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
주001)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디나가 주002)
디나가:
지나가. 디나가-[過]+아(연결어미).
世界 주003)
세계(世界):
세계(世界)가. 세계(世界)+∅(주격조사). ‘세계(世界)’는 중생들이 사는 이 현상계를 이른다.
이쇼 일후미 淨光莊嚴이오 주004)
정광장엄(淨光莊嚴)이오:
정광장엄(淨光莊嚴)이고. ‘-이오’는 ‘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정광장엄(淨光莊嚴)’은 동방(東方)에 있는 부처님의 나라로 정화수왕지여래(淨華宿王智如來)가 다스렸다고 한다.
그 나라해 주005)
그 나라해:
그 나라에. 그[其]#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의 나라는 ‘정광장엄(淨光莊嚴)’ 불국토(佛國土)를 가리킨다.
부톄 주006)
부톄:
부처님이. 부처께서.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주격조사는 체언말음이 자음일 때 ‘-이’, 체언말음이 모음일 때 ‘-ㅣ’, 체언말음이 ‘-이’나 ‘-ㅣ’ 모음일 때는 조사가 나타나지 않고, ∅(zero) 형태가 되면서 ‘부텨(평성-평성)+ㅣ(거성)’ ⟶ ‘부:톄(평성-상성)’으로 성조가 바뀐다. 이러한 현상은 서술격조사 ‘-이라/-ㅣ라/-∅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佛은 부톄시니라〈월석 1, 석상 서:1ㄱ〉.
겨샤 주007)
겨샤:
계시되. 겨-[有]+샤(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어미).
號ㅣ 淨華宿王智 주008)
정화수왕지(淨華宿王智):
범어로는 ‘kamaladalavimalanakṣatrarājasaṃkusumitābhijṅa’라고 한다. 연꽃잎처럼 더러움이 없는 성수(星宿)의 왕에 의해 신통을 나타낸 부처라는 뜻이다.
如來
應供 주009)
응공(應供):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범어 ‘arhat’를 의역한 말인데, 한역 경전에서는 ‘아라가(阿羅伽), 또는 아라하(阿羅訶)’로 음역하였다. ‘온갖 번뇌를 끊어서 인간과 천상(天上)의 모든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만한 덕을 갖춘 사람’이란 뜻으로 부처님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正遍知 주010)
정변지(正遍知):
정변각(正遍覺)이라고도 말하며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등정각(等正覺), 정등각(正等覺), 등각(等覺), 정각(正覺) 등으로 번역한다. 부처님은 모든 지혜를 갖추어 온갖 우주간의 마음과 사물의 현상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것이 없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明行足 주011)
명행족(明行足):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삼명(三明)의 신통한 지혜와 육도만행(六度萬行)을 갖추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善逝 주012)
선서(善逝):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잘 가신 분이라는 뜻으로 피안(彼岸)에 가서 다시는 이 세상에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世間解 주013)
세간해(世間解):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세상의 모든 것을 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無上士 주014)
무상사(無上士):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부처님은 유정(有情) 가운데 가장 높은 어른으로 명과 행, 빛과 지혜, 사랑을 모두 갖춘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지혜와 복덕을 갖춤은 물론 계행(戒行) 등이 완전하여 이보다 더 완전한 이가 없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
調御丈夫 주015)
조어장부(調御丈夫):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부처님은 대자, 대비, 대지(大慈·大悲·大智)로써 중생에 대하여 부드러운 말, 간절한 말, 또는 여러 가지 말을 써서 조복제어(調伏制御)하고, 정도(正道)를 잃지 않게 하는 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天人師 주016)
천인사(天人師):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천신(天神)과 인간들의 스승이라는 뜻으로, 석가모니가 정법(正法)으로 천신과 인간들을 가르쳐 이끌어 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佛世尊 주017)
불세존(佛世尊):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부처님은 깨달은 분이니, 세상에서 존경해야 할 것이며, 또 존경을 받아야 할 성인 가운데 대성인(大聖人), 곧 정각자(正覺者)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석보상절 20:33ㄴ

러시니
주018)
-이러시니:
이시더니. ‘-이러시니’는 ‘-이(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無量 無邊 菩薩 大衆이 恭敬야 圍繞거든 주019)
위요(圍繞)거든:
위요(圍繞)하였으므로. ‘-거든’은 ‘--+(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잇-[有]+거든(연결어미)’로 분석된다.
說法더시니 주020)
설법(說法)더시니:
설법(說法)하시더니. ‘-더시니’는 ‘--+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釋迦牟尼佛 주021)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ㅅ: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白毫 光明이 그 나라해 주022)
차:
두루. ‘-[滿]+아(연결어미)’에 의한 활용형 ‘차’가 부사화하여 ‘두루[遍]’의 의미로 쓰였다.
비취시니라 주023)
비취시니라:
비치시니라. 비치신 것이다. 비취-[照]+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이 數

월인석보 18:66ㄱ

디내야 世界 이쇼 일후미 淨光莊嚴이오 그 나라해 부톄 겨샤 일후미 淨華宿王智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世尊이러시니

월인석보 18:66ㄴ

無量 無邊 菩薩 大衆이 恭敬 圍繞거늘 爲야 說法시더니 釋迦牟尼佛ㅅ 白毫 光明이 그 나라해 차 비취여시華嚴에 菩薩 從야 오신 나라 드르샤 行샨 行 表시고 本來 셤기시논 부텨는 證샨 果 表시니 淨光莊嚴

월인석보 18:67ㄱ

智 브튼 行이오 淨華宿智 行 브튼 智라 智行이 서르 莊嚴며 因果ㅣ 體예 마니 妙音 妙行이 이 브터 뵈야 나토시니라】

〔법화경〕

법화경 7:4ㄱ

過是數已야 有世界호 名이 淨光莊嚴이오 其國에 有佛샤 號ㅣ 淨華宿王智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이러시니 爲無量無邊菩薩

법화경 7:4ㄴ

大衆이 恭敬圍遶요샤 而爲說法시더니 釋迦牟尼佛ㅅ 白毫光明이 遍照其國야시

〔법화경언해〕

법화경 7:5ㄱ

○이 數 디나 世界 이쇼 일후미 淨光莊嚴이오 그 나라해 부톄 겨샤 号ㅣ 淨華宿王智 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世尊이러시니 無量 無邊 菩薩 大衆이 恭敬 圍遶왯거늘 爲샤 說法시더니 釋迦牟尼佛ㅅ 白毫 光明이 그 나라해 다 비취여시

〔계환해〕華嚴에 擧菩薩所從來國은 表所行之行시고 本所事佛은 表所證之果시니 淨光

법화경 7:5ㄴ

莊嚴
은 即依智之行也ㅣ시고 淨華宿智 即依行之智也ㅣ시니 智行이 互嚴시며 因果ㅣ 合體시니 妙音妙行이 依此示現이시니라

〔계환해언해〕○華嚴에 菩薩 브터 오신 나라 드러 니샤 行시논 行 表시고 本來 셤기시논 부텨는 證샨 果 表시니 淨光莊嚴은 곧 智 브트신 行이시고 淨華宿智 곧 行을 브트신 智시니 智行이 서르 莊嚴시며 因果ㅣ 體 어우르시니 妙音 妙行이 이 브터 뵈야 現시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
이러한 수(數)를 지나가서 한 세계가 있는데, 이름이 정광장엄(淨光莊嚴)이다. 그리고 그 나라에 부처님이 계시는데, 호(號)가 정화수왕지여래(淨華宿王智如來), 응공(應供), 정변지(正遍知), 명행족(明行足), 선서(善逝), 세간해(世間解), 무상사(無上士), 조어장부(調御丈夫), 천인사(天人師), 불세존(佛世尊) 등이셨다. 무량(無量)하고 무변(無邊)한 보살 대중이 공경하여 위요(圍繞)하였으므로 설법하시니 석가모니불의 백호(白毫) 광명이 그 나라에 두루 비치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02)
디나가:지나가. 디나가-[過]+아(연결어미).
주003)
세계(世界):세계(世界)가. 세계(世界)+∅(주격조사). ‘세계(世界)’는 중생들이 사는 이 현상계를 이른다.
주004)
정광장엄(淨光莊嚴)이오:정광장엄(淨光莊嚴)이고. ‘-이오’는 ‘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정광장엄(淨光莊嚴)’은 동방(東方)에 있는 부처님의 나라로 정화수왕지여래(淨華宿王智如來)가 다스렸다고 한다.
주005)
그 나라해:그 나라에. 그[其]#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의 나라는 ‘정광장엄(淨光莊嚴)’ 불국토(佛國土)를 가리킨다.
주006)
부톄:부처님이. 부처께서.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주격조사는 체언말음이 자음일 때 ‘-이’, 체언말음이 모음일 때 ‘-ㅣ’, 체언말음이 ‘-이’나 ‘-ㅣ’ 모음일 때는 조사가 나타나지 않고, ∅(zero) 형태가 되면서 ‘부텨(평성-평성)+ㅣ(거성)’ ⟶ ‘부:톄(평성-상성)’으로 성조가 바뀐다. 이러한 현상은 서술격조사 ‘-이라/-ㅣ라/-∅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佛은 부톄시니라〈월석 1, 석상 서:1ㄱ〉.
주007)
겨샤:계시되. 겨-[有]+샤(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어미).
주008)
정화수왕지(淨華宿王智):범어로는 ‘kamaladalavimalanakṣatrarājasaṃkusumitābhijṅa’라고 한다. 연꽃잎처럼 더러움이 없는 성수(星宿)의 왕에 의해 신통을 나타낸 부처라는 뜻이다.
주009)
응공(應供):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범어 ‘arhat’를 의역한 말인데, 한역 경전에서는 ‘아라가(阿羅伽), 또는 아라하(阿羅訶)’로 음역하였다. ‘온갖 번뇌를 끊어서 인간과 천상(天上)의 모든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만한 덕을 갖춘 사람’이란 뜻으로 부처님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주010)
정변지(正遍知):정변각(正遍覺)이라고도 말하며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등정각(等正覺), 정등각(正等覺), 등각(等覺), 정각(正覺) 등으로 번역한다. 부처님은 모든 지혜를 갖추어 온갖 우주간의 마음과 사물의 현상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것이 없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1)
명행족(明行足):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삼명(三明)의 신통한 지혜와 육도만행(六度萬行)을 갖추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2)
선서(善逝):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잘 가신 분이라는 뜻으로 피안(彼岸)에 가서 다시는 이 세상에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주013)
세간해(世間解):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세상의 모든 것을 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4)
무상사(無上士):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부처님은 유정(有情) 가운데 가장 높은 어른으로 명과 행, 빛과 지혜, 사랑을 모두 갖춘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지혜와 복덕을 갖춤은 물론 계행(戒行) 등이 완전하여 이보다 더 완전한 이가 없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
주015)
조어장부(調御丈夫):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부처님은 대자, 대비, 대지(大慈·大悲·大智)로써 중생에 대하여 부드러운 말, 간절한 말, 또는 여러 가지 말을 써서 조복제어(調伏制御)하고, 정도(正道)를 잃지 않게 하는 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6)
천인사(天人師):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천신(天神)과 인간들의 스승이라는 뜻으로, 석가모니가 정법(正法)으로 천신과 인간들을 가르쳐 이끌어 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017)
불세존(佛世尊):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부처님은 깨달은 분이니, 세상에서 존경해야 할 것이며, 또 존경을 받아야 할 성인 가운데 대성인(大聖人), 곧 정각자(正覺者)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8)
-이러시니:이시더니. ‘-이러시니’는 ‘-이(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9)
위요(圍繞)거든:위요(圍繞)하였으므로. ‘-거든’은 ‘--+(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잇-[有]+거든(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20)
설법(說法)더시니:설법(說法)하시더니. ‘-더시니’는 ‘--+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21)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ㅅ: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주022)
차:두루. ‘-[滿]+아(연결어미)’에 의한 활용형 ‘차’가 부사화하여 ‘두루[遍]’의 의미로 쓰였다.
주023)
비취시니라:비치시니라. 비치신 것이다. 비취-[照]+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