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3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3]

석보상절 20:46ㄱ

妙音菩薩萬二千  주001)
만이천(萬二千) :
만이천(萬二千) 해를. [歲]+(목적격조사).
十萬 가짓 류로 주002)
십만(十萬) 가짓 풍류로:
십만(十萬) 가지의 음악으로. 가지[種]+ㅅ(관형격조사)#풍류(風流)+로(도구 부사격조사).
雲雷音王佛 주003)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
갖은 이름은 운뢰음수왕화지불(雲雷音宿王華智佛)이다. 구름에서 울리는 뇌성(雷聲)처럼 좋은 음성을 지닌 성수(星宿)의 왕에 의해 신통을 발휘한 자라는 뜻이다.
供養며 주004)
공양(供養)며:
공양(供養)하며. 공양(供養)-+(겸양법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八萬四天 주005)
팔만사천(八萬四千):
인도(印度)에서 많은 수(數)를 말할 때 흔히 드는 숫자 단위.
七寶 바리 주006)
칠보(七寶) 바리:
칠보(七寶) 바리를. ‘바리’는 스님들이 사용하는 식기(食器)를 이른다. 응량기(應量器), 또는 발우(鉢盂), 바루라고도 한다.
조쳐 받니 주007)
조쳐 받니:
아울러 바치니. 조치-[幷]+어(연결어미)#받-[奉]+(겸양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이 因緣果報 주008)
과보(果報):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善惡)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吉凶禍福)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른다. 곧 인과응보(因果應報)이다.
이제 주009)
이제:
이제. 이제[今]. 명사이지만 흔히 부사적 용법으로 쓴다.
淨華宿王智佛國 주010)
정화수왕지불국(淨華宿王智佛國)에:
정화수왕지불(淨華宿王智佛)이 나고 살았던 나라[國土]를 이른다.
나아 주011)
나아:
태어나. 나[生]+아(연결어미).
이런 神力을 주012)
이런 신력(神力)을:
이런 신력(神力)을. ‘신력(神力)’은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마음대로 하는 영묘(靈妙)한 힘을 이른다. 곧 신통력(神通力)이다.
뒷니라 주013)
뒷니라:
두고 있는 것이다. 두었느니라.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在]+(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중세국어 시기에는 동사 ‘두-[置] 다음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상태의 보조용언 ‘잇/이시-[有]’이 통합되면 이처럼 ‘뒷-’으로 적기도 하고, ‘둣-’으로 적기도 했다. 이 형태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엣’이 ‘두-’ 아래에서 ‘-’으로 바뀐 것이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83ㄱ

妙音菩薩이 萬二千歲 十萬 가짓 伎樂로 雲雷音王佛 供養고 八萬四千 七寶 바리 받 이 因緣 果報로 이제 淨華宿王智佛國

월인석보 18:83ㄴ

나 이 神力이 잇니라【풍류는 法音을 펴고 바리 應 그르시니 풍류에 十萬 가짓 伎樂 받샤 妙法 너비 펴고져 호 뵈시고 바리 八萬四千을 받샤 塵勞애 應야 化코져 호 뵈시니 그럴 이젯 果애 妙音이 조차 應시논 神通이 겨시니라】

〔법화경〕

법화경 7:24ㄴ

妙音菩薩이 於萬二千歲예 以十萬種伎樂으로 供養雲雷音王佛오며 并奉上八萬四千

법화경 7:25ㄱ

七寶鉢니 以是因緣果報로 今生淨華宿王智佛國야 有是神力니라

〔법화경언해〕○妙音菩薩이 萬二千歲예 十萬 가짓 伎樂으로 雲雷音王佛을 供養오며 八萬四千 七寶 바리 조쳐 받오니 이 因緣 果報로 이제 淨華宿王智佛國에 나 이 神力이 잇니라

〔계환해〕樂은 宣法音이오 鉢은 爲應器니 樂獻十萬種伎者 示欲廣宣妙法也ㅣ시고 鉢奉八萬四千者 示欲應化塵勞也ㅣ시니 故로 今에 果有妙音으로 隨應之神시니라

〔계환해언해〕○류는 法

법화경 7:25ㄴ

音을 펴샤미오 바리 應시논 그르시니 十萬 가짓 伎 받오샤 妙法 너비 펴고져 샤 뵈오시고 八萬 四千 바리 받오샤 塵勞 應야 化코져 샤 뵈오시니 이런로 오 果然 妙音으로 조차 應시논 神이 겨시니라

[묘음보살이 신력을 갖게 된 전생 인연 3]
묘음보살이 만이천 해 동안 십만 가지의 음악으로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을 공양하며, 팔만사천의 칠보(七寶) 바리를 아울러 바치니, 이 인연의 과보(果報)로 이제 정화수왕지불국(淨華宿王智佛國)에 나서 이런 신력(神力)을 두고 있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만이천(萬二千) :만이천(萬二千) 해를. [歲]+(목적격조사).
주002)
십만(十萬) 가짓 풍류로:십만(十萬) 가지의 음악으로. 가지[種]+ㅅ(관형격조사)#풍류(風流)+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03)
운뢰음왕불(雲雷音王佛):갖은 이름은 운뢰음수왕화지불(雲雷音宿王華智佛)이다. 구름에서 울리는 뇌성(雷聲)처럼 좋은 음성을 지닌 성수(星宿)의 왕에 의해 신통을 발휘한 자라는 뜻이다.
주004)
공양(供養)며:공양(供養)하며. 공양(供養)-+(겸양법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5)
팔만사천(八萬四千):인도(印度)에서 많은 수(數)를 말할 때 흔히 드는 숫자 단위.
주006)
칠보(七寶) 바리:칠보(七寶) 바리를. ‘바리’는 스님들이 사용하는 식기(食器)를 이른다. 응량기(應量器), 또는 발우(鉢盂), 바루라고도 한다.
주007)
조쳐 받니:아울러 바치니. 조치-[幷]+어(연결어미)#받-[奉]+(겸양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8)
과보(果報):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善惡)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吉凶禍福)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른다. 곧 인과응보(因果應報)이다.
주009)
이제:이제. 이제[今]. 명사이지만 흔히 부사적 용법으로 쓴다.
주010)
정화수왕지불국(淨華宿王智佛國)에:정화수왕지불(淨華宿王智佛)이 나고 살았던 나라[國土]를 이른다.
주011)
나아:태어나. 나[生]+아(연결어미).
주012)
이런 신력(神力)을:이런 신력(神力)을. ‘신력(神力)’은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마음대로 하는 영묘(靈妙)한 힘을 이른다. 곧 신통력(神通力)이다.
주013)
뒷니라:두고 있는 것이다. 두었느니라.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在]+(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중세국어 시기에는 동사 ‘두-[置] 다음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상태의 보조용언 ‘잇/이시-[有]’이 통합되면 이처럼 ‘뒷-’으로 적기도 하고, ‘둣-’으로 적기도 했다. 이 형태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엣’이 ‘두-’ 아래에서 ‘-’으로 바뀐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