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3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3]
그 주001)
그:
그때. 그때에. 그[爾]#[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釋迦牟尼佛文殊師利 니샤 久滅度 주002)
이 구멸도(久滅度):
이 오래 전에 멸도(滅度)한. ‘멸도(滅度)’는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으로 열반을 옮긴 말이다.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를 이른다.
多寶如來 주003)
다보여래(多寶如來):
범어로 ‘prabhūtaratna’라고 한다. 동방(東方) 보정세계(寶淨世界)의 교주(敎主)이다. 보살로 있을 때 자기가 성불(成佛)하여 멸도한 뒤 시방세계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곳에는 자기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할 것이라고 서원(誓願)한 부처님이라고 한다. ‘다보여래(多寶如來)’의 끝음절인 ‘來’ 다음에서 ‘주격 ∅’이 실현되었다.
너희 위야 주004)
너희 위야:
너희를 위하여. 너희[汝等]#위(爲)-+아/어/야(연결어미). ‘爲-’의 ‘爲’ 자가 정음으로 적혔다.
그  주005)
그 :
그 모습을. ‘’는 한자 ‘樣子/樣姿’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 문헌부터 정음으로 적혔다. 당시에 이미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표기이다.
뵈시

석보상절 20:41ㄱ

리라
주006)
뵈시리라:
보이실 것이다. 나타내실 것이다. 보이시리라. 보-[現]+ㅣ(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의 기능이 내재되어 있다.
그저긔 주007)
그저긔:
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多寶佛 주008)
다보불(多寶佛)이:
다보불(多寶佛)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다보불’은 ‘다보여래(多寶如來)’이다.
뎌 菩薩 주009)
뎌 보살(菩薩):
저 보살(菩薩)께. 뎌[彼](지시관형사)#보살(菩薩)+(높임의 여격조사). 여기서의 ‘보살’은 ‘묘음보살(妙音菩薩)’을 이른다.
니샤 善男子아 주010)
선남자(善男子)아:
선남자(善男子)야. ‘선남자’는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성을 이른다. ‘아’는 평칭의 호격조사이다.
오나라 주011)
오나라:
오너라. 오-[來]+나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文殊師利法王子네 모 주012)
네 모:
너의 몸을. 네 모습을. 너[汝]+ㅣ(관형격조사)#몸[身]+(목적격조사).
보고져 주013)
보고져:
보고자. 보-[見]+고져(의도형 연결어미).
다 주014)
다:
한다. -+(직설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76ㄱ

그 釋迦牟尼佛文殊師利 니샤 이 久滅度 多寶如來 너희 爲야 相 나토시리라 그 多寶佛이 뎌 菩薩 니샤 善男子아 오라 文殊

월인석보 18:76ㄴ

師利法王子
ㅣ 네 모 보고져 다文殊는 願샤 世尊이 神通力으로 妙音을 나토시과뎌 야시 世尊 도 多寶 命샤 多寶ㅣ 神通 願力으로 곧마다 經을 證실 神通 願力을 빌오져 시니라】

법화경 7:16ㄴ

六多寶爲現
〔법화경〕爾時釋迦牟尼佛이 告文殊師利샤 此久滅度多寶如來ㅣ 當爲汝等샤 而現其相시리라 時多寶佛이 告彼菩薩샤 善男子아 來라 文殊師利法王子ㅣ 欲見汝身다

〔법화경언해〕

법화경 7:17ㄱ

○그 釋迦牟尼佛文殊師利려 니샤 이 오란 滅度 多寶如來ㅣ 반기 너희 爲샤 그 相 나토시리라 그 多寶佛이 뎌 菩薩 니샤 善男子아 오라 文殊師利法王子ㅣ 네 모 보고져 다

〔계환해〕文殊ㅣ 願世尊이 以神通力으로 爲現妙音이어시 而世尊이 反命多寶者 多寶ㅣ 以

법화경 7:17ㄴ

神通願力으로 在處에 證經실 欲假其神通願力故也ㅣ시니라

〔계환해언해〕○文殊世尊이 神通力으로 妙音을 爲야 現시과뎌 願커시 世尊이 도 多寶 命샤 多寶ㅣ 神通願力으로 在處에 經을 證실 神通願力을 빌오져 샨 젼시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3]
그때에 석가모니불문수사리께 이르셨다. “이 오래 전에 멸도하신 다보여래(多寶如來)가 너희를 위하여 그 모습을 보이실 것이다.” 그때에 다보불(多寶佛)이 저 보살께 이르셨다. “선남자야, 오너라. 문수사리 법왕자가 네 몸을 보고자 한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 그때에. 그[爾]#[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이 구멸도(久滅度):이 오래 전에 멸도(滅度)한. ‘멸도(滅度)’는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으로 열반을 옮긴 말이다.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를 이른다.
주003)
다보여래(多寶如來):범어로 ‘prabhūtaratna’라고 한다. 동방(東方) 보정세계(寶淨世界)의 교주(敎主)이다. 보살로 있을 때 자기가 성불(成佛)하여 멸도한 뒤 시방세계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곳에는 자기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할 것이라고 서원(誓願)한 부처님이라고 한다. ‘다보여래(多寶如來)’의 끝음절인 ‘來’ 다음에서 ‘주격 ∅’이 실현되었다.
주004)
너희 위야:너희를 위하여. 너희[汝等]#위(爲)-+아/어/야(연결어미). ‘爲-’의 ‘爲’ 자가 정음으로 적혔다.
주005)
그 :그 모습을. ‘’는 한자 ‘樣子/樣姿’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 문헌부터 정음으로 적혔다. 당시에 이미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표기이다.
주006)
뵈시리라:보이실 것이다. 나타내실 것이다. 보이시리라. 보-[現]+ㅣ(사동접미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의 기능이 내재되어 있다.
주007)
그저긔: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8)
다보불(多寶佛)이:다보불(多寶佛)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다보불’은 ‘다보여래(多寶如來)’이다.
주009)
뎌 보살(菩薩):저 보살(菩薩)께. 뎌[彼](지시관형사)#보살(菩薩)+(높임의 여격조사). 여기서의 ‘보살’은 ‘묘음보살(妙音菩薩)’을 이른다.
주010)
선남자(善男子)아:선남자(善男子)야. ‘선남자’는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성을 이른다. ‘아’는 평칭의 호격조사이다.
주011)
오나라:오너라. 오-[來]+나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2)
네 모:너의 몸을. 네 모습을. 너[汝]+ㅣ(관형격조사)#몸[身]+(목적격조사).
주013)
보고져:보고자. 보-[見]+고져(의도형 연결어미).
주014)
다:한다. -+(직설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