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3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3]
외야 주001)
외야:
다시. 외야[復](부사).
貪欲 주002)
탐욕(貪慾):
탐욕(貪慾)이. ‘’는 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왔다. ‘탐욕(貪慾)’은 3독(毒)의 하나로 자기의 뜻에 맞는 일이나 물건을 애집(愛執)으로 탐내고, 만족할 줄 모르는 것을 이른다.
어즈류미 주003)
어즈류미:
어지럽게 하는 것이. 어지럽게 함이. 어즈리-[所腦]+옴/움(명사형어미)+이(보격조사).
아니 주004)
아니:
아니. 안. 아니[不](부사).
외며 주005)
외며:
되며. 외-[爲]+며(대등적 연결어미).
 외야 嗔心 주006)
진심(嗔心):
근본 번뇌(煩惱)이고, 3독(毒)의 하나이다. 범어로는 ‘dveșa’이다.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경계(境界)에 대하여 미워하고 분(憤)하게 여겨 몸과 마음을 편안치 못하게 하는 생리 작용을 이른다. 곧 진에(嗔恚)이다.
미혹호 주007)
미혹호:
미혹(迷惑)함이. 미혹(迷惑)하게 하는 것이. 미혹(迷惑)-+옴/움(명사형어미)+(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이나 관형절의 경우 주어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오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어즈류미 아니 외며  외야 주008)
:
뜻이. [意].
되며 주009)
되며:
심하며. 되-[驕慢]+며(대등적 연결어미).
새옴  주010)
새옴:
시새움들이. 새옴[嫉妬]+ㅎ(복수접미사)+(관형격조사).
어즈류미 아니 외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54ㄴ

외야 貪欲 보차요미 아니 외며  瞋恚 愚癡의 보차요미 아니 외며  憍慢 嫉妬 여러 가짓 의 보차

월인석보 18:55ㄱ

요미 아니외야 【貪 瞋 癡 根本煩惱ㅣ오 憍慢 嫉妬 等엣  조 煩惱ㅣ니 마 安養애 나 브툰 히 조 業이오 모 사미 善人일  보차미 업스리라】

〔법화경〕〔6:174ㄴ〕 不復爲貪欲의 所惱며 亦復不爲瞋恚愚癡의 所惱며 亦復不爲憍慢嫉妬諸垢의 所惱〔6:175ㄱ〕야

〔법화경언해〕○외야 貪欲의 보차미 아니 외며  瞋恚 愚癡의 보차미 아니 외며  憍慢 嫉妬 여러 가짓 의 보차미 아니 외야

〔계환해〕貪瞋癡 爲根本煩惱ㅣ오 憍嫉等垢 爲隨煩惱ㅣ니 既生安養면 所依者ㅣ 淨業이며 所會者ㅣ 善人일 故로 無垢惱也리라

〔계환해언해〕○貪嗔癡 根本 煩惱ㅣ오 憍嫉햇 【제 性을 더러일 라】 조 煩惱ㅣ니 【隨煩惱 貪瞋癡 됴티 몯 根을 니니 瞋恚纏은  니 일후미 忿이오 안해 怨歎을  일후미 恨이오 한 모딘 이 숨겨 촐 일후미 覆ㅣ오 더러우며 놀라 두〔6:175ㄴ〕릴 일후미 熱惱ㅣ오  榮華 깃디 아니 일후미 嫉이오 資生홀 꺼세 더러이 앗교 기피 머글 일후미 慳이오  소교 爲야 안해 다  먹고 밧긔 各別  나톨 일후미 誑이오 미 正直디 몯야 알며 行호미 邪曲 일후미 諂이오 지 罪예 제 붓그리디 아니호려  일후미 慚이오 지 罪예 미 븟그리디 아니콰뎌  일후미 愧오  사오나온 게 내 더우라 너겨 미 노피 들이게  일후미 慢이오 得디 몯 거슬 得호라  씨 일후미 增上慢이오 實로 德 업수 제 모미 德 이슈라 너길 일후미 邪慢이오 매 더러운  머거 榮華로이 기류믈 미더  큰  일후미 憍ㅣ오 여러 됴 品에 〔6:176ㄱ〕브즈러니 닷고 즐기디 아니코 여러 모딘 法에 미 마곰 업슬 일후미 放逸이오 여러 尊重과  福田에 미 恭敬 아니 일후미 傲ㅣ오【傲  업시울 씨라】 매 더러운  머거 제 德 나토려 야 거즛 擧動 나톨 일후미 矯ㅣ라【矯 거츨 씨라】 根本 煩惱 조차 날 隨煩惱ㅣ라】마 安養애 나면 브튼 히 조 業이며 모 사미 善人일  보차미 업스리라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3]
다시는 탐욕이 어지럽게 하는 것이 아니 되며(없을 것이며), 또 다시 진심(嗔心)과 미혹(迷惑)함이 어지럽게 하는 것이 아니 되며(없을 것이며), 또한 다시 뜻이 심하며 시새움이 어지럽게 하는 것이 아니 되는(없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외야:다시. 외야[復](부사).
주002)
탐욕(貪慾):탐욕(貪慾)이. ‘’는 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왔다. ‘탐욕(貪慾)’은 3독(毒)의 하나로 자기의 뜻에 맞는 일이나 물건을 애집(愛執)으로 탐내고, 만족할 줄 모르는 것을 이른다.
주003)
어즈류미:어지럽게 하는 것이. 어지럽게 함이. 어즈리-[所腦]+옴/움(명사형어미)+이(보격조사).
주004)
아니:아니. 안. 아니[不](부사).
주005)
외며:되며. 외-[爲]+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6)
진심(嗔心):근본 번뇌(煩惱)이고, 3독(毒)의 하나이다. 범어로는 ‘dveșa’이다.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경계(境界)에 대하여 미워하고 분(憤)하게 여겨 몸과 마음을 편안치 못하게 하는 생리 작용을 이른다. 곧 진에(嗔恚)이다.
주007)
미혹호:미혹(迷惑)함이. 미혹(迷惑)하게 하는 것이. 미혹(迷惑)-+옴/움(명사형어미)+(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이나 관형절의 경우 주어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오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주008)
:뜻이. [意].
주009)
되며:심하며. 되-[驕慢]+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0)
새옴:시새움들이. 새옴[嫉妬]+ㅎ(복수접미사)+(관형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