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번역소학 권4:17ㄴ

子ㅣ 見견齊衰최者쟈시고 雖슈狎압이니 必필變변시며 見견冕면者쟈와 與여瞽고者쟈시고 雖슈褻셜이나 必필以이貌모시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孔子ㅣ 주001)
고ᇰᄌᆞㅣ:
공자(孔子)께서. 『소학언해』(3:15ㄴ)에서는 ‘子ㅣ’로 바꾸고, 그 대신 ‘子’에 대하여 ‘孔子ㅣ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거 주002)
거사ᇰ:
거상(居喪). 상중(喪中)에 있음. ‘거사ᇰ 니브니’는 ‘齊衰’의 번역이다. ‘齊衰’는 ‘상복(喪服)’을 뜻할 때에는 ‘ᄌᆡ최’로 읽혔다. 이 경우의 오늘날의 독음은 ‘자최’이다(‘齊’의 독음에 대하여는 이 책 3:4ㄴ, 27ㄱ, 4:17ㄴ을 참조할 것).
니브니 주003)
니브니ᄅᆞᆯ:
입은 이를. 닙-[服]+은(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ᄅᆞᆯ(목적격 조사).
보시고 비록 졸아와도 주004)
졸아와도:
친근하여도. 졸압-[親]+아도(연결 어미). ‘-아도’는 연결 어미 ‘-아’와 보조사 ‘도’가 결합한 ‘-아도’가 보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ᄌᆞ올압다〉조랍다. ¶①親 올아 씨오 近은 갓가 씨라〈석보상절 13:15ㄴ〉 ②늘거 가매 올아이 아논 사  보미 드므도다〈두시언해 초간본10:46ㄴ〉. ‘ᄌᆞ올압-’의 ‘ㄹ’이 연철되지 않는 것은 ‘-압-’의 소급형이 ‘-갑-’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책에 ‘조라이’(4:3ㄱ, 7ㄱ)와 ‘졸아와도(=친근하여도)(4:17ㄴ)’가 있다. 여기의 ‘졸아와도’는 『소학언해』(3:15ㄴ)에서 ‘졸아오나’로 바뀌었다.
모로매 주005)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5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비 주006)
ᄂᆞᆺ비ᄎᆞᆯ:
낯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골, 얼굴’은 [身, 體]를 뜻한다. 그리고 ‘낯’은 [箇]를 뜻한다.
고티시며 벼 주007)
벼ᄉᆞᆯ:
벼슬. 이 책에서는 ‘벼슬’(3:8ㄴ, 9ㄱ ; 4:16ㄱ)도 쓰였다. ‘벼ᄉᆞᆯ 노ᄑᆞᆫ 관ᄃᆡ ᄒᆞ니와’를 『소학언해』(3:15ㄴ)에서 ‘冕ᄒᆞ니와’으로 바꾸고, ‘冕’에 대하여 ‘벼슬 노ᄑᆞᆫ 사ᄅᆞᆷ의 쓰ᄂᆞᆫ 거시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노 관니와 눈머니 주008)
눈머니:
눈먼 이.
 보시고 비록 아도이 주009)
아ᄅᆞᆷ도이:
사사로이. 아ᄅᆞᆷ[私](불규칙적 어근)+되(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연결 어미). ‘-되이’가 ‘-도이’로 적힐 수 있는 것은 ‘ㅚ’가 이중 모음이었기 때문이다. ‘아도이 겨신 히라도’가 『소학언해』(2:47ㄴ)에서는 ‘ᄉᆞᄉᆞ로운 ᄃᆡ나’로 바뀌었다. ‘-되-’는 ‘-ᄃᆞᄫᆡ-’가 발달한 것이다. 중세 국어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 ‘-답-, -롭-, -되-’는 모두 여기서 발달하였다. 한편 ‘아ᄅᆞᆷ’은 [私]를 뜻하는 명사였다. ¶그위 바도 容納 몯거니와 아뎌 車馬 通니라(官不容針 私通車馬) 그윗 門엔 아 容納 몯거니와 鄕黨앤 엇뎨 情이 업스리오【鄕 올히오 黨 서르 사괴 무리라】 (公門不容私 鄕黨豈無情)〈금강경삼가해 4:33ㄴ〉. 이 예문은 서로 이어져 있는 ‘야보송(冶父頌)’과 ‘설의(說誼)’를 다 인용한 것이다. 여기서 ‘아ᄅᆞᆷ’이 명사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이 ‘아ᄅᆞᆷ’과는 별개로 [美]를 뜻하는 불규칙적 어근 ‘아ᄅᆞᆷ’도 있었다. ‘아ᄅᆞᆷ답-’은 [美]를 뜻하고, ‘아ᄅᆞᆷᄃᆞᆸ-, 아ᄅᆞᆷᄃᆞ외-, 아ᄅᆞᆷ도이’는 [私]를 뜻한다.
겨신 주010)
겨신:
이 책에서는 ‘계시거든(3:28ㄱ), 겨시거든(3:32ㄱ)’이 보인다.
히라도 주011)
ᄯᅡ히라도:
자리라 하더라도. ᄯᅡㅎ[地](ㅎ말음체언)+이-(서술격 조사 어간)+라도(연결 어미). 주어는 생략되었다. ‘-라도’는 연결 어미 ‘-어/아’의 이형태인 ‘-라’에 보조사 ‘도’가 결합한 것이다. 서술격 조사 어간 뒤에서 ‘-어/아’가 ‘-라’로 교체되는 것은 현대 국어에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이 현상은 ‘이-’의 기원이 ‘일-’이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례도 주012)
례도:
‘예모’의 오각이다. ‘예모’는 ‘禮貌(예절바른 몸가짐)’이다. 『소학언해』(3:15ㄴ)에서는 ‘녜모’로 나타난다.
시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공자(孔子)께서는 거상(居喪) 입은 사람을 보시고는 비록 친근한 사이라 하더라도 모름지기 낯빛을 고치셨고, 벼슬 높은 관대(冠帶)를 한 사람과 눈먼 사람을 보시고는 비록 사사로운 자리라 하더라도 예모(禮貌)를 차리셨으며,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해) : 자최(齊衰)는 상복(喪服)이다. 압(狎)은 본래부터 아주 친한 것을 말하고, 변(變)은 얼굴빛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면(冕)은 벼슬이 있는 사람이고, 고(瞽)는 눈이 없는 사람이다. 설(褻)은 사사로이 만남을 말하고, 모(貌)는 예모(禮貌)를 말한다. 범씨(范氏)가 말하였다. “성인(聖人)의 마음은 상(喪)을 당한 사람을 보시면 슬퍼하시고 벼슬이 있는 사람은 존중하시고 온전하지 않은 사람은 가엾게 여기셨다.”(齊衰喪服 狎謂素親狎 變謂變色 冕有爵者 瞽無目者 褻謂燕見 貌謂禮貌 范氏曰 聖人之心 哀有喪 尊有爵 矜不成人). 이충구 외(2019a:226)에서는 범씨(范氏)를 북송 때 학자 범조우(范祖禹, 1041~1098)라 하였다. 범조우는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하였다. 그의 아들인 범충(范沖, 1067~1142)은 자(字)가 익겸(益謙)이며, 사관(史官)으로서 『자치통감(資治通鑑)』, 『신종실록(神宗實錄)』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ᇰᄌᆞㅣ:공자(孔子)께서. 『소학언해』(3:15ㄴ)에서는 ‘子ㅣ’로 바꾸고, 그 대신 ‘子’에 대하여 ‘孔子ㅣ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주002)
거사ᇰ:거상(居喪). 상중(喪中)에 있음. ‘거사ᇰ 니브니’는 ‘齊衰’의 번역이다. ‘齊衰’는 ‘상복(喪服)’을 뜻할 때에는 ‘ᄌᆡ최’로 읽혔다. 이 경우의 오늘날의 독음은 ‘자최’이다(‘齊’의 독음에 대하여는 이 책 3:4ㄴ, 27ㄱ, 4:17ㄴ을 참조할 것).
주003)
니브니ᄅᆞᆯ:입은 이를. 닙-[服]+은(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ᄅᆞᆯ(목적격 조사).
주004)
졸아와도:친근하여도. 졸압-[親]+아도(연결 어미). ‘-아도’는 연결 어미 ‘-아’와 보조사 ‘도’가 결합한 ‘-아도’가 보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ᄌᆞ올압다〉조랍다. ¶①親 올아 씨오 近은 갓가 씨라〈석보상절 13:15ㄴ〉 ②늘거 가매 올아이 아논 사  보미 드므도다〈두시언해 초간본10:46ㄴ〉. ‘ᄌᆞ올압-’의 ‘ㄹ’이 연철되지 않는 것은 ‘-압-’의 소급형이 ‘-갑-’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책에 ‘조라이’(4:3ㄱ, 7ㄱ)와 ‘졸아와도(=친근하여도)(4:17ㄴ)’가 있다. 여기의 ‘졸아와도’는 『소학언해』(3:15ㄴ)에서 ‘졸아오나’로 바뀌었다.
주005)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5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6)
ᄂᆞᆺ비ᄎᆞᆯ:낯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골, 얼굴’은 [身, 體]를 뜻한다. 그리고 ‘낯’은 [箇]를 뜻한다.
주007)
벼ᄉᆞᆯ:벼슬. 이 책에서는 ‘벼슬’(3:8ㄴ, 9ㄱ ; 4:16ㄱ)도 쓰였다. ‘벼ᄉᆞᆯ 노ᄑᆞᆫ 관ᄃᆡ ᄒᆞ니와’를 『소학언해』(3:15ㄴ)에서 ‘冕ᄒᆞ니와’으로 바꾸고, ‘冕’에 대하여 ‘벼슬 노ᄑᆞᆫ 사ᄅᆞᆷ의 쓰ᄂᆞᆫ 거시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주008)
눈머니:눈먼 이.
주009)
아ᄅᆞᆷ도이:사사로이. 아ᄅᆞᆷ[私](불규칙적 어근)+되(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연결 어미). ‘-되이’가 ‘-도이’로 적힐 수 있는 것은 ‘ㅚ’가 이중 모음이었기 때문이다. ‘아도이 겨신 히라도’가 『소학언해』(2:47ㄴ)에서는 ‘ᄉᆞᄉᆞ로운 ᄃᆡ나’로 바뀌었다. ‘-되-’는 ‘-ᄃᆞᄫᆡ-’가 발달한 것이다. 중세 국어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 ‘-답-, -롭-, -되-’는 모두 여기서 발달하였다. 한편 ‘아ᄅᆞᆷ’은 [私]를 뜻하는 명사였다. ¶그위 바도 容納 몯거니와 아뎌 車馬 通니라(官不容針 私通車馬) 그윗 門엔 아 容納 몯거니와 鄕黨앤 엇뎨 情이 업스리오<원주>【鄕 올히오 黨 서르 사괴 무리라】 (公門不容私 鄕黨豈無情)〈금강경삼가해 4:33ㄴ〉. 이 예문은 서로 이어져 있는 ‘야보송(冶父頌)’과 ‘설의(說誼)’를 다 인용한 것이다. 여기서 ‘아ᄅᆞᆷ’이 명사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이 ‘아ᄅᆞᆷ’과는 별개로 [美]를 뜻하는 불규칙적 어근 ‘아ᄅᆞᆷ’도 있었다. ‘아ᄅᆞᆷ답-’은 [美]를 뜻하고, ‘아ᄅᆞᆷᄃᆞᆸ-, 아ᄅᆞᆷᄃᆞ외-, 아ᄅᆞᆷ도이’는 [私]를 뜻한다.
주010)
겨신:이 책에서는 ‘계시거든(3:28ㄱ), 겨시거든(3:32ㄱ)’이 보인다.
주011)
ᄯᅡ히라도:자리라 하더라도. ᄯᅡㅎ[地](ㅎ말음체언)+이-(서술격 조사 어간)+라도(연결 어미). 주어는 생략되었다. ‘-라도’는 연결 어미 ‘-어/아’의 이형태인 ‘-라’에 보조사 ‘도’가 결합한 것이다. 서술격 조사 어간 뒤에서 ‘-어/아’가 ‘-라’로 교체되는 것은 현대 국어에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이 현상은 ‘이-’의 기원이 ‘일-’이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주012)
례도:‘예모’의 오각이다. ‘예모’는 ‘禮貌(예절바른 몸가짐)’이다. 『소학언해』(3:15ㄴ)에서는 ‘녜모’로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