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
부톄 주001)
부톄:
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부텨’에 주격조사 ‘ㅣ’가 통합되어 성조가 평성(平聲)인 ‘부텨’에서 상성(上聲)인 ‘부:톄’로 바뀌었다.
宿王華 菩薩니샤 주002)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告]+샤(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디나건 주003)
디나건:
지나간. 디나-[往]+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無量 恒河沙 주004)
항하사(恒河沙):
항하(恒河, 지금의 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無數), 무량(無量)의 대수를 비유하여 이른 말. 극(極)의 억(億) 곱절이면서 아승기(阿僧衹)의 1억분의 1이다.
주005)
겁(劫):
‘천지가 한 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 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으로 매우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르는 말.
부톄 겨샤 주006)
겨샤:
계시되. 겨-[有]+샤(선어말어미)+오(설명형어미).
號ㅣ 주007)
호(號)ㅣ:
호(號)가. 명호(名號)가. 이름이. ‘ㅣ’는 주격조사.
日月淨明德 주008)
일월정명덕(日月淨明德):
여러 보살 중 하나이다. 지난 과거 한량없는 항하사 겁(劫)에 출현하였던 부처이다. 4만2천 겁 동안 이 세상에 머물며 중생을 제도하였는데, 해와 달보다도 더 밝고 청정한 덕을 갖추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如來 주009)
여래(如來):
교화(敎化)를 위해 진여(眞如)에서 이 세상에 왔다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서 이르는 말.
應供 주010)
응공(應供):
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범어 ‘arhat’를 의역한 말인데, 한역 경전에서는 ‘아라가(阿羅伽)’로 음역하고 있다. ‘온갖 번뇌를 끊어서 인간과 천상(天上)의 모든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덕을 갖춘 사람’이란 뜻으로 부처님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正遍知 주011)
정변지(正遍知):
정변각(正遍覺)이라고도 하는 여래십호의 하나. 등정각(等正覺), 정등각(正等覺), 등각(等覺), 정각(正覺)이라고도 번역한다. 부처님은 모든 지혜를 갖추어 온 우주간의 마음과 사물의 현상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것이 없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明行足 주012)
명행족(明行足):
여래십호의 하나. 삼명(三明)의 신통한 지혜와 육도만행(六度萬行)을 갖추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善逝 주013)
선서(善逝):
여래십호의 하나. 잘 가신 분이라는 뜻으로 피안(彼岸)에 가서 다시는 이 세상에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世間解 주014)
세간해(世間解):
여래십호의 하나. 세상의 모든 것을 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無上士 주015)
무상사(無上士):
여래십호의 하나. 부처님은 유정(有情) 가운데 가장 높은 어른으로 명과 행, 빛과 지혜, 사랑을 모두 갖춘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지혜와 복덕을 갖춤은 물론 계행(戒行) 등이 완전하여 이보다 더 완전한 이가 없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調御丈夫 주016)
조어장부(調御丈夫):
여래십호의 하나. 부처님은 대자(大慈), 대비(大悲), 대지(大智)로써 중생에 대하여 부드러운 말, 간절한 말, 또는 여러 가지 말을 써서 조복제어(調伏制御)하고, 정도(正道)를 잃지 않게 하는 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天人師 주017)
천인사(天人師):
여래십호의 하나. 천신(天神)과 인간들의 스승이라는 뜻으로, 석가모니가 정법(正法)으로 천신과 인간들을 가르쳐 이끌어 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佛 世

석보상절 20:6ㄴ

주018)
불세존(佛世尊):
여래십호의 하나. 부처님은 깨달은 분이니, 세상에서 존경해야 할 것이며, 또 존경을 받아야 할 성인 가운데 대성인(大聖人), 곧 정각자(正覺者)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러시니 주019)
-이러시니:
이시더니. ‘-이러시니’는 ‘-이(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24ㄱ

그 부톄 宿王華菩薩 니샤 디나건 無量 恒河沙 劫에 부톄 겨샤 號ㅣ 日月淨明德 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월인석보 18:24ㄴ

天人師 世尊이러시니【智慧眞光이 幽明을  비취샤≪幽는 어드 씨라≫ 物의 버므류미 외디 아니실 號 日月淨明德이시니라】

〔6:133ㄱ〕二佛示往因三 一所師之佛
〔법화경〕爾時宿王華菩薩샤 乃往過去無量恒河沙劫에 有佛샤 號ㅣ 日月淨明德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6:133ㄴ〕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佛世尊이러시니

〔법화경언해〕○그 부톄 宿王華菩薩려 니샤 디나건 無量 恒河沙 劫에 부톄 겨사 일후미 日月淨明德 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世尊이러시니

〔계환해〕智慧眞光이 幽明을 並燭샤 不爲物累실 故로 號ㅣ 日月淨明德이시니라

〔계환해언해〕○智慧 眞光이 어드우며   다 비취샤 物의 범그로미 외디 아니실 號ㅣ 日月淨明德이시니라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2]
부처께서 수왕화보살께 이르셨다. “지나간 무량 항하사의 겁(劫)에 부처께서 계셨는데, 명호(名號)가 일월정명덕(日月淨明德) 여래(如來), 응공(應供), 정변지(正遍知), 명행족(明行足), 선서(善逝), 세간해(世間解), 무상사(無上士), 조어장부(調御丈夫), 천인사(天人師), 불세존(佛世尊) 등이셨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부텨’에 주격조사 ‘ㅣ’가 통합되어 성조가 평성(平聲)인 ‘부텨’에서 상성(上聲)인 ‘부:톄’로 바뀌었다.
주002)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告]+샤(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03)
디나건:지나간. 디나-[往]+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4)
항하사(恒河沙):항하(恒河, 지금의 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無數), 무량(無量)의 대수를 비유하여 이른 말. 극(極)의 억(億) 곱절이면서 아승기(阿僧衹)의 1억분의 1이다.
주005)
겁(劫):‘천지가 한 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 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으로 매우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르는 말.
주006)
겨샤:계시되. 겨-[有]+샤(선어말어미)+오(설명형어미).
주007)
호(號)ㅣ:호(號)가. 명호(名號)가. 이름이. ‘ㅣ’는 주격조사.
주008)
일월정명덕(日月淨明德):여러 보살 중 하나이다. 지난 과거 한량없는 항하사 겁(劫)에 출현하였던 부처이다. 4만2천 겁 동안 이 세상에 머물며 중생을 제도하였는데, 해와 달보다도 더 밝고 청정한 덕을 갖추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주009)
여래(如來):교화(敎化)를 위해 진여(眞如)에서 이 세상에 왔다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서 이르는 말.
주010)
응공(應供):여래십호(如來十號)의 하나. 범어 ‘arhat’를 의역한 말인데, 한역 경전에서는 ‘아라가(阿羅伽)’로 음역하고 있다. ‘온갖 번뇌를 끊어서 인간과 천상(天上)의 모든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덕을 갖춘 사람’이란 뜻으로 부처님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주011)
정변지(正遍知):정변각(正遍覺)이라고도 하는 여래십호의 하나. 등정각(等正覺), 정등각(正等覺), 등각(等覺), 정각(正覺)이라고도 번역한다. 부처님은 모든 지혜를 갖추어 온 우주간의 마음과 사물의 현상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것이 없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2)
명행족(明行足):여래십호의 하나. 삼명(三明)의 신통한 지혜와 육도만행(六度萬行)을 갖추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3)
선서(善逝):여래십호의 하나. 잘 가신 분이라는 뜻으로 피안(彼岸)에 가서 다시는 이 세상에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주014)
세간해(世間解):여래십호의 하나. 세상의 모든 것을 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5)
무상사(無上士):여래십호의 하나. 부처님은 유정(有情) 가운데 가장 높은 어른으로 명과 행, 빛과 지혜, 사랑을 모두 갖춘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지혜와 복덕을 갖춤은 물론 계행(戒行) 등이 완전하여 이보다 더 완전한 이가 없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6)
조어장부(調御丈夫):여래십호의 하나. 부처님은 대자(大慈), 대비(大悲), 대지(大智)로써 중생에 대하여 부드러운 말, 간절한 말, 또는 여러 가지 말을 써서 조복제어(調伏制御)하고, 정도(正道)를 잃지 않게 하는 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7)
천인사(天人師):여래십호의 하나. 천신(天神)과 인간들의 스승이라는 뜻으로, 석가모니가 정법(正法)으로 천신과 인간들을 가르쳐 이끌어 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018)
불세존(佛世尊):여래십호의 하나. 부처님은 깨달은 분이니, 세상에서 존경해야 할 것이며, 또 존경을 받아야 할 성인 가운데 대성인(大聖人), 곧 정각자(正覺者)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19)
-이러시니:이시더니. ‘-이러시니’는 ‘-이(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