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 명음식지절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음식지절 001


肉雖슈多다ㅣ나 不블使勝食氣긔시며 唯유酒쥬無무量호 不블及급亂란시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고기 비록 하도 주001)
하도:
많아도. 하-[多](형용사 어간)+아도(연결 어미). ‘-아도’는 ‘아(연결 어미)+도(보조사)’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긔우늘 주002)
긔우늘:
기운을. 긔운(氣運)+을.
이긔디 몯게 주003)
몯게:
못하게. 몯[不能]+ᄒᆞ-+게(연결 어미). 어근 끝의 무성 자음 뒤에서 ‘ᄒᆞ-’가 탈락한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몯게’만 쓰이다가 『삼강행실도』 이후의 문헌에서 ‘몯ᄒᆞ게’도 보인다. ¶말 몯게 도외시니라〈삼강행실도 동경대본 충 33ㄴ〉.
시며 오직 수우를 주004)
수우를:
술을. 수울[酒]+을(목적격 조사). 수을〉수울. 『두시언해』(초간본)에서 ‘수을’과 ‘수울’이 다 나타난다. ¶①노 거나 婬亂 맛들어나 수으를 즐기거나〈석보상절 9:37ㄱ〉 ②嘉州 수으리 므겁고 고지 樓의 얫도다(嘉州酒重花滿樓)〈두시언해 초간본 8:27ㄴ〉 ③樓 우희셔 수울 먹고 樓 아래 누어셔(樓頭喫注樓下臥)〈두시언해 초간본 8:28ㄱ〉. ‘술’은 고려 시대의 언어를 기록한 『계림유사』에 ‘酥孛(현대 한자음: 수패)’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당시의 ‘수블(수ᄫᅳᆯ)’을 전사(轉寫)한 것이다. ‘수블(수ᄫᅳᆯ)’의 ‘ㅂ(ㅸ)’이 약화하여 ‘수을’로 발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주005)
그ᅀᅳᆷ:
끝. 한계. 한정. ‘-음’은 명사 파생 접미사인데, 어근이 ‘그ᇫ-’인지 ‘그ᅀᅳ-’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비록 근대 국어 문헌이기는 하지만, ‘긋다’가 있으므로 ‘그ᅀᅳᆷ’의 어근은 ‘그ᇫ-’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劃了 획 긋다 打沿道  획 긋다〈역어유해보 11ㄴ〉. 그러나 중세 국어 시기에 [引]을 뜻하는 ‘그ᅀᅳ-’가 있었는데, 의미 면에서 ‘어떤 물체를 끌어 당기다’와 ‘줄을 긋다’는 무관하지 않아 보이기 때문에 중세 국어 시기의 ‘그ᅀᅳ-’가 ‘줄을 긋다’란 뜻을 지녔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아니샤 주006)
아니ᄒᆞ샤ᄃᆡ:
아니하시되. ᄒᆞ-[爲]+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미란호매 주007)
미란호매:
미란(迷亂)함에. 혼미함에.
밋디 주008)
밋디:
미치지. 및-[及]+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니케 시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고기가 비록 많아도 밥 기운을 이기지 못하게 하셨으며, 오직 술을 〈그 양을〉 한정 짓지 않으셨지만, 〈마음이〉 어지러워짐에 미치지 않게 하셨으며,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음식은 곡식을 위주로 하므로, 고기가 밥의 기운을 이기지 못하게 하신 것이다. 술은 남들과 즐거움을 함께 하는 것이므로 양을 정하지 않으시고, 다만 취하시는 것을 절도로 삼아 어지러움에 미치지 않으셨을 뿐이다.”(朱子曰 食以穀爲主 故不使肉勝食氣 酒以爲人合懽 故不爲量 但以醉爲節 而不及亂耳).
※보유(補遺)
『번역소학』 권4의 뒷 부분(29ㄱ 이후)에 낙장이 있다. 이에 해당하는 『소학언해』의 원문과 언해문을 전재(轉載)하고, 언해문에 대한 현대어 번역문과 해설을 붙인다. 주009)
낙장 부분의 내용에 대하여는 해제를 참조할 것.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하도:많아도. 하-[多](형용사 어간)+아도(연결 어미). ‘-아도’는 ‘아(연결 어미)+도(보조사)’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주002)
긔우늘:기운을. 긔운(氣運)+을.
주003)
몯게:못하게. 몯[不能]+ᄒᆞ-+게(연결 어미). 어근 끝의 무성 자음 뒤에서 ‘ᄒᆞ-’가 탈락한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몯게’만 쓰이다가 『삼강행실도』 이후의 문헌에서 ‘몯ᄒᆞ게’도 보인다. ¶말 몯게 도외시니라〈삼강행실도 동경대본 충 33ㄴ〉.
주004)
수우를:술을. 수울[酒]+을(목적격 조사). 수을〉수울. 『두시언해』(초간본)에서 ‘수을’과 ‘수울’이 다 나타난다. ¶①노 거나 婬亂 맛들어나 수으를 즐기거나〈석보상절 9:37ㄱ〉 ②嘉州 수으리 므겁고 고지 樓의 얫도다(嘉州酒重花滿樓)〈두시언해 초간본 8:27ㄴ〉 ③樓 우희셔 수울 먹고 樓 아래 누어셔(樓頭喫注樓下臥)〈두시언해 초간본 8:28ㄱ〉. ‘술’은 고려 시대의 언어를 기록한 『계림유사』에 ‘酥孛(현대 한자음: 수패)’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당시의 ‘수블(수ᄫᅳᆯ)’을 전사(轉寫)한 것이다. ‘수블(수ᄫᅳᆯ)’의 ‘ㅂ(ㅸ)’이 약화하여 ‘수을’로 발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주005)
그ᅀᅳᆷ:끝. 한계. 한정. ‘-음’은 명사 파생 접미사인데, 어근이 ‘그ᇫ-’인지 ‘그ᅀᅳ-’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비록 근대 국어 문헌이기는 하지만, ‘긋다’가 있으므로 ‘그ᅀᅳᆷ’의 어근은 ‘그ᇫ-’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劃了 획 긋다 打沿道  획 긋다〈역어유해보 11ㄴ〉. 그러나 중세 국어 시기에 [引]을 뜻하는 ‘그ᅀᅳ-’가 있었는데, 의미 면에서 ‘어떤 물체를 끌어 당기다’와 ‘줄을 긋다’는 무관하지 않아 보이기 때문에 중세 국어 시기의 ‘그ᅀᅳ-’가 ‘줄을 긋다’란 뜻을 지녔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주006)
아니ᄒᆞ샤ᄃᆡ:아니하시되. ᄒᆞ-[爲]+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주007)
미란호매:미란(迷亂)함에. 혼미함에.
주008)
밋디:미치지. 및-[及]+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09)
낙장 부분의 내용에 대하여는 해제를 참조할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