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4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4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4]
華德 주001)
화덕(華德)아:
화덕(華德)아. 화덕(華德)이여. ‘아’는 평칭의 호격조사이다. 여기서 ‘화덕’은 화덕보살(華德菩薩)을 이른다.
네 덴 주002)
네 덴:
너의 뜻에는. 너[汝]+ㅣ(관형격조사)#[意]+에(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네’는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어 평성(平聲)이다.
엇뎨 너기다 주003)
엇뎨 너기다:
어찌 여기느냐. 어떻게 생각하느냐. 엇뎨[何](부사)#너기-[念]+(직설법 선어말어미)+ㄴ다(의문형어미). ‘라’체의 2인칭 의문형이다.

석보상절 20:46ㄴ

그저긔 雲雷音王佛ㅅ 거긔 주004)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ㅅ 거긔: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의 그곳에. ‘ㅅ’은 높임 자질이 있는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거긔’는 장소를 가리키는 의존명사이다.
妙音菩薩류로 供養며 주005)
류로 공양(供養)며:
음악(音樂)으로 공양(供養)하며. ‘풍류’는 ‘기악(伎樂)’을 가리킨다. ‘공양(供養)며’는 ‘공양(供養)-+(겸양법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보옛 그릇 주006)
보옛 그릇:
보배의 그릇. 보[寶貝]+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그릇[器]. ‘옛’은 처소격과 관형격의 통합형조사이다. 여기서 ‘그릇’은 발우(鉢盂)를 이른다.
받더니 주007)
받더니:
바치더니. 받-[奉]+(겸양법 선어말어미)+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다 사미리여 주008)
사미리여:
사람이겠는가. 사람이겠느냐. 사+이(서술격조사)+(/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가/아/어(판정의문 종결어미). 해당 원문은 ‘豈異人乎ㅣ리오’이어서 현토된 정음구결 ‘-오’는 설명의문형 종결 어미이다. 〈월석〉과 〈법화〉의 언해는 ‘엇뎨 다 사미리오’이어서 원문의 ‘豈’를 ‘엇뎨’로 언해하고 종결어미도 정음구결과 같은 설명의문형 종결어미로 언해하였다. ¶彌勒아 아라라 妙光菩薩 다 사 미리여 내 모미 긔오 求名菩薩 그딋 모미 긔라〈석상 13:36ㄴ〉.
이젯 妙音菩薩摩訶薩긔라 주009)
긔라:
이 사람이다. 그이다. 그[其]+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83ㄴ

華德아 네 데 엇더뇨 그 雲雷音王佛ㅅ게 妙音菩薩이 伎

월인석보 18:84ㄱ

樂로 供養며 寶器 받더니 엇뎨 다 사미리오 이젯 妙音菩薩摩訶薩이 긔라

법화경 7:25ㄴ

二顯今迹
〔법화경〕華德아 於汝意云何오 爾時雲雷音王佛所애 妙音菩薩이 伎樂으로 供養오며 奉上寶器者 豈異人乎ㅣ리오 今此妙音菩薩摩訶薩이 是라

〔법화경언해〕○華德아 네 데 엇더뇨 그 雲雷音王佛妙音菩薩이 伎樂으로 供養오며 보 그릇 받더닌 엇뎨 다 사미

법화경 7:26ㄱ

리오 오 이 妙音菩薩摩訶薩이 이라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4]
화덕(華德)아, 너의 뜻에는 어떻게 여기느냐? 그때에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의 그곳에서 묘음보살이 음악으로 공양하며, 보배의 그릇을 바쳤는데 〈그가〉 다른 사람이겠느냐? 이제의 묘음보살이 〈바로〉 그 사람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화덕(華德)아:화덕(華德)아. 화덕(華德)이여. ‘아’는 평칭의 호격조사이다. 여기서 ‘화덕’은 화덕보살(華德菩薩)을 이른다.
주002)
네 덴:너의 뜻에는. 너[汝]+ㅣ(관형격조사)#[意]+에(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네’는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어 평성(平聲)이다.
주003)
엇뎨 너기다:어찌 여기느냐. 어떻게 생각하느냐. 엇뎨[何](부사)#너기-[念]+(직설법 선어말어미)+ㄴ다(의문형어미). ‘라’체의 2인칭 의문형이다.
주004)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ㅅ 거긔: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의 그곳에. ‘ㅅ’은 높임 자질이 있는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거긔’는 장소를 가리키는 의존명사이다.
주005)
류로 공양(供養)며:음악(音樂)으로 공양(供養)하며. ‘풍류’는 ‘기악(伎樂)’을 가리킨다. ‘공양(供養)며’는 ‘공양(供養)-+(겸양법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06)
보옛 그릇:보배의 그릇. 보[寶貝]+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그릇[器]. ‘옛’은 처소격과 관형격의 통합형조사이다. 여기서 ‘그릇’은 발우(鉢盂)를 이른다.
주007)
받더니:바치더니. 받-[奉]+(겸양법 선어말어미)+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8)
사미리여:사람이겠는가. 사람이겠느냐. 사+이(서술격조사)+(/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가/아/어(판정의문 종결어미). 해당 원문은 ‘豈異人乎ㅣ리오’이어서 현토된 정음구결 ‘-오’는 설명의문형 종결 어미이다. 〈월석〉과 〈법화〉의 언해는 ‘엇뎨 다 사미리오’이어서 원문의 ‘豈’를 ‘엇뎨’로 언해하고 종결어미도 정음구결과 같은 설명의문형 종결어미로 언해하였다. ¶彌勒아 아라라 妙光菩薩 다 사 미리여 내 모미 긔오 求名菩薩 그딋 모미 긔라〈석상 13:36ㄴ〉.
주009)
긔라:이 사람이다. 그이다. 그[其]+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