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
華德네 다 주001)
네 다:
네가 다만. 너[汝]+ㅣ(주격조사)#다[但](부사). ‘:네’는 주격통합이어서 상성(上聲)으로 성조(聲調)의 변동이 있다.
妙音菩薩 모미 주002)
묘음보살(妙音菩薩) 모미:
묘음보살(妙音菩薩)의 몸이. ‘’는 관형격조사이다. ‘모미’는 ‘몸[身]+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이 잇논 주를 주003)
이 잇논 주를:
여기에 있는 줄(것)을. 이[此]# 잇-[在]+(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의존명사)+을(목적격조사).
봀 분 주004)
봀 분:
볼 뿐이언정. 볼 뿐이지만. 보-[見]+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뎡(〈이언). ‘’은 조사 ‘이언’과 같은 뜻을 가진 형태로 보이지만, 그 용례가 흔하지 않다.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뒤의 사실이 그에 매이지 않음을 나타내는 ‘이언정’의 직접 소급형인데, ‘이언’이 널리 쓰인 것에 비해 이 형태는 매우 드문 편이다. 이 표현 ‘봀 분’을 『월인석보』나 『법화경언해』에서는 모두 ‘보건마’이라고 옮겼다.
이 菩薩이 種種앳 주005)
종종(種種)앳:
가지가지의. 종종(種種)의. ‘앳’은 처소격과 관형격의 통합형 조사이다.
모 現야 주006)
모 현(現)야:
몸을 현(現)하여. 몸을 나타내어.
곧곧마다 주007)
곧곧마다:
곳곳마다. 이곳저곳. 곧곧[處處](명사)+마다(보조사).
衆生 주008)
중생(衆生):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이다.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라고도 한다.
위야 이 經典을 닐오 주009)
닐오:
말하되. 말씀하되. 니-[說]+오/우(설명형 연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84ㄴ

華德아 네 오직 妙音菩薩 모미 예 잇  보건마 이 菩薩이 種種 모 現야 곧고대 衆生 爲야 이 經典을 니니妙音 觀音의 應야 化샤미 다 能히 十界ㅅ 모 現시니 天 人 地

월인석보 18:85ㄱ

獄 餓鬼 畜生 脩羅ㅣ 六凡이오 聲聞 辟支 菩薩 佛이 四聖이시니 이 十界라】

법화경 7:26ㄱ

四明應化二 初總舉
〔법화경〕

법화경 7:26ㄴ

華德아 汝ㅣ 但見妙音菩薩의 其身이 在此ㅣ언마 而是菩薩이 現種種身야 處處에 爲諸衆生야 說是經典니

〔법화경언해〕○華德아 네 오직 妙音菩薩의 모미 예 잇  보건마 이 菩薩이 種種 모 現야 곧고대 諸衆生 爲야 이 經典을 니니

二別明
〔계환해〕妙音 觀音ㅅ 應化ㅣ 皆能現十界身시니 自天人獄鬼畜修羅 名六凡이오 聲聞辟支菩薩佛은 名四聖이시니 是爲十界니

〔계환해언해〕○妙音 觀音ㅅ 應야 化샤미 다 能히 十界

법화경 7:27ㄱ

옛 모 나토시니 天 人 獄 鬼 畜 脩羅 일후미 六凡이오 聲聞 辟支 菩薩 佛은 일후미 四聖이시니 이 十界니

[묘음보살의 신통력과 지혜에 대한 석존의 설법 1]
화덕아, 네가 다만 묘음보살의 몸이 여기에 있는 것을 볼 뿐이지만, 이 보살이 가지가지의 몸을 현하여 곳곳마다 중생을 위하여 이 경전을 설했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네 다:네가 다만. 너[汝]+ㅣ(주격조사)#다[但](부사). ‘:네’는 주격통합이어서 상성(上聲)으로 성조(聲調)의 변동이 있다.
주002)
묘음보살(妙音菩薩) 모미:묘음보살(妙音菩薩)의 몸이. ‘’는 관형격조사이다. ‘모미’는 ‘몸[身]+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03)
이 잇논 주를:여기에 있는 줄(것)을. 이[此]# 잇-[在]+(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줄(의존명사)+을(목적격조사).
주004)
봀 분:볼 뿐이언정. 볼 뿐이지만. 보-[見]+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뎡(〈이언). ‘’은 조사 ‘이언’과 같은 뜻을 가진 형태로 보이지만, 그 용례가 흔하지 않다.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뒤의 사실이 그에 매이지 않음을 나타내는 ‘이언정’의 직접 소급형인데, ‘이언’이 널리 쓰인 것에 비해 이 형태는 매우 드문 편이다. 이 표현 ‘봀 분’을 『월인석보』나 『법화경언해』에서는 모두 ‘보건마’이라고 옮겼다.
주005)
종종(種種)앳:가지가지의. 종종(種種)의. ‘앳’은 처소격과 관형격의 통합형 조사이다.
주006)
모 현(現)야:몸을 현(現)하여. 몸을 나타내어.
주007)
곧곧마다:곳곳마다. 이곳저곳. 곧곧[處處](명사)+마다(보조사).
주008)
중생(衆生):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이다.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라고도 한다.
주009)
닐오:말하되. 말씀하되. 니-[說]+오/우(설명형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