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 명의복지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의복지제 001


當暑셔야 袗딘絺티絡격을 必필表표而出츌之지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더운 주001)
더운:
더운. 덥-[暑]+은(관형사형 어미). 더ᄫᅳᆫ〉더운.
적을 야 주002)
다ᇰᄒᆞ야:
당(當)하여. 맞이하여.
겨샤 주003)
겨샤:
계셔서. ‘더운 적을 다ᇰᄒᆞ야 겨샤’가 원문에서는 주체 존대의 ‘-시-’가 없이 ‘當暑야’로 적혀 있는데, 실수로 보인다. 『소학언해』(3:21ㄴ)의 원문에서는 ‘當暑샤’로 고쳐졌다.
호옷 주004)
호옷:
홑. 중세 국어에서는 명사로 쓰이고 관형사 또는 접두사로도 쓰였다. 『소학언해』(3:21ㄴ)에서는 ‘홋’으로 바뀌었다. ‘ᄒᆞ옺’이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ᄒᆞ옷’으로 적히다가 ‘호옷’으로 변한 것이다. ¶單 ᄒᆞ오지오〈능엄경언해 8:15ㄴ〉. 한편 근대 국어 문헌에서는 ‘ᄒᆞ옻’도 보인다. 이 ‘ᄒᆞ옻’이 구개음화의 추세에 따른 과잉교정(역구개음화)에 의해 ‘ᄒᆞ옽’으로 변한 뒤에 현대 국어의 ‘홑’으로 축약된 것으로 보인다. ¶내 眞實로 옷 고외 오치로다(我實衣裳單)〈두시언해 중간본 1:19ㄱ〉.
츩뵈오 주005)
츩뵈오ᄉᆞᆯ:
칡베옷을. 갈포의(葛布衣)를. 츩[葛]+뵈[布]+옷[衣]+ᄋᆞᆯ(목적격 조사).
모로매 주006)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소학언해』(3:21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밧긔 주007)
밧긔:
밖에. 바ᇧ[外]+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밧긔 내여 닙더시다’가 『소학언해』(3:21ㄴ)에서는 ‘表ᄒᆞ야 내더시다’로 바뀌었다.
내여 닙더시다 주008)
닙더시다:
입으셨다. ‘닙다’는 근대 국어 말기에 ‘입다’로 변하게 된다. ¶ 아은 믄득 변야 누른 옷 입은 쇼년이 되야〈종덕신편언해 상 3ㄱ〉. 중세 국어에서는 ‘닙다’는 ‘(옷을) 입다’를 뜻하고, ‘입다’는 ‘시들다, 고달프다, 혼미하다’ 등을 뜻하였으며, ‘읊다’를 뜻하는 ‘잎다’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입다’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이 대목은 청자(독자)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타이르는 내용이 아니고, 공자(孔子)의 옷차림새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니-’가 없는 종결 형식을 쓴 것이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더운 때를 당하셔서는 홑으로 된 칡베옷을 반드시 밖에 내어 입으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진(袗)은 단(單: 홑겹)이다. 칡(葛) 중 정밀한 것을 치(絺)라 하고 거친 것을 격(綌)이라 한다. 표이출지(表而出之)는 먼저 속옷을 입은 뒤에 겉에 치격(絺綌: 갈포 옷)을 입어서, 그것이 밖으로 드러나게 하는 것을 말하니, 몸이 보이지 않게 하고자 하심이다.”(朱子曰 袗單也 葛之精者曰絺 麤者曰綌 表而出之 謂先著裏衣 表絺綌而出之於外 欲其不見體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더운:더운. 덥-[暑]+은(관형사형 어미). 더ᄫᅳᆫ〉더운.
주002)
다ᇰᄒᆞ야:당(當)하여. 맞이하여.
주003)
겨샤:계셔서. ‘더운 적을 다ᇰᄒᆞ야 겨샤’가 원문에서는 주체 존대의 ‘-시-’가 없이 ‘當暑야’로 적혀 있는데, 실수로 보인다. 『소학언해』(3:21ㄴ)의 원문에서는 ‘當暑샤’로 고쳐졌다.
주004)
호옷:홑. 중세 국어에서는 명사로 쓰이고 관형사 또는 접두사로도 쓰였다. 『소학언해』(3:21ㄴ)에서는 ‘홋’으로 바뀌었다. ‘ᄒᆞ옺’이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ᄒᆞ옷’으로 적히다가 ‘호옷’으로 변한 것이다. ¶單 ᄒᆞ오지오〈능엄경언해 8:15ㄴ〉. 한편 근대 국어 문헌에서는 ‘ᄒᆞ옻’도 보인다. 이 ‘ᄒᆞ옻’이 구개음화의 추세에 따른 과잉교정(역구개음화)에 의해 ‘ᄒᆞ옽’으로 변한 뒤에 현대 국어의 ‘홑’으로 축약된 것으로 보인다. ¶내 眞實로 옷 고외 오치로다(我實衣裳單)〈두시언해 중간본 1:19ㄱ〉.
주005)
츩뵈오ᄉᆞᆯ:칡베옷을. 갈포의(葛布衣)를. 츩[葛]+뵈[布]+옷[衣]+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06)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소학언해』(3:21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7)
밧긔:밖에. 바ᇧ[外]+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밧긔 내여 닙더시다’가 『소학언해』(3:21ㄴ)에서는 ‘表ᄒᆞ야 내더시다’로 바뀌었다.
주008)
닙더시다:입으셨다. ‘닙다’는 근대 국어 말기에 ‘입다’로 변하게 된다. ¶ 아은 믄득 변야 누른 옷 입은 쇼년이 되야〈종덕신편언해 상 3ㄱ〉. 중세 국어에서는 ‘닙다’는 ‘(옷을) 입다’를 뜻하고, ‘입다’는 ‘시들다, 고달프다, 혼미하다’ 등을 뜻하였으며, ‘읊다’를 뜻하는 ‘잎다’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입다’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이 대목은 청자(독자)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타이르는 내용이 아니고, 공자(孔子)의 옷차림새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니-’가 없는 종결 형식을 쓴 것이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