品에 法座 브트샤 니르실 쩨 마 塔애 나실 니샤 多寶佛塔 도로 녜 쇼셔 시니 녜 닐오 두 부톄 이 니르르샤   座ㅣ어시 妙音이 能히 釋迦 보오시고 多寶 몯 보오시니라 니 갓 疑難 도다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0]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다보불(多寶佛)의 몸을 보고자 하니, 원하는 것은 세존이시여, 저를 보게 해 주십시오.”【‘보탑(寶塔)이 높고 멀기 때문에 부처를 의지해서 보고 싶습니다.’라고 하시니, 존경을 나타내신 뜻이다. 부처께서 촉루품(囑累品)에서 법좌(法座)로부터 일어나실 때에 이미 탑에 나시므로 이르셨다. ‘다보불은 도로 아직 옛날과 같이 계십시오.’ 하시니, 옛 사람이 이르되, ‘두 부처께서 오히려 함께 앉아 계시는데, 묘음(妙音)석가(釋迦)는 보시고, 다보(多寶)를 못 보시다.’라고 하니 공연히 의심을 만들 따름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제가. 나[我]+ㅣ(주격조사). 당시에는 1인칭 낮춤말이 없어서 ‘내’로 표기되었으나, 내용으로 보면 ‘제’가 맞다. ‘·내’는 주격통합이어서 거성(去聲)이다.
주002)
다보불(多寶佛)ㅅ:다보불(多寶佛)의. ‘ㅅ’은 높임 관형격조사이다.
주003)
모 보고져:몸을 보고자. 몸[身]+(목적격조사)#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고져(의도형 연결어미).
주004)
노니: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5)
원(願):원(願)하는 것은. 원(願)-+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ㄴ(보조사).
주006)
나 보게 쇼셔:저에게 보게 하십시오. 나[我]+(목적격조사)#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게(보조적 연결어미)#-+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역시 대화의 격으로 보아 ‘나’는 ‘저’로 표현하는 것이 맞다.
주007)
놉고 머르실:높고 멀기 때문에. 높-[高]+고(대등적 연결어미)#멀-[遠]+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주008)
부텨를 븓:부처를 붙어서. 부처를 의지해서. 부텨[佛]+를(목적격조사)#븥-[依]+(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보조사).
주009)
보지다:보고 싶습니다. 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지-[望]+(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지다’는 보조형용사 ‘지라’의 높임말이다.
주010)
나토샨 디라:나타내신 뜻이다. 낱-[現]+오(사동접미사)+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意]+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1)
촉루품(囑累品)에:촉루품(囑累品)에서. ‘에’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촉루품’은 이미 말한 경전을 널리 유통하도록 부탁한 내용이 들어있는 편장(篇章)을 이른다. 곧 유통분(流通分)이다. 여기서는 『법화경』 제22품을 이른다.
주012)
법좌(法座)로셔:법좌(法座)로부터. 법(法)의 자리로부터. ‘법좌’는 설법(說法)할 때 쓰는 높은 상좌(上座)를 이른다. 뒤에는 달라져서 법연(法筵)이나 법석(法席) 등과 같은 뜻으로 쓰고 있다. ‘로셔’는 대상이나 출발점을 나타내는 부사격조사이다. ¶하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리며〈석상 6:17ㄱ〉. 如來로셔 世尊애 니르리 열 가짓 號ㅣ시니〈석상 9:3ㄱ〉.
주013)
니르실 쩌긔:일어나실 때에. 닐-[起]+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어미)#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명사이다.
주014)
마 탑(塔)애 나실:이미 탑(塔)에 나시므로. 마[已](부사)#탑(塔)+애(처소부사격조사)#나-[生]+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주015)
녜티 겨쇼셔:옛날 같이 계십시오. 녜[昔]+티(보조사)#겨-[在]+쇼셔(‘쇼셔’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6)
녯 사미 닐오:옛 사람이 이르되. 녯[舊](관형사)#사[人]+이(주격조사)#니-[謂]+오/우(연결어미).
주017)
두 부톄:두 부처께서. 두[二](관형사)#부텨[佛]+ㅣ(주격조사). ‘부:톄’는 주격조사 통합에 의해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18)
:오히려. [尙](부사).
주019)
:한데. 한곳. 함께. ‘[一]#[處]’가 통합되어 어휘화한 말이다. 여기서는 ‘함께[同]’의 뜻으로 쓰였다.
주020)
안자 겨샤:앉아 계시되. 앉-[座]+아(연결어미)#겨-[在]+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연결어미).
주021)
묘음(妙音)이:묘음보살(妙音菩薩)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주022)
석가(釋迦)란: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은. ‘란’은 보조사이다.
주023)
다보(多寶):다보여래(多寶如來)를. ‘’은 목적격조사이다.
주024)
몯 보시다:못 보시다. 몯[不](부정부사)#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25)
갓 의심(疑心)을:공연히 의심(疑心)을. 갓[徒](부사)#의심(疑心)+을(목적겨조사).
주026)
미라:만들 따름이다. -[構]+ㄹ(관형사형어미)#(耳)+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